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과 박테리아가 소통한다.

조회 수 51 추천 수 1 2021.08.25 17:16:22

식물과 박테리아가 소통한다.

 

일부 사람들은 자기들의 식물에게 말을 건다. 그런데 당신은 박테리아들에게 무슨 말을 하겠는가? 분명히 콩 나무는 박테리아를 자신의 가까운 친구이자 조력자로 만들기 위해서 무엇을 말해야 하는지를 안다.

 

공생은 서로 다른 두 생물체들이 서로 돕는 관계를 말한다. 식물은 건강한 성장을 위해서 질소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공기 중에 충분한 양의 질소가 존재하지만 식물들은 정상적으로 이 질소를 사용할 수가 없다. 콩 나무와 같은 콩과식물들은 공기 중의 질소를 식물들이 이용할 수 있는 질소의 형태로 바꿀 수 있는 박테리아들과 연결되어 있다. 보답으로 식물은 뿌리 결절에 박테리아를 위한 좋은 집을 제공하며 박테리아에게 먹을 것도 공급한다. 헴이 산소를 공급한다. 이 이름이 혈 중에서 산소를 나르는 헤모글로빈을 연상시킨다면 당신은 맞게 생각하고 있다. 뿌리 결절에 있는 헴으로 인해 결절이 붉은 색을 띈다. 누가 헴과 콩 나무 혹은 박테리아를 만들었는가? 개별적으로는 둘 다 헴을 가지고 있지 않다. 연구자들은 식물이 헴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화학 과정의 첫 번째 부분을 수행하고 박테리아가 마무리 짓는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식물과 박테리아가 실제로 화학적으로 서로 소통하여 그 합성과정이 매끄럽게 진행된다!

 

이런 서로 다른 생물체간의 의사소통이 정교한 화학 과정을 수행 가능하게 하여 서로 간의 삶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식물의 이런 삶을 설명하는데 진화론이 얼마나 부적절한지를 보여준다. 이런 상관관계는 분명히 창조자를 영화롭게 한다!

 

Author: Paul A. Bartz

Ref: Pennisi, E. 1991. “Intimate chemistry of a symbiotic odd couple.”

Science News, v. 139, Mar. 9. p. 151. © 2021 Creation Moments.  All rights reserv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301 이기심이 폭삭 망하네 김 계환 2012-08-26 1838
1300 혼수 치료? 김 계환 2013-04-11 1831
1299 나비 물리학 김 계환 2007-04-27 1811
1298 말벌은 생물학적 불가능을 행한다. master 2020-07-29 1800
1297 대폭발(Big Bang)의 메아리? master 2017-11-07 1795
1296 동물들의 지능전술 김 계환 2007-08-15 1789
1295 날개달린 전사들 김 계환 2007-05-19 1771
1294 지구 온난화에 대한 햇빛의 영향 김 계환 2007-05-13 1765
1293 보호하고 가르치는 아버지들 김 계환 2007-05-15 1743
1292 팬다 엄지 김 계환 2007-05-07 1695
1291 기발한 탈출 [1] 김 계환 2007-04-28 1671
1290 1988년의 노아의 방주 탐사 김 계환 2008-01-25 1664
1289 기막히게 하는 치이타 김 계환 2008-02-07 1657
1288 인간을 향한 거대한 한 발자국 김 계환 2007-10-01 1642
1287 역 엔지니어링 김 계환 2007-05-04 1637
1286 위험스러운 경이 김 계환 2008-01-29 1617
1285 부두 아스피린 [1] 김 계환 2007-05-01 1615
1284 금붕어 어항안에서의 총천연색 삶 [2] 김 계환 2008-01-22 1594
1283 사실이 아니었던 사실들 김 계환 2008-01-03 1579
1282 노벨상 수상자가 영혼을 암시한다. 김 계환 2008-02-17 155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