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 소명신학의 오류(미비점)

앞서 살핀대로, ‘소명’이라는 단어를 오직 목사에게만 배타적으로 잘못 적용함으로써 야기되는 가장 치명적인 결과는 ‘목사의 위상’입니다.

현대신학은 목사를 교회의 유일한 단독리더십으로 착각합니다. 그리고 목사를 준천사급에 속하는 별종의 존재로 오도합니다. 이 묵상의 목적이 ‘목사 준천사연화(準天使然化)의 위험’을 경계하고자 하는 데에 있으므로, 이 문제는 묵상 전체에 걸쳐 천천히 살피기로 하고, 여기서는 목사의 단독리더십의 오해만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목사가 교회 리더십의 일부임을 부인할 수도 없고 부인해서도 안 됩니다. 분명 리더십에 속합니다. 문제는 이를 지나치게 강조함으로써 ‘단독리더십’으로 비화하는 데에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을 초래하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바로 ‘왜곡된 소명신학’입니다. 한 마디로, 목사만 ‘부르심’을 받을 수 있다는 엄청난 착각인 것이지요.

뒤에서 별도로 짚어볼 것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간략히 요약만 하겠습니다.

성경에 의하면, 목사는 교회의 단독리더십이 아니라 복수리더십에 속하는 지체입니다! 이를 극명하게 증거하는 구절이 딤전3:2-7절 및 딛1:7-9절입니다. ‘감독과 장로’의 자질 내지 자격을 선포하는 이 구절이야말로 목사의 복수리더십을 천명하는 것이며 이는 달리 말해 목사의 단독리더십을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구절인 것입니다. 목사는 성경의 감독 및 장로에 해당되는 직분이며 이는 명백한 복수리더십입니다!

디모데전서와 디도서에 제시된 자질들은 총 23가지입니다. 추후 이 부분은 헬라어 검토를 통해 다시 살필 것입니다만, 이 모든 항목들은 전부 ‘검증될 수 있는 객관적 자질’이라는 사실을 직시해야만 합니다.

그렇다면 목사란 객관적 검증이 가능한 자질을 은사로 얻은 자들이어야 합니다. 교회가 이런 자질을 지닌 자들을 목사로 택하여 세워야 하는 것입니다.

이 점에서 현대신학의 미비점이 식별됩니다. 즉, 그것은 부르심을 지나칠 정도로(성경의 한도를 넘어) 목사에게만 한정 적용시킨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누구든 “나는 하나님의 목소리를 들었다. 나의 목사됨은 하나님의 보증을 받은 것이다.”라고 하면 아무 반론도 제기할 수 없게 만들어 버렸습니다.

그러므로 이미 기득권을 보유한 신학자/목사들의 교회 직분 내지 리더십 관련 글들을 읽어보면, 거의 대다수가 목사 중심적 사고로써, ‘소명’을 목사 직분에 강조 적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에 이 문제 역시 별도로 짚겠습니다만, 미리 한마디 하면, 이는 목사들이 하나님을 등 뒤에 업고 하나님의 권위를 불법적으로 차용(악용)하는 행위입니다. 흔히 말하는 호가호위(狐假虎威)로서 절대 옳지 못한 현상입니다.

▣ ‘소명신학’의 실제 적용상 주의사항

지금까지 살핀 논리(단어의 의미 및 다른 학자들의 견해)의 연장선상에서, 개인적으로는, ‘소명’을 이렇게 정리하고 싶습니다.

『소명이란 ①하나님의 의지에서 발현된 부르심이며, ②이는 개별적 사명(임무)임과 동시에, ③모든 성도들을 염두에 둔 공동체적 선물이다!』

이 개인적 ‘소명관’에 대해 약간의 부연설명과 현실에서 적용할 때의 주의사항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①“하나님의 의지에서 발현된 부르심”이라는 정의에 관한 것입니다. 소명의 주권이 전적으로 하나님께 있다는 뜻입니다. 소명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주님의 주권으로 부르시는 것입니다.

두 번째, ②“개별적 사명(임무)”라는 말은 하나님께서 일하시는 방법론적 표현입니다. 하나님은 한 사람 한 사람을 개인적으로 부르시고 사명을 주십니다. 직업(vocation=광의로 해석하면 모든 ‘세상 직업’ 포함)입니다. 소명의 개인성이라 할 것입니다. 꼭 기억해야 할 것은, 비록 문자는 ‘개별적’이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나 그 의미는 반드시 ‘공동체적’임을 인식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③과의 접점을 지녀야 합니다.

세 번째, ③“모든 성도들을 염두에 둔 공동체적 선물”이라는 말은 주님의 몸(교회)의 공동성을 강조하는 말입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먼저 개인을 부르시고 이를 토대로 민족(다수)의 부르심으로 확대되었음을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경이 ‘다수’에 무게중심을 두고 서술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다수는 하나님의 계획상 매우 중요합니다. 천국도, 에덴동산도, 교회도, 모두 ‘다수’ 공동체입니다.

아울러 ‘선물’이라는 용어의 일차적 의미도 되새겨야 합니다. 즉, 선물은 무조건 값이 없어야 합니다. 단 일푼의 반대급부라도 필요하다면 이는 절대로 선물이 아닙니다. 선물이라는 용어에서 더 기억해야 할 점은 받는 자에게는 절대로 권한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받는 자는 그냥 받을 뿐입니다. 자랑할 수 없고 자랑해서는 절대 안 됩니다.

그런데 성경은 이 ‘선물’이라는 말을 또 다른 말로 표현합니다. 우리가 잘 아는 “은사”입니다. 은사가 곧 선물입니다.


이제 어느 정도 윤곽이 잡혔으므로 정리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접하게 되는 ‘소명신학’은 ①은 충분히 강조하는 반면, ②를 간과하면서, ③을 특정 직분에 한정시키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잘못된 ‘소명관’ 때문에, ‘오직 목사에게만 하나님의 강권적 부르심이 작용하고 나머지 성도에게는 해당되지 않는다.’는 오해가 싹트게 되었던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현대 소명신학은, 위의 세 가지 강조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함으로써 ‘소명’에 대한 개념을 ‘신학적’으로 오도하고 있는 것입니다. ‘신학적 오해’란 ‘특정 개인을 강조하는 부르심 해석’을 의미합니다.

아무튼 우리는 성경이 말씀하시는 ‘소명’에 관한 바른 이해를 가질 때라야 바른 믿음 위에 설 수 있다는 진실을 깨달아야 합니다. 목사들이 자신들의 욕심을 위장하기 위해 굴절시킨 ‘유사소명론’(=목사성직론)에 발목 잡혀, 실패하지 않도록 조심해야만 합니다.  


2회에 걸쳐 ‘소명’의 개념을 살폈습니다만 좀 애매하고 두루뭉술한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한  번 더 요약하겠습니다. 성경이 보증하는 ‘소명’이란 ‘성도로의 부르심’을 의미하는 것이지, 특정 직분에 배타적으로 적용되는 개념이 아닙니다. 장로도 안수집사도 권사도 서리집사도 권찰도 세례교인도 모두모두 ‘소명’받은 성도인 것입니다. 목사만 소명 받는 게 아닙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41 [묵상] 사랑(1) (마5:21-48) 정순태 2011-04-23 808
140 [단상] 택도 없는 소리 [1] 정순태 2011-04-15 588
139 [이의] 리브가의 유모가 어떻게 야곱과 함께? [2] 정순태 2011-04-07 2549
» [목자상] 07. 소명(사명/부르심) 신학의 오해(2) [3] 정순태 2011-04-02 1157
137 [목자상] 06. 소명(사명/부르심) 신학의 오해(1) [1] 정순태 2011-03-26 3071
136 [묵상] 영영히 끊어지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은혜 [5] 정순태 2011-03-23 613
135 [re] [답글] 홀아비 사정은… [2] 정순태 2011-03-13 544
134 [묵상] 너희가 어찌 하려느냐? [2] 정순태 2011-03-11 659
133 [독후감] 오강남 박사님과 박신 목사님의 책을 읽고 [3] 정순태 2011-03-05 891
132 [칼럼 재개의 변] 애정이 없으면 비판도 없다! [12] 정순태 2011-03-01 561
131 [절필] ‘맑은바람소리’ 칼럼을 끝마치며 [6] 정순태 2010-01-02 934
130 [단상] 교회는 내부고발자를 수용할 수 있을 것인가? 정순태 2009-12-12 920
129 [단상] 선점(先占)이 장땡이다? 정순태 2009-12-05 815
128 [단상] ‘혹시나?’가 ‘역시나!’로 정순태 2009-11-28 801
127 [단상] 성직자(?)의 사례금에도 세금을? [1] 정순태 2009-11-21 879
126 [목자상] 05. 권위와 권세의 의미 정순태 2009-11-14 3410
125 [단상] 진정한 미인의 아름다운 유언 정순태 2009-11-06 879
124 [단상] 마리아는 예수님의 어머니가 될 수 있는가? [3] 정순태 2009-10-31 1401
123 [목자상] 04 ‘목사’ 직분의 개관(Ⅲ) 정순태 2009-10-24 1013
122 [목자상] 03. ‘목사’ 직분의 개관(Ⅱ) 정순태 2009-10-24 145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