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6:3 (그러므로 우리가 여호와를 알자 힘써 여호와를 알자 그의 나오심은 새벽빛 같이 일정하니 비와 같이, 땅을 적시는 늦은 비와 같이 우리에게 임하시리라 하리라).


일부 목회자들이나 성도들이 ‘세상에서 가장 많이 팔린 책이 곧 성경이다!’라고 자랑스레 말하는 것을 듣게 됩니다. 아마 통계적으로 맞는 말일 것입니다. 많이 팔립니다.

그런데 다른 한편으로 ‘세상에서 가장 읽히지 않는 책 또한 성경이다.’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이에 대한 통계를 접하기는 힘들겠으나 성도들의 실제를 감안하면 전혀 틀린 말이 아닐 듯도 싶습니다.

성경은 많이 팔림(판매부수)을 자랑할 책이 아니라 많이 읽힘(봉독횟수)을 자랑해야 할 책입니다.  

기독신앙의 유일한 지침이 되는 성경(정경=Canon=잣대)을 읽는 방법은 대략 3가지로 정의되곤 합니다.

첫째, 통독(通讀)입니다. 읽는 내용을 깊이 생각하지 않고 빠르게 읽는 방법입니다. 다독(多讀)과 유사어입니다.

2,500번 이상 통독한 목회자가 있고, 1년에 30-50독 하는 권사님들도 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100여 번 읽은 형제와 함께 교사생활 해 봤고, 1년에 10독 하는 권사님과 같은 구역생활을 해 봤습니다(이 권사님은 성경내용은 하나도 모릅니다. 무대포로 읽기만 합니다).

개인적으로 작심하고 읽었더니 1년에 8독까지는 가능했습니다. 지금껏 26독 했습니다.

통독은 성경 읽는 좋은 방법 중의 하나입니다. 강점은 ‘맥을 잡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성경 전체의 흐름을 감 잡을 수 있고 큰 그림을 그릴 수 있습니다. 숲을 보는 방법입니다. 반드시 이렇게 읽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독이 성경 읽는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둘째, 정독(精讀)입니다. 읽는 내용을 깊이 따져가며 아주 세밀하게 읽는 방법입니다. 숙독(熟讀)과 동의어입니다.

안광지배(眼光紙背)라는 말이 있습니다. ‘눈빛이 종이 뒤까지 꿰뚫는다.’는 뜻으로서 ‘독서의 이해력’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개인적으로, 이 사자성어에는 ‘독서에 기울이는 노력’도 포함된다고 여기고 있기에, 이를 정독(精讀)이라 이해하고 있습니다.

학자들이나 목회자들에게 필수적인 독법입니다. 성경 연구하고 설교 준비하려면 정독 이외의 다른 방법은 없습니다. 정독할 수밖에 없습니다.

정독은 생각보다 힘듭니다. 결코 쉽지 않습니다. 성경 한 구절을 읽는데도 아주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어떤 때는 한 구절에 몇 시간 아니 며칠이 걸리기도 합니다. 심지어 단어 하나 찾아보는데도 엄청난 시간이 소모되기도 합니다. 마치 밀림에서 나무 하나 하나를 세밀하게 관찰하며 연구하는 것과 같습니다.

하지만 정독이 진짜 힘든 이유는 다른 데 있습니다. 그것은 성경을 정독해 보면 이해되지 않는 부분들을 만나게 된다는 점입니다. 정신 바짝 차리고 머리에 쥐가 나도록 읽어도 이해 안 될 때가 많습니다. 이해가 안 되니 시간도 많이 걸리고 진척도 느리며 간혹 지치기도 합니다.  

정독은 힘든(눈빛으로 종이를 뚫어야 하므로) 읽기 방법입니다만 정독만이 지니는 장점이 하나 있습니다. 조금이나마 바른 이해에 도달할 경우에 느끼는 만족감이 비길 수 없이 크다는 것입니다. 매우 즐겁습니다. 비록 그 횟수가 그리 많지는 않지만 말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독 또한 성경 읽는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셋째, 성독(聖讀)입니다. 성령님의 조명하심 하에서 읽는 것입니다. 일부 학자들은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거룩한 독법=신적독서=묵상하며 읽기)라는 말로 표현하는 것 같습니다.

사실 성경은 성령님이 열어 주시지 않으면 읽지 못합니다. 그래서 성독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성독에도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 일부 성도들은 통독이나 정독은 거의 하지 않습니다. 평생 통독 한번 안 했고 정독은 아예 할 줄도 모릅니다. 그런데도 성경구절을 줄줄 외웁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느냐 물으니 ‘성령께서 알려 주신다.’고 합니다. 환상으로 보여주신답니다.

당연히 그럴 수 있습니다. 전지전능하시고 무소불능하신 하나님께서 믿는 자들에게 환상으로 성경구절들을 얼마든지 보여주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성경을 오직 성독으로만 읽는다면 이는 아주 심각한 문제에 봉착할 수밖에 없습니다. 신비주의와 이단의 특징이 바로 통독과 정독은 무시하고 성독만 강조한다는 것입니다.

거룩함과 동시에 반드시 필요한 독법임에도 불구하고 성독 또한 홀로 유일한 방법은 아닙니다.


성경 읽는 최선의 방법이 자연스레 밝혀졌습니다. 통독과 정독과 성독의 3가지 독법을 적절히 조화시키면서 읽으면 된다는 것입니다. 3가지 방법 어느 하나만으로는 불충분하며 균형 잡힌 조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며 계속하겠습니다.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정독을 중시합니다. 꼼꼼히 살피며 천천히 읽습니다. 그렇다고 성경 모두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놓치는 부분도 많고 오해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아무튼 앞서 말했듯이 성경을 정독하다보면 이해 안 되는 부분들을 많이 만나게 됩니다. 당연히 이성적 측면에서 이해가 안 되는 부분들입니다. 일단 지적(知的)으로 이해가 안 될 경우 이를 정리해 두곤 합니다.  

정리된 내용 몇 가지를 다른 지체들과 나눠보니 일부 성도들의 반응이 의외였습니다. ‘성경을 부인하는 거냐? 대충 읽으면 되지 뭐 그리 유난 떠느냐?’는 생각이지 싶습니다.

하지만 성경은 결코 정독 독법을 금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크게 권장하고 있습니다.

몇 곳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호세아 선지자는 말합니다. “그러므로 우리가 여호와를 알자 힘써 여호와를 알자 그의 나오심은 새벽빛 같이 일정하니 비와 같이, 땅을 적시는 늦은 비와 같이 우리에게 임하시리라 하리라”(호6:3).

전체의 의미를 탐구하려는 것이 아니고 오직 한 단어 “알자”만 기억하자는 것입니다.

“알다”(야다)는 기본적으로 ‘알다(know). 이해하다(understand).’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나아가 ‘관찰하다. 구별하다. 관계하다.’의 뜻으로도 사용된다 합니다. 그리고 학자들은 ‘지식’을 전제한 말이라고 설명합니다.

참고로 “힘써”(라다프)는 ‘뒤따르다. 추적하다. 추구하다. 박해하다.’의 뜻이라 합니다. 하나님을 뒤따르고 추구하는 의미일 것입니다.

결국 호세아 선지자는 ‘하나님을 지식적으로 아는 것’이 ‘하나님을 뒤따르는, 추구하는 하나의 방법’이라는 교훈을 선포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은 그냥 알아갈 수 있는 대상만은 아니십니다.

다음으로 사도 베드로는 말합니다. “이 구원에 대하여는 너희에게 임할 은혜를 예언하던 선지자들이 연구하고 부지런히 살펴서 자기 속에 계신 그리스도의 영이 그 받으실 고난과 후에 얻으실 영광을 미리 증거하여 어느 시 어떠한 때를 지시하시는지 상고하니라.”(벧전1:10-11).

밑줄 친 3 단어입니다. “연구”(에크제테오)는 ‘찾다. 탐색하다.’의 뜻이라 합니다. ‘문의하다. 조사하다.’라는 뜻도 지닌다 합니다.

“부지런히 살피다.”(엑세류나오)는 ‘찾다. 수색하다.’의 뜻이라 합니다. ‘철저하게 조사하다.’라는 뜻도 지닌다 합니다. 주석학자는 ‘성령이 계시해 주는 정보에 대한 예언자들의 열렬한 연구와 숙고에 대해’ 사용한 말이라 주석하고 있습니다.

“상고하다”(에류나오)는 ‘찾다. 발견하다. 자세히 살피다. 수색하다.’의 뜻이라 합니다. ‘통찰하다. 탐색하다.’의 뜻도 지닌다 합니다. 어떤 학자는 ‘인간이 하나님의 가장 깊숙한 본질을 간파하는 데 사용하는 단어’라고 설명하기도 합니다.

아무튼 베드로 사도가 말하는 요지는 ‘선지자들은 구원의 때를 알려고 끊임없는 노력으로 그리스도에 대해 연구했다.’는 것입니다. ‘성경을 대충 건성건성 읽을 것이 아니라 탐색하고 통찰하듯 세심하게 읽어야 한다.’는 것까지 암시하고 있는 말씀입니다.

끝으로 사도 바울의 말입니다. “베뢰아 사람은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보다 더 신사적이어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행17:11)

“간절한”(파스)은 ‘모든, 온갖, 각각’의 뜻이고 “마음”(프로뒤미아)은 ‘열심, 성향, 소원, 결심’의 뜻이라 합니다. ‘모든 열심을 기울여서 성경을 읽으라.’는 뜻일 것입니다.

“상고하다.”(아나크리노)는 ‘조사하다. 검토하다. 심문하다.’의 뜻이라 합니다. ‘판단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합니다. ‘성경을 조사하듯 자세히 살피라.’는 뜻일 것입니다.

사도 바울의 권면은 ‘내 말도 성경에 비추어 비교한 베뢰아 사람들을 본받으라.’는 뜻입니다만, ‘성경은 형사가 죄수를 심문하듯 하나도 빠트림 없이 검토하고 조사하며 읽어야 한다.’는 뜻도 됩니다.


정리하겠습니다.

지금껏 살핀 것처럼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의 문제는 ‘하나님을 어떻게 알아갈 것인가?’에 대한 변형된 질문임을 알게 됩니다.

하나님을 알기 위해서는 유일한 계시인 성경에 의존할 수밖에 없고, 성경에 의존한다는 것은 읽는다는 것입니다. 이는 곧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의 다른 표현입니다.

성경을 읽는(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방법은 통독과 정독과 성독의 3가지 방법이 있고 정독(精讀)은 분명히 ‘성경을 읽는 옳은 방법’에 포함됩니다!

오늘은 대표적으로 성경 3 곳만 살폈지만 ‘열과 성을 다하고 최선을 다하여 탐구해야 함’을 강조하는 구절들이 무척 많습니다. 정독은 성경 읽는 지극히 정당한 방법 중의 하나임을 인정해야 합니다.

그러나 정독의 결과는 가볍지 않습니다. ‘성경의 모든 구절들을 명쾌히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는 결말에 이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정독의 어려움입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체험하지 못했다면 이는 성경을 정독해 보지 않았다는 반증일 뿐입니다. 성경을 단 한번만이라도 정독해 봤다면 반드시 이해 안 되는 구절들을 만날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 구절이 없다는 것은 성경을 건성으로 읽는다는 증거입니다.

성경을 읽으면서 이해 못하는 것은 결코 ‘사악한 행위’가 아닙니다. 오히려 지성의 한계를 지닌 인간이라면 반드시 그러한(이해하기 힘든) 현상에 직면해야만 합니다.


성경은, 일평생 읽어야 할 기독신앙의 유일한 “잣대”임을 고백함과 동시에, 반드시 정독(精讀=眼光紙背=知性을 최대한 활용하여 머리에 쥐가 나도록 애쓰며 읽는 것)해야 할 필요도 있다는 사실을 함께 고백하며 마칩니다.


배승형

2012.12.24 09:07:56
*.233.119.247

정순태님의 글을 오늘 읽엇습니다.
논리정연하고, 세련된 글을 보면서 교수님이 아닌가 생각하였습니다.
그리고 사라의 웃음님은 감(수)성이 얼마나 풍부하신지 글을 쓰시는 작가 분이 아닌가 생각되었습니다.
그런 분들께서 제 글에 답글을 달아 주시니 새삼 부끄러웠습니다.
저는 토목과(노가다과)를 졸업하여 글이 논리정연하지 못하고, 거친 말이 많아 읽기가 매우 거북하였으리라 생각 됩니다.
번데기 앞에 주름 잡는다고 새삼 부끄러울 뿐입니다.
정순태님의 글에 의하면 저의 묵상법은 정독법일 것입니다.
군대에서부터 시작하였으니 30년 조금 못 되었네요.
특별히 정해진 것은 없지만 저는 성경 자체로만 묵상합니다.
초기 묵상시절에는 주로 말씀들이 새로 와 닿기 시작하였고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눈에 들어 왔습니다.
그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을 붙잡고 이렇게 생각하고, 저렇게 생각하다가
그 의미가 이해가 되면 너무 기뻐 ‘달고 오묘한 그 말씀’이란 성경 말씀이 절로 이해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제 주위 사람들을 둘러 보면 그들도 분명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 있는데
대부분 이렇게 생각합니다.
‘이렇게 하다가 내가 이단으로 빠지는 것 아냐’
하면서 생각을 멈추어 버립니다.
대신 목사님 설교 말씀 들려 주시는 것에 충실히 따라 삽니다.
그렇게 한다고 구원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너무나도 순수한 신앙을 가진 우리 어머니들의 신앙을 보면
주일 아침예배, 수요기도회, 금요기도회, 새벽예배를 빠지지 않고 나가시면서
목사님 말씀에 순종하고, 교회에 충성 봉사하는 것이 하나님께 순종하는 것임을 철저히 믿고 그렇게 헌신 해 오신 아름다운 우리 어머니들의 신앙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말씀의 성장을 멈춘 사람들이 교회의 리더(목사, 장로, 권사, 안수집사 등)가 되면서
성화도 멈추고, 신앙인격의 성숙도 멈추어 자기 마음대로 교회를 섬기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그들이 교회를 분열시키고, 믿음이 약한 자에게 상처를 주고, 안티크리스챤을 만들어 내기 때문입니다.
그 점이 가장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비록 부족한 저에게 하나님께서 지혜를 주셔서 가끔 말씀을 깨닫는 것이 저를 종종 교만하게도 만들어 힘들어 할 때도 있지만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에 이르도록 자라기 위해서 정독법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 생각됩니다.

배승형

2012.12.24 13:33:24
*.234.165.213

글 수정이 안되어 다시 글을 씁니다.
그러나 말씀의 성장을 멈추어 성화도 멈추고, 신앙인격의 성숙도 멈춘 사람들이
교회의 리더(목사, 장로, 권사, 안수집사 등)가 되면서 자기 마음대로 교회를 섬기는 데 문제가 있습니다.

정순태

2012.12.24 14:03:18
*.142.126.91

배승형 형제님! 공감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짧은 댓글에서 짚어야 할 말들은 다 짚으셨네요. 글 충분히 잘 쓰십니다.

저는 교수 근처에도 못가는 민초입니다. 노가다과 나오셨다고 하시지만 저 보다는 낫습니다. 저는 머리부터 발끝까지 피부부터 뼈속까지 완벽한 군바리 출신입니다. 다른 분들은 그렇지 않지만, 저 개인은 지식이나 지성이나 논리성하고는 너무 먼 경력의 소유자입니다. 형제님을 혼란케 해드려서 미안한 마음입니다.

사라의 웃음님의 글솜씨는 자타가 공인하는 것입니다. 저 역시 즐겁게 읽고 있습니다.

‘성경 자체로만 묵상’하신다 하셨는데 저도 초기에는 그랬습니다. 그런데 조금 지나니까 그 방법도 한계가 있더라고요. 그후부터 주석이나 서적이나 논문 등을 참고하기도 합니다. 아마 그 방법이 조금 더 바람직하지 않을까 짐작해 봅니다.

다만 주석류 등의 도움을 받더라도, 그것들에 100% 얽매여서는 안된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주석 등 전문가들의 견해에도 오류가 무척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런 것들을 잘 살펴가며 참고해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어머니들의 신앙은 본받을 점이 참 많습니다. 순수하지요. 하지만 그것도 한계가 있습니다. ‘지극 정성’이 신앙생활의 유일한 요건은 아닐 것입니다. 자칫하면 무모한 신앙으로 전락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지나치게 도를 넘는 감성주의적 신앙 자세는 매우 위태할는지 모릅니다.

성경기반의 신앙은 특정인(목사 개인) 또는 집단들(신학자들 및 목회자들)의 가르침만으로 완성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그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지만 결코 100%는 아닐 것입니다.

기독신앙에 있어서 일반성도들 개개인의 역할 또한 결코 작은 것이 아닙니다. 모든 것을 목회자들에게 일임해 버리고 아무 생각없이 터덜터덜 따라가기만 하면 충분하지 않습니다.

비록 일반성도에 지나지 않는다 할지라도, 아주 작은 깨우침이라도 스스로 애써 알아가야 하며, 그렇게 안 것을 하나씩(고전14:31) 서로서로에게 나누어야 합니다. 이것이 “합력하여 선을 이루는”(롬8:28) 한 가지 방식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취지에서 배 형제님의 성경정독 습관에 대하여 전적으로 찬동합니다. 많이 발전하시고 또 그 과정에서 깨우침 받은 은혜를 자주 나눠 주시기를 부탁드려 봅니다.

아름다운 교제가 지속되기를 기도드립니다!!!

배승형

2012.12.24 22:52:29
*.234.165.213

메리 크리스마스! 오늘은 기쁜 날 우리 구주께서 오신 기쁜 성탄절이네요.
또 다시 저의 부족한 글에 답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두가지만 말씀드리면
우리 어머니 신앙은 저 같이 성경 지식만 늘어서 입만 나불대는 신앙보다
초등학교도 제대로 나오지 못하여 이해하는 것이 극히 국한된 신앙이라할찌라도
어쩌면 배운 말씀대로 하나님께 전적으로 헌신하고, 온 몸을 희생하신 순수한 믿음의 선진들이
머리로만 알고 있고 제대로 헌신하지 못하는 저보다 훨씬 나을 수 있다는 말씀을 드린 것이고,
(그 반대로 문란을 일으키는 것에 대하여는 위에서 언급하였고)
두번째는 저도 가끔식 다른 책들을 읽으면서 새롭게 깨닫고 은혜를 느낄 때도 있지만
성경 말씀을 주석이나 다른 서적 역시 묵상하는 데 방해가 될 경우가 있어
아직까지는 성경 만을 의지하고 묵상합니다. 이것이 저의 한계이지요.
주석류를 참고하는 것은 정확한 묵상을 하는 데 장점이 있을 것 같구요.
그것을 참고하는 순간 저 스스로의 묵상이 멈추어 버리는 단점이 있을 수도 있는 것 같습니다.
반대로 주석을 참고하지 않는 묵상은 엉뚱한대로 흘러갈 가능성이 있는 단점이 있습니다만
아직까지 저에게 맞는 묵상법은 성경 자체로 묵상하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이것이 저의 한계이지요.
정형제님께서 조언 해 주신 것을 유념하여 언젠가 저도 더 깊은 묵상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에 살고 계십니까? 시차가 나서 자고 일어나면 대화하고 하는 것이 재미있네요^^
기쁜 성탄 주님의 은혜와 축복이 가득하길 기도합니다.
샬롬!

세힘

2013.02.02 12:09:28
*.100.27.84

오랜만에 뵙습니다. 늘 감동하는 바와 같이 이 글도 그러합니다. 눈에 안 보이는 하나님을 믿는다면서 눈에 보이는 성경말씀은 뒷전으로 하는 모순이 온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것을 봅니다.

우리 말에 신기한 현상(?)이 하나 있는데 마치 "성경읽기"를 미리 상징하려고 하신 조상들의 뜻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쓰는 말의 대부분이 "~ 보라"의 형태를 띠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길게 설명할 필요없이 "먹어 봐, 들어 봐, 이래 봐, 저래 봐, ~~봐" ... 뭐든지 "보라"고 한다는 것입니다.

성경 곳곳에는 "성령께서 모든 것을 알게 하신다"는 약속이 기록되어 있는데도, 사람의 말은 다 믿으면서 "성령이 알게 하시는 일"은 믿지 않는 현상, 어찌보면 중세의 암흑보다 더 한 흑암이 소위 믿는 자들을 뒤덮고 있는 세태에서 형제님의 글은 빛의 비수처럼 어둠을 찢어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1 [일반칼럼] 기복염거(驥服鹽車) 탄식 속에 담겨 있는 작은 위안 정순태 2015-11-20 681
200 [묵상] 거짓 교사들의 모습 [1] 정순태 2015-11-07 1070
199 [단상] 그리스도인으로 세상 살아가기(Ⅴ). 지난 후에 밀려오는 이 아쉬움은? 정순태 2015-10-23 358
198 [단상] 그리스도인으로 세상 살아가기(Ⅳ). 선물마저 뇌물로 여겨 되돌려준 고지식한 사람 정순태 2015-10-23 276
197 [단상] 그리스도인으로 세상 살아가기(Ⅲ) - 오연의 힘 정순태 2015-10-12 185
196 [단상] 그리스도인으로 세상 살아가기(Ⅱ) - 요령 부족 [1] 정순태 2015-09-11 335
195 [알고 파서] ‘성경 문답’ 방을 따로 만들면서 정순태 2015-09-04 183
194 [묵상] 성경 읽는 방법 – 어떻게 읽을 것인가?(4) [1] 정순태 2015-08-29 377
193 [자작시] 님 그리는 노래(思耶蘇曲) [7] 정순태 2015-08-14 235
192 [소개] 맑은바람소리란? [4] 정순태 2015-08-08 431
191 [묵상] 성경 읽는 방법 – 어떻게 읽을 것인가?(3) [13] 정순태 2013-01-05 1348
190 [묵상] 성경 읽는 방법 – 어떻게 읽을 것인가?(2) [2] 정순태 2012-12-29 987
» [묵상] 성경 읽는 방법 – 어떻게 읽을 것인가?(1) [5] 정순태 2012-12-22 2878
188 [묵상] 성숙한 성도들의 자의식 변화 과정 [2] 정순태 2012-12-08 827
187 [단상] 등평도수와 능공허도 [2] 정순태 2012-11-17 1948
186 [회상] 상담요원으로 부르심 받은 형제님 자매님들께 [1] 정순태 2012-10-21 657
185 [단상] ‘목사는 복음의 천적’이라는데… [4] 정순태 2012-10-06 899
184 [펌글] 목사는 복음의 천적 [1] 정순태 2012-09-23 907
183 [단상] 표월지(標月指) 신앙 [1] 정순태 2012-09-07 756
182 [묵상] 예수께서 꿈꾸신 교회는? [5] 정순태 2012-08-11 112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