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랭크 비올라의 책은 읽을 때마다 알싸한 아픔을 동반합니다. 지난번의 “교회가 없다.”도 그랬고 금번의 이 책도 마찬가지입니다.

갓피플몰에 등록된 몇몇 평가는 혹평과 호평으로 양분되는 것 같습니다. 나름대로의 판단 기준을 지닌 독자로서는 당연한 현상일 것입니다.

일면 교회를 향한 무책임한 비난으로 평가하여 경계하시는 분들의 충정은 이해됩니다만, 저자의 마음속에는 ‘성경적 교회를 향한 또다른 고뇌’가 담겨있다고 생각되기에, 저는 크게 호평하고 싶습니다.

물론, 이 글 말미에 간략히 언급되는 것처럼, 온전한 대안 제시가 미흡했다는 점은 지적되어야 합니다만, 그래도 우리가 깊이 숙고해야 할 면들을 다루고 있다는 사실을 경시해서는 아니 될 것입니다.

저자는, 초대교회를 ‘유기체적 교회’로, 중세교회를 ‘제도 교회’로 정의하면서, 종교개혁 이후의 현대교회 역시 ‘제도 교회’의 한계를 넘지 못했다고 주장합니다.

중세교회는, 성경이 밝히는 ‘만인제사장’ 원리를 알지 못한 체, 성직주의에 함몰됨으로써 필연적으로 제도 교회 형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입니다. 만인제사장 원리는 종교개혁자들이 겨우 깨우친 성경원리임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현대교회는 마땅히 종교개혁자들의 만인제사장 원리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발전되었어야 하지만, 불행하게도 실패했다는 인식입니다. 즉, 중세교회의 한계를 극복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다시 중세교회의 ‘성직주의’로 회귀되고 말았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일탈로부터의 회복은 거의 불가능한 상태라는 것이 저자의 진단입니다.  

바로 이 점에서 전적인 공감을 표합니다. 기실 저도 오래전부터 현대교회의 리더십 개념으로는 거의 소망이 없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현대교회의 목사(특히 담임목사)는 구약의 왕과 제사장과 선지자와 신약의 사도와 감독과 장로 등 성경에 나오는 모든 리더십의 총체인 것처럼 왜곡되어 있습니다. 마치 전능자 내지 슈퍼맨과 방불한 존재로 말입니다.

주변의 현대교회 목사들을 자세히 관찰해 보면 성경을 빙자하여 자아실현 욕구 달성을 추구하는 자들이 대다수임을 알게 됩니다. 성공하면 대단한 능력자로 인정받아 최고의 자존감을 누리고, 실패하면 ‘탈진’이니 뭐니 하며 엄살 피우기에 급급한 모습들을 무수히 발견하곤 합니다.

성공한 목사든 실패한 목사든, 현재 우리 주변의 이러한 리더십 유형들은 성경에 제시된 바가 전혀 없고 성도들도 바라지 않는 것입니다. 또 이런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인간이 존재할 수도 없습니다. 오로지 성직자(목사) 스스로의 욕심에 끌려 헛고생 하는 것이라는 사실을 인식해야 합니다.

성경은 목사라는 슈퍼맨의 활약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소자들의 합력을 명령하고 계십니다. 교회의 많은 일들은 목사들만의 독점적 시혜가 아닌 모든 성도들의 자발적 헌신을 필요로 하는 것들입니다.  

저자는 이러한 인식을 성경에 비추어 이야기하고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저자의 주장은 극렬한 반대를 각오해야만 합니다. 현대교회의 성직주의에 익숙해진 종교관이 바른 이해를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저자도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 장에서 내가 말한 내용이 현대의 성직주의 시각으로 성경을 읽는 분들에게는 틀림없이 매우 부담스럽게 느껴졌을 것이다. 그러나 한 가지 분명하게 말 할 것이 있다. 현대 성직자 체계가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부과하는 한계점은 하나님의 나라에서는 결코 적지 않은 큰 문제라는 사실이다. 나는 비판하려는 시각만이 아닌 교회를 위하는 충심으로 이 글을 썼다. 그러므로 내가 말한 것에 대한 성급한 대응이나 무조건적인 동의, 둘 다 바라지 않는다.”(p.115).

그렇습니다. 저자의 주장이 단순한 과장만은 아닙니다. 심하게 왜곡된 체제는 기존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개혁할 수 없습니다. 개혁이란 ‘틀 깸’을 전제한 행동입니다. 주님도 당시의 정통종교인 유대교를 통한 교회 설립을 시도하지 않으셨으며, 종교 개혁가들도 기존 천주교 체제 안에서의 개혁에 성공했던 것은 아니었습니다.  

개혁은 불가불 기존체제의 부정으로부터 출발하지 않을 수 없다는 진실을 인정한다면, 이제 현대교회의 진면목을 어떻게 진단하느냐에 따라, 저자 주장에 대한 동의와 부동의 여부가 결정될 것입니다.

저는 저자의 주장에 흔쾌한 동의를 표시합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지난번 ‘교회가 없다’와 마찬가지로, 저자의 마지막 권고의 부담감입니다. “성직자 지배 구조의 기독교를 떠나라는 명령”(p.233)이 성경에 부합되는 올바른 방향이라면, 성도들이 취해야 할 구체적인 실천방안은 무엇인가를 저자에게 다시 묻고 싶습니다. 저자가 제시한 ‘가정교회’는 성경적 방향은 될 수 있을지언정 현실적 실현 차원에서의 가능성은 그리 높아 보이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레그 옥덴 목사의 “새로운 교회개혁 이야기”(미션월드)와 함께, 반드시 읽어보시기를 권하고 싶은 책입니다. ♥

※ 추신 : 허경조 형제님께 한번 읽어보시기를 권했기 때문에 급히 독후감을 써서 올립니다. '새로운 교회개혁 이야기'와 비슷한 관점의 주장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 [퍼옴] 상실의 은혜 운영자 2007-03-23 2347
31 [퍼옴] 목사도 아저씨다. [2] 운영자 2006-11-28 2359
30 [퍼옴]나의 가장 훌륭한 스승 운영자 2006-11-28 2361
29 [퍼옴] 돈 낭비는 일종의 신성모독(?) 운영자 2007-02-02 2385
28 [re] 사과와 변명(이용규 선교사님께 드린 글) [1] 정순태 2006-08-26 2386
27 [퍼옴] Kenneth E. Hagin에 관해 [1] 운영자 2005-10-23 2392
26 [퍼옴] 아프칸 인질 사태에 대한 두 칼럼. 운영자 2007-07-24 2492
25 [퍼옴]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운영자 2005-12-19 2607
24 [퍼옴] 사단의 평안 운영자 2008-06-26 2621
23 하나님이 받지 않으시는 경배(예배) [2] 국중후 2007-01-06 2629
22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떨어지는 것을 본다. 운영자 2005-04-24 2738
21 [독후감] 이용규 선교사의 “내려놓음”(규장)을 읽고. [2] 정순태 2006-08-06 2750
20 [퍼옴] 조엘 오스틴(Joel Osteen)의 실체 [2] 운영자 2005-10-14 2786
19 믿음의 선배 {진정한 그리스도인} [1] 김문수 2006-12-03 2816
18 조선의 사도바울[김교신]과 바나바[손양원]의 숨겨진 오해 [3] 김문수 2007-01-17 2888
17 [독후감] 토마스 주남의 "천국은 확실히 있다"를 읽고 정순태 2005-11-24 2946
» [독후감] 프랭크 비올라의 “1세기 관계적 교회”를 읽고 [7] 정순태 2007-03-19 3043
15 [퍼옴] 스티브 잡스의 스탠포드대학 졸업식 축사 [1] 운영자 2005-07-19 3082
14 [독후감] 박종신 목사의 "떠남"을 읽고 [1] 정순태 2007-01-14 3087
13 신앙의 눈으로 본 역사 [1] 운영자 2005-11-17 317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