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막히게 짜여진 관계성

조회 수 180 추천 수 1 2021.01.22 10:01:23

기막히게 짜여진 관계성

 

만약 모든 것들이 마음도 없는 우연의 결과라고 한다면 우리 주위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놀라운 디자인들은 존재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많은 새들은 여름 동안에 곤충들을 먹는다. 그러한 단백질이 높은 먹이는 짝짓기와 번식에 좋지만 새들이 겨울의 추운 날씨를 살아남기 위한 준비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

 

새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체온 유지를 위한) 단열은 물론 칼로리 저장 장치로서 지방층을 축적하는 것이다. 그런데 겨울이 가까워지면 다양한 잡목에서 온 여름 동안 자라고 무르익은 베리들이 점점 더 많아진다. 베리쥬스의 높은 당도는 새들이 지방층을 신속하게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쌀쌀한 가을 날씨에 얼어붙는 것도 베리의 당도를 증가시킨다. 더욱 놀라운 사실은 새들에게 먹히는 다양한 형태의 베리들이 서로 엇갈려 겹치는 시기로 무르익기에 베리 시즌이 길어지고 항상 먹이로 이용할 정도로 공급이 가능해 진다. 예를 들어 엘더베리의 공급이 거의 다 떨어지면 다른 나무에서 크렌베리가 나온다. 종종 여름에 태어난 새끼들의 깃털이 베리에 있는 다양한 색소들을 먹고 이 색소들을 자신들의 새 깃털에 전이시키기 전까지는 완전한 색깔로 변하지 않는다. 그 대가로 새들은 베리의 씨앗을 퍼뜨린다.

 

이 모든 복잡하고 서로 연관된 시스템은 우아하고 섬세하게 조율된 디자인 안에서 상호의존적이다.

 

Author: Paul A. Bartz

Ref: http://www.startribune.com/templates/Print_this_story?sid=64091192, 10/14/09, Val Cunningham, “Why bushes are better for birds.” © 2020 Creation Moments. All rights reserv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201 산화 철의 증거 김 계환 2009-02-03 954
200 다윈의 퍼즐 김 계환 2009-01-29 955
199 선천적 장애가 하나님의 계획인가? 김 계환 2009-01-26 949
198 달 표면에 먼지가 얼마나 깊이 쌓여있나? 김 계환 2009-01-23 949
197 눈안의 컴퓨터 김 계환 2009-01-12 1047
196 진화론자들이 눈에서 잘못된 설계를 찾아냈는가? 김 계환 2009-01-11 1000
195 친구와 공생하는 개미들 김 계환 2009-01-03 982
194 진화가 단순히 변화인가? 김 계환 2009-01-02 903
193 청산가리 방어 김 계환 2008-12-27 1061
192 정원을 가꾸는 개미들 김 계환 2008-12-23 1026
191 창조론과 복음 김 계환 2008-12-22 911
190 도덕은 인간을 위한 것이다 김 계환 2008-12-16 919
189 단순한 생명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김 계환 2008-12-09 969
188 물과 물 사이에 김 계환 2008-12-07 1139
187 지상의 가장 작은 컴퓨터 김 계환 2008-12-05 979
186 공룡은 거대한 미스테리인가? 김 계환 2008-12-05 993
185 다양성의 순전한 기쁨을 위하여 김 계환 2008-11-29 980
184 그 종류대로 김 계환 2008-11-28 1038
183 새로운 기술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김 계환 2008-11-20 1004
182 몸안의 엔진들 김 계환 2008-11-17 93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