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생하는 거미

조회 수 1058 추천 수 66 2007.06.04 05:42:26
우리는 거미들이 다른 거미들과 함께 살지않고 혼자서 사는 이유를 알고있다. 거미들은 먹을 만큼한 크기의 어떠한 생물들도 먹기에 적절하다고 여긴다. 비록 그 생물이 거미일지라도. 거미들이 먹는 것에 공격적이므로 이들은 보통 다른 거미근처에 살지 않을 만큼은 영리하다.

그러나 일부의 멕시칸 거미들은 다소간 덜 자기중심적이다. 몇 종류의 거미들은 공동의 거미집을 지어 먹이를 공유한다. 일부 암컷들은 자기들의 자녀들에게 사랑스러운 엄마들이다. 이들 거미들은 먹이들이 풍부한 적도지방에서 커다란 공동체를 이루고 산다.

이 특별한 종의 멕시코 거미 각각은 거미 콜로니안에 자신의 아파트를 짖는다. 그러나 이 거미는 자신의 공모양의 집을 주위의 공모양의 집들에 연결시킨다. 이들 공동체는 거대해서 7000 마리의 거미까지도 함께 산다. 각자는 자신의 아파트를 지켜야하고 자신의 먹이를 잡아야하는 의무가 있다. 그러나 수백내지 수천개의 집들이 서로 연결되있다는 사실은 서로에게 먹이를 잡는데 더 나은 기회를 부여한다. 한 곤충이 한 단독의 거미집으로 부터 뜅겨져 나올 수는 있겠지만 그 곤충이 뜅겨져 나올 수 있는 장소가 또 다른 거미집이라고 한다면 그 곤충이 잡히는 것은 불가피하다.

자기중심주의와 적자생존이 살아남는 방법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이것들은 어떠한 생산적인 것도 만들어내지 못한다. 이것은 우리에게 성경이 분명하게 가르치는 진리의 한 힌트를 제공한다. 즉 창조속에는 다른 것들을 위한 사랑을 포함하는 일반적 도덕적 절대기준들이 있다는 것이다.


References: K. A. Fackelmann. 1982. The Social Spiders of Mexico. Science News, Aug. 7. P. 8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007 Creation Moments • All Rights Reserved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320 더 음성이 되기를 원하시나요? 김 계환 2007-05-23 1293
1319 왜 인간의 화석이 흔치 않은가? 김 계환 2007-05-25 2010
1318 다른 종족들, 한 피 김 계환 2007-05-25 1430
1317 심해 다이빙의 경이 [2] 김 계환 2007-05-27 1426
1316 역사속 의 공룡 김 계환 2007-05-28 1861
1315 가장 오래된 도시 김 계환 2007-05-31 1207
» 공생하는 거미 김 계환 2007-06-04 1058
1313 하나님의 선물 애완동물 [1] 김 계환 2007-06-04 1061
1312 얼어붙은 개구리들 김 계환 2007-06-08 1149
1311 생물학적 균형 김 계환 2007-06-09 1016
1310 과학이 죽음을 이겨낼 수 있을까? 김 계환 2007-06-09 1093
1309 식품전달체계, 개미스타일 김 계환 2007-06-11 1336
1308 뇌안의 채소구역 김 계환 2007-06-13 1012
1307 후한 자들의 생존 김 계환 2007-06-14 1010
1306 극락조 김 계환 2007-06-18 976
1305 잘못된 년도측정의 한예 김 계환 2007-06-18 1132
1304 오직 한 방향 길 김 계환 2007-06-20 1551
1303 무리지어 사는 물고기들 [1] 김 계환 2007-06-27 1080
1302 무장되고 위험한 고래들 김 계환 2007-06-28 1214
1301 사랑이 많은 독화살 개구리 김 계환 2007-06-28 112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