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35:8절에도 이해가 쉽지 않은 내용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리브가의 유모 드보라가 죽으매”라는 기록입니다.

야곱의 어머니 리브가의 유모는 이미 오래전에 가나안 땅으로 보내졌습니다. 창24:59절을 보면, 리브가의 아버지 브두엘과 오라비 라반이 그녀를 이삭의 아내로 보내면서, 그녀의 유모(her nurse)도 함께 보냅니다. 리브가의 유모는 같은 혈족이기보다는 혈통이 다른 아람 족속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겠습니다.

  ○ 여기서 ‘유모’는 히브리어 “야낙”(yanaq)으로서 ‘(젖을) 빨다. (젖을) 먹이다.’의 뜻입니다. 창24:59절에서는 ‘젖 먹이는 여인’을 가리키는 분사형이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 그렇다면 유모는 리브가가 태어났을 때 젖을 충분히 생산하는 성년(즉, 이미 출산경험이 있는)에 이른 여인이어야만 합니다.

  ○ 따라서 이후, 유모와 리브가의 나이 차이는 편의상 20세로 간주하고 계속하겠습니다.

창35:8절 당시 리브가의 유모는 매우 늙은 나이였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리브가의 유모가 되려면 적어도 리브가보다는 약 20여세 이상 연장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 리브가가 몇 살에 에서와 야곱을 낳았는지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아버지 이삭의 나이를 고려할 때(에서와 야곱은 이삭이 60세 때에 출생함), 야곱 출생 당시 어머니 리브가는 적어도 30-40세에 이르렀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다면 리브가의 유모는 야곱보다 최소 50여세 이상 연장이 될 것입니다.

  ○ 창35:8절이 기록된 시기는 야곱이 밧단아람에서 귀환한 이후의 일입니다. 야곱이 밧단아람에서 귀환할 때의 나이도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일부 학자는 약 100세로 계산했습니다만, 저는 약 96세라고 생각합니다. 학자의 견해에 따라 100세로 간주해도 리브가의 유모는 약 150여세에 사망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합니다. 별로 무리한 추정은 아닌 듯합니다.

그러나 문제는 리브가의 유모가 언제 야곱과 함께 밧단아람으로 갔느냐에 있습니다. 야곱이 형 에서를 피신하는 장면이 기록된 창28장을 아무리 세심하게 살펴보아도, 리브가의 유모가 야곱과 함께 밧단아람으로 갔을 것으로 추론할만한 근거는 없는 것 같습니다.

  ○ 돌베개를 하고 잠 잔 기사(창28:11)는 동행이 있음을 암시하기는커녕 오히려 단신으로 여행하는 듯한 분위기가 느껴집니다.

  ○ 또 29장에서 야곱이 외사촌 라헬과 그 가족을 상봉하는 장면에서도 리브가의 유모의 존재를 암시하는 단서가 하나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 만약 리브가의 유모가 야곱이 최초 밧단아람으로 피신할 때 동행하지 않았다면 그 이후의 어느 시점엔가 밧단아람으로 가서 야곱과 함께 살기 시작했다고 보아야 합니다.

바로 이점에서 의문이 생깁니다. 언제 그녀는 밧단아람에 거주하고 있던 야곱에게로 갔을까요? 성경이 침묵하고 있기에 정확한 근거를 제시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이런 저런 추정은 가능할 것입니다.

  ○ 사실 야곱이 외삼촌 집으로 피신할 당시, 부모인 이삭과 리브가와 당사자인 야곱도 그리 오랜 기간이 걸리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특히 리브가는 단지 “몇 날 동안”(창27:44) 정도만 피하면 될 것으로 알았습니다.

  ○ 하지만 성경은 한번 헤어진 리브가와 야곱이 살아서 상봉했다는 기사를 기록하지 않고 있습니다. 아마 이 모자는 영영 이별하고 말았던 것 같습니다.

  ○ 그렇다면, 어미 리브가의 야곱을 향한 사랑을 고려할 때, 서로 왕래는 못할망정, 최대한의 연락을 취하며 살았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입니다.

  ○ 서로 간절히 만나기 원하는 모자지간의 연락책임자로서 리브가의 유모를 떠올리는 것은 아주 자연스러운 일일 것입니다. 밧단아람의 가족들을 잘 알고 있고, 리브가의 마음을 정확히 알고 있었기에, 모자간의 애틋한 정을 나누기에 이보다 더 좋은 적임자는 없었을 것입니다.

  ○ 몇 번 왕래하다 리브가가 사망하자 더 이상 왕래할 필요성이 없어진 리브가의 유모는 야곱과 함께 거주하다가 야곱의 귀환시 함께 귀환했다고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추론일 것입니다.

물론 이러한 추론에 미비점이 없는 것은 아닙니다. 가장 큰 반론은, 야곱의 밧단아람 피신 초기, 리브가의 유모의 나이가 이미 고령이었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 어떤 학자는 야곱의 밧단아람 이주시의 나이를 60세로 추정합니다만, 저는 76세로 계산했던 바가 있습니다.

  ○ 누구의 계산이 맞던지, 일단 리브가의 유모는 이 당시 이미 약 100여세를 넘은 나이였을 것이라는 점입니다.

  ○ 이 정도의 고령이고 또 여성이라는 한계를 지니고, 여러번 가나안과 밧단아람을 왕복하며 리브가와 야곱의 소식을 전달할 수 있었을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비록 낙타와 종들의 협력을 받았겠지만 그래도 쉽지 않은 여정이었을 것입니다.


아무튼, 성경은 전후 설명이 생략된 체, 리브가의 유모가 야곱과 함께 동행했다는 사실만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봤으나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 또한 미해결의 영역으로 남겨둘 수밖에 없다 하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41 [단상] 골프와 방언 은사 [1] 정순태 2007-11-24 1582
140 [단상] 어느 목사의 신앙칼럼과 소감 [1] 정순태 2007-09-29 1568
139 [단상] 사두마차와 근위병 정순태 2008-05-17 1562
138 [서평] 언제부터 부자가 천국가기 더 쉬워졌는지? [3] 정순태 2008-09-13 1561
137 [단상] 짝사랑이 인생의 전부는 아니다! [5] 정순태 2008-04-05 1556
136 [단상] 가을 산행 [2] 정순태 2007-01-06 1550
135 [묵상] 태초로부터 베드로에게로 [2] 정순태 2008-08-09 1550
134 [고백] 교사의 고백 - 그 마음 한 조각 [1] 정순태 2007-02-17 1546
133 [단상] 정제되지 못한 간증의 위험 [4] 정순태 2007-04-14 1541
132 [묵상] 목사 예복(예배복) Ⅱ [3] 정순태 2009-08-15 1534
131 [단상] 누가 곤고한 사람인가? [1] 정순태 2008-05-31 1532
130 [단상] 빛과 소금 [5] 정순태 2007-03-03 1519
129 [단상] 방언은 성령시대의 대표적 징표인가? 정순태 2007-11-24 1506
128 [묵상] 수지맞은 구경꾼(출14:1-14) [1] 정순태 2007-04-27 1504
127 [환우나눔] 아주 작은 소자들의 지극히 작은 나눔 이야기 정순태 2007-04-01 1498
126 [서평] 지록위록(指鹿爲鹿)의 잘못? 정순태 2008-10-04 1486
125 [목자상] 03. ‘목사’ 직분의 개관(Ⅱ) 정순태 2009-10-24 1450
124 [이의] 성소 안에서 잠 잔 사무엘? 정순태 2012-05-28 1432
123 [단상] 예수님은 흥하고 목사는 망해야한다! [4] 정순태 2007-06-02 1420
122 [서평] 진 에드워즈의 "가정집 모임은 어떻게"(대장간)를 읽고 정순태 2008-05-03 14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