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영적으로 불쌍히 여기는 세상 사람들 중에도 당당한 삶을 사는 이들이 많습니다.

중국의 사상가 맹자는 앙불괴어천 부불작어인(仰不愧於天 俯不怍於人)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줄여서 부앙불괴(俯仰不愧)라고도 합니다만, 주님 믿기 전 한 때 좌우명으로 삼았을 만큼 좋아하는 말입니다.

우리의 시인 윤동주는 이 말을 빌어 “하늘을 우러르고 땅을 굽어보아 한 점 부끄러움 없기를” 노래했습니다.

당당한 삶의 자세라 할 것입니다.

역시 중국의 장자의 말입니다. 좀 길지만 무척 좋은 말이라 꼭 소개드리고 싶습니다.

부원추 발어남해이 비어북해 비오동불지 비연실불식 비예천불음 어시 치득부서 원추과지 앙이시지왈 마
(夫鴛雛 發於南海而 飛於北海 非梧桐不止 非練實不食 非醴泉不飮 於是 鴟得腐鼠 鴛雛過之 仰而視之曰 嚰)

이런 뜻이라고 합니다. 『원추라는 새는 남해에서 북해까지 날아가면서, 오동나무가 아니면 앉지 않고, 대나무 열매가 아니면 먹지 않고, 신선한 샘물이 아니면 마시지 않는다. 이때 썩은 쥐를 물고 가는 솔개가, 하늘 높이 날고 있는 원추를 처다 보고, 썩은 쥐를 빼앗길까 겁이 나서 으흥 하고 성낸 소리를 낸다.』

원추는 전설상의 봉황새를 말합니다. 원추는 깨끗한 것만 먹는 고고한 새로서 썩은 쥐 따위는 안중에도 없습니다. 그런데 솔개는 썩은 쥐 하나에 온 신경을 곤두세웁니다.

원추와 솔개를 비교할 때 우리는 많은 것을 생각게 됩니다. 우리는 원추가 아닐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솔개가 되어서도 아니 될 것입니다.

우리는 하나님을 믿는 자들입니다. 원추처럼 당당하려고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아니더라도 솔개처럼 스스로 비참한 존재로 전락하여 육신의 정욕과 안목의 정욕과 이생의 자랑이라는 ‘썩은 쥐’에 연연하는 존재가 되어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또 우리 속담에도 “외밭에서는 신발을 바꿔 신지 말고 오얏나무 아래서는 갓끈을 고쳐 매지 말라.”는 말이 있습니다(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오해받을 일은 하지 말아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 또한 당당한 삶의 자세라 할 것입니다.

성경은 이에 대해 침묵하실까요? 성경 66권 곳곳에서 창조주 하나님의 자녀로서 당당히 살아가기를 요구하고 계십니다. “내가 거룩하니 너희도 거룩할지어다.” 놀랍기도 하고 두렵기도 한 말씀입니다(좀 더 솔직히 말한다면 불가능한 일이지요).

여하튼 당당한 삶은 우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입니다!



현실교회를 바라볼 때, 우리의 부족(못 미침)으로 말미암아 아쉬운 마음이 들 수는 있겠으나, 그래도 우리는 소망을 지녀야 합니다.

왜냐하면 우리에게는 예수님이라는 참 지도자가 계시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예수님을 꼭 빼어 닮기 원하는, 눈에 보이는 지도자들(본받은 자=복사한 자=목회자)도 우리 옆에서 도우려 하고 있기에, 우리는 더욱 안심할 수 있을 것입니다.

성경은, 언제나 부족한 우리를 예수님의 마음으로 섬기는 자를 일컬어, ‘참 목회자’라고 선포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진리요 생명이신 창조주 하나님을 믿는 우리의 삶이,
대접받는 것(썩은 쥐)에 연연하지 않고 오히려 섬김의 기쁨을 알아,
원추와 같이 예수님과 같이
당당하고 거침없는 성도의 길을 가는,
참 신앙의 삶이 되기를 소망해 봅니다!


♣ 교회 내에서 내려지는 모든 결정들도 이와 같은 당당함이 뒷받침되는 참 신앙의 모습들이 되었으면 합니다! ♣



※ 이 글은, 온갖 더러운 이익들을 마치 거룩하고 의로운 것인 양 미화하는 담임목사와 지지 세력들의 논리에 동의할 수 없어서 작성했던 글입니다.

  교회 분란의 근본원인은 숨겨둔 체, 거룩의 옷 걸치기에 급급한 담임목사 파들의 모습은 보기 좋은 현상이 아니었습니다. 당당하지는 못할망정, 추한 모습을 보여서야 되겠느냐는 취지에서 썼던 글입니다.

  이 글을 읽고, 담임목사 대변인역을 자임하던 지지목사(부목사) 한 분은 다른 분의 명의를 도용하여, 즉각적인 반박 글을 게재하기도 했습니다.  

세힘

2013.04.10 03:28:31
*.100.27.84

[고전3:1] 형제들아 내가 신령한 자들을 대함과 같이 너희에게 말할 수 없어서 육신에 속한 자 곧 그리스도 안에서 어린 아이들으르 대함과 같이 하노라

[고전13:11] 내가 어렸을 때에는 말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깨닫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고 생각하는 것이 어린 아이와 같다가 장성한 사람이 되어서는 어린 아이의 일을 버렸노라

"교회당과 목사"는 어린 아이에서 어른으로 성장하는 그리스도인들을 도무지 인정할 수 없어 합니다. '목사'라는 단어의 '사' 자가 '스승 사' 이니, 예수님이 말씀하신 바 "제자가 스승보다 낫지 않다"고 하신 말씀을 비틀어 "성도는 목사보다 낫지 않다" 쯤으로 읽는 것은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그래서 듣기만 하는 신앙은 자기를 속이게 되지 않나 싶습니다. 요14:26, 요일2:27 말씀은 달리 해석의 여지가 없이 "성령이 모든 것을 너희에게 가르치실 것"이라고 약속하고 있음에도 성령이 친히 각 사람에게 역사하시는 성경말씀은 읽고 묵상함이 없이 오직 목사의 말만 듣다보니 마약에 쩌든 자들의 정신처럼 집단최면 상태가 되는게 아닌가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1 [이의] 이새의 아들은 7명인가 8명인가? 정순태 2009-06-27 7738
200 [묵상] 언약궤와 성막의 생이별 사연 [3] 정순태 2006-12-06 7091
199 [묵상] 솔로몬은 과연 회개하고 구원받았을까? [5] 정순태 2008-03-08 6113
198 [묵상] 맛 잃은 소금 [4] 정순태 2007-03-10 5328
197 [단상] 지금이 원어성경 읽기에 가장 적합한 때!!! [1] 정순태 2012-03-10 4953
196 [이의] 100세 이상 차이 나는 사촌 오누이? [1] 정순태 2012-03-24 4879
195 [묵상] 천국체험 주장들 - 어디까지 수용해야 하나? [4] 정순태 2007-05-05 4765
194 [이의] 아브라함이 하란을 떠날 때 데라는 살아 있었는가? [6] 정순태 2009-06-27 4089
193 [단상] 오순절 다락방 사건과 방언의 상관관계(행1:1~2:13) 정순태 2007-11-24 3711
192 [단상] 두 렙돈의 진실 [2] 정순태 2008-08-16 3424
191 [목자상] 05. 권위와 권세의 의미 정순태 2009-11-14 3410
190 [이의] 목사(포이멘)은 오역인가? 정순태 2012-02-11 3360
189 [의문] 에브라임 족보의 의문점들(대상7:20-27) [6] 정순태 2006-12-31 3321
188 [이의] 선지학교 창건자는 사무엘이다? [2] 정순태 2008-08-01 3296
187 [이의] 선지자 사무엘은 레위인이다? 정순태 2012-05-26 3151
186 [목자상] 06. 소명(사명/부르심) 신학의 오해(1) [1] 정순태 2011-03-26 3071
185 [묵상] 천사에 관하여 [2] 정순태 2007-01-20 2975
184 [서평] 교회생활은 평생 벙어리를 요구하는 시집살이? 정순태 2008-09-26 2930
183 [묵상] 성경 읽는 방법 – 어떻게 읽을 것인가?(1) [5] 정순태 2012-12-22 2865
182 [의문] 400세가 넘은 비느하스? 정순태 2007-02-03 283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