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명하복을 최고의 덕목으로 삼는 획일주의적 조직에서 오랫동안 일했습니다. “상관은 하눌님과 동격이며 부모님과 동기동창이다!”라는 비공식 모토가 서슬 퍼렇게 살아 있는 곳입니다. 상관의 명시적 명령과 지시는 물론이거니와 묵시적 의도까지 무조건 따르는 것이 선(善)으로 대접받습니다.

이 조직의 경직된 문화는 결코 바람직한 사고체계가 아닙니다. 그러나 말도 안 되는 이 모토가 나름대로 수용될 뿐 아니라 긍정적 효력을 발휘하기도 하는 것으로 압니다.

교회생활 시작 초기, 적응의 어려움이 전혀 없었습니다. 교회 내에도 일종의 상명하복 문화가 존재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 말씀에 절대 순종하는 것은 당연히 수용할 수 있었습니다. 나아가 목사를 비롯한 지도자들에게까지 절대 복종해야 한다고 요구받았지만, 별다른 거부감을 느끼지 않았습니다.

당연히 교회를 향한 ‘비판’ 의식이 없었습니다. 교회에서 가르치는 것은 전부 옳다 여겼고, 목사의 말은 무조건 신뢰하고 순복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대부분 그리 행동했었습니다.

약 30여 년의 교회생활이 순탄하지만은 않았습니다. 어느 날부터인가 많은 문제점들이 보이기 시작했고, 그에 따른 의구심은 해소되지 않았습니다. 자연스레 ‘이래서는 곤란하지 않느냐. 개선해야 될 것 같다.’는 취지의 비판적 인식이 싹트게 되었습니다. 몇 번 입 밖에 내어 말해 보았으나 공허함만 더해갈 뿐이었습니다.

하지만 더욱 괴로운 것은, 비판적 시각으로 살피다 보니, 오히려 개인영성이 부정적으로 변하는 것 같다는 점이었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지적하고 싶은 마음이 크게 줄어들었고, 그러던 중, 건강상의 사소한 이상을 하나님의 금지로 해석하여 ‘절필’을 선언하기에까지 이르렀던 것입니다.


우연히 좋은 Book Review를 읽었습니다. ‘크레이그 히크만’의 “똑똑한 리더의 치명적 착각”이라는 책의 요약이었습니다. 거기에 이런 말들이 있었습니다.

“세상을 변화시키려 한다면 훨씬 더 방자하고 분통을 터트리려는 사람이 많이 필요하다.”
“불평불만의 직원들, 골칫거리가 아니다.”

작금의 한국교회 실상을 보고도 아무 문제의식을 느끼지 못한다면 지극히 불행한 현상입니다. ‘정통신앙’이라는 스스로의 확신과 달리 이는 치유 난망의 중증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치명적인 비극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방자하고 분통이나 터트리는’ 문제아로 지목받는 한이 있더라도, ‘우리 잘 하자. 좀 바꾸자.’라며 자성의 목소리 내는 비판론자가 그리운 시대일는지 모릅니다.

비판은 무조건 부정적 현상이 아닐 수 있습니다. 애정의 다른 표현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동안 칼럼 재개 여부를 놓고 계속 기도해 왔습니다. 그리고 목사님과 다른 성도님들의 권면의 말씀도 기억합니다.

비록 뚜렷한 음성으로 허락(칼럼을 재개해도 좋다는) 받지는 못했을지라도, 작은 부분이나마 나누는 것이 합당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므로 형편없는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칼럼을 재개하기로 하였습니다. 비판적 견해도 일부 포함될 것입니다. 비판 자체를 목적하는 것은 아니나, 여전히 교회를 사랑하기에, 지적만이라도 하고 싶어서입니다.

비판마저 포기할 정도로 교회에 대한 애정이 식은 것은 아니라는 고백을 곁들이면서, 허락하시는 데까지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41 [단상] 골프와 방언 은사 [1] 정순태 2007-11-24 1582
140 [단상] 어느 목사의 신앙칼럼과 소감 [1] 정순태 2007-09-29 1568
139 [단상] 사두마차와 근위병 정순태 2008-05-17 1562
138 [서평] 언제부터 부자가 천국가기 더 쉬워졌는지? [3] 정순태 2008-09-13 1561
137 [단상] 짝사랑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5] 정순태 2008-04-05 1556
136 [단상] 가을 산행 [2] 정순태 2007-01-06 1550
135 [묵상] 태초로부터 베드로에게로 [2] 정순태 2008-08-09 1550
134 [고백] 교사의 고백 - 그 마음 한 조각 [1] 정순태 2007-02-17 1546
133 [단상] 정제되지 못한 간증의 위험 [4] 정순태 2007-04-14 1541
132 [묵상] 목사 예복(예배복) Ⅱ [3] 정순태 2009-08-15 1534
131 [단상] 누가 곤고한 사람인가? [1] 정순태 2008-05-31 1532
130 [단상] 빛과 소금 [5] 정순태 2007-03-03 1519
129 [단상] 방언은 성령시대의 대표적 징표인가? 정순태 2007-11-24 1506
128 [묵상] 수지맞은 구경꾼(출14:1-14) [1] 정순태 2007-04-27 1504
127 [환우나눔] 아주 작은 소자들의 지극히 작은 나눔 이야기 정순태 2007-04-01 1498
126 [서평] 지록위록(指鹿爲鹿)의 잘못? 정순태 2008-10-04 1486
125 [목자상] 03. ‘목사’ 직분의 개관(Ⅱ) 정순태 2009-10-24 1450
124 [이의] 성소 안에서 잠 잔 사무엘? 정순태 2012-05-28 1432
123 [단상] 예수님은 흥하고 목사는 망해야한다! [4] 정순태 2007-06-02 1420
122 [서평] 진 에드워즈의 "가정집 모임은 어떻게"(대장간)를 읽고 정순태 2008-05-03 14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