다빈치 코드 유감

조회 수 2079 추천 수 159 2006.05.23 02:23:17
다빈치 코드로 주변이 온통 수선스럽다. 기독교계의 우려가 이해되지 못하는 것은 아니나 그 반응은 우려의 수준이 아니라 가히 공황(Panic)에 가깝다. 마치 그 소설을 읽거나 영화를 본 사람은 그 즉시 혹은 얼마 후에 혹은 기필코 반기독교인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를 쓰고 막으려 하는 듯하다. 만일 정말 그럴진대, 막는다고 막아질 것인가?

만약 다빈치 코드가 소설이 아니라 학술 논문이란다면, 우리는 그것의 오류를 하나 하나 반박할 수 있고 그래야 한다. 하지만 소설을 놓고 그것이 맞네 틀렸네 한다는 것은 말이 되질 않는다. 소설은 지어낸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우리에겐 신성시되는 사안을 멋대로 다룬 것에 불만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우리끼리메만 해당되는 것이지, 애당초 그것을 신성시 하지 않는 불신자들에게까지 강요할 수는 없다.  예수에 대해 불신자가 어떻게 상상하고 어떤 이야기를 지어내든 그것은 교계가 왈가왈부할 일이 아니다. 상상의 자유, 표현의 자유가 있고 그것은 존중되어져야 한다.

도대체가 이것은 격분할 일이 아니다. 우리의 그러한 반응이 오히려 상대가 격분할 일이지 싶다. 내가 그렇게 생각한다는데, 아 재미로 지어낸 얘기일 뿐인데 뭘 그리 길길이 날뛰냐 한다면 뭐라 대답할 것인가?

진리를 보지 못함을 가슴아파 하면 했지 화를 낼 일이 결코 아니다. 어찌 보면 그 소설의 성공은 기독교계에 도움이 되었으면 되었지 결코 해가 되지는 않을 것이다.

우선, 관심의 환기이다. 무엇이 참일까는 궁금증이 그 소설과 영화를 읽고 보는 자들의 맘 속에 일 것이다. 우리는 그것을 진실을 밝힐 수 있는 기회로 삼을 수 있다. 다음으로 우리 믿음이 무엇에 기초하고 있는지 점검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다. 성경 말씀을 토대한 믿음인가 아니면 사람들의 말에 토대한 믿음인가? 한 소설가의 상상에 의해 흔들릴 정도의 믿음은 온전한 믿음이 아니다.

그냥 내버려 두면 기껏해야 꽤 재미있는 소설로 영화로만 기억될 것을, 과도한 반응으로 반기독교의 교본 정도로 격상시켜준 꼴이다. 예수님이 스스로를 변호할 능력이 없어 그냥 내버려 두고 계시겠는가? 다 생각이 있으니까 내버려 두고 계시겠지.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다빈치 코드는 흥미 만점의 소설이요 영화일 뿐이다. 더 이상 우리 스스로를 우습게 만들지 말자. 그저 조용히 말씀을 묵상하고 말씀을 공부하자. 진리는 오직 성경 속에 담겨 있을 뿐이다.

5. 22. 200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13 한은경 자매를 변호함 [1] 김유상 2006-03-16 1325
112 제 믿음의 수준 김유상 2005-05-18 1319
111 기독교 변론 3: 성경은 조작되었다? 김유상 2005-10-11 1318
110 마켓에서 당한 봉변 [3] 김유상 2006-03-16 1313
109 쓰레기 줍기 김유상 2006-01-20 1307
108 부끄러운 고백 1 김유상 2005-05-18 1305
107 도무지 납득이 안됩니다 김유상 2005-11-10 1283
106 복권 살 용기가 없는 남자 김유상 2006-03-03 1281
105 How to Listen to God? 김유상 2005-05-18 1273
104 아내의 생일 [2] 김유상 2006-03-01 1266
103 장례식을 다녀 와서 김유상 2005-12-07 1265
102 하나님의 어머니? 김유상 2006-03-08 1257
101 교회 밖으로 나갑시다 김유상 2005-12-08 1247
100 난처한 중보기도 1 [1] 김유상 2005-08-05 1237
99 부끄러운 고백 2 김유상 2005-05-18 1234
98 하나님은 사랑이시라 김유상 2005-11-09 1224
97 건망증 김유상 2005-08-25 1223
96 사랑의 빚 김유상 2005-08-25 1213
95 잘났어 정말 김유상 2005-07-12 1207
94 기독교변론 2: 예수 믿어라고 귀찮게 구는 이유 김유상 2005-08-27 117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