갈라파고스 섬의 가마우지새

조회 수 60 추천 수 1 2021.08.03 18:16:17

갈라파고스 섬의 가마우지새

 

갈라파고스의 가마우지 새는 날지 못한다. 이것의 날개가 너무 작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새는 물고기와 작은 문어 및 다른 해산물들을 먹으며 훌륭히 살아남아 있다.

 

갈라파고스의 동식물들은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비글호를 타고 세계를 여행 했던 찰스 다윈과 영원히 연관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위키피디아에서 이런 글을 읽는 것은 그리 놀랄만한 일이 아니다: “이들 가마우지 새는 약탈자가 없는 이 섬에서 진화했다. 적이 없으므로 먹을거리가 많은 해변가를 따라 물질을 하여 주로 먹이를 얻었고 번식할 장소로 여행할 필요가 없었기에 이 새는 결국 비행하지 못하게 변화했다. 비행하는 날개에 잡혀있는 공기는 수면으로부터 잠수하는 새에게는 불이익이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자신의 조그마한 날개의 “진화”가 어떻게 가마우지 새에게 그런 유익이 되었을까? 동일한 장소에서 살며 집을 짓고 먹이를 잡는 다른 여러 종의 바닷새들이 있는데 진화가 이들의 날개를 작게 만드는 것은 적합하다고 생각지 않았다니...

 

마찬가지로 훨씬 더 나은 더 과학적인 설명이 있다. 가마우지 새들의 날개들이 비정상으로 변형되었다. 비즈 소데라 박사는 “가장 가능한 설명은 유해한 돌연변이가 발생하여 원래의 갈라파고스 가마우지 새들을 날지 못하게 만들었다.”고 말한다. 약탈자가 없어서 이 기형의 새들은 살아남았다. 지구상의 많은 다른 날지 못하는 새들은 날지 못함으로 진화한 것이 아니라 아담의 원죄로 부터 온 타락으로 나타난 불행의 결과이다.

 

Author Paul F. Taylor

Ref: Sodera, V. (Second Edition: 2009), One Small Speck to Man (London: Viija Sodera Productions), pp. 153-155. © 2021 Creation Moments.  All rights reserv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246 당신의 20 와트 뇌 김 계환 2007-12-16 1333
1245 심해 전문가 김 계환 2007-12-17 1378
1244 개구리들의 창의적인 방송 해결책 김 계환 2007-12-23 1176
1243 애벌레의 음식 선택 김 계환 2007-12-24 1328
1242 그리 단단하지 않은 달표면 김 계환 2008-01-01 1463
1241 사실이 아니었던 사실들 김 계환 2008-01-03 1579
1240 온혈 호박벌 김 계환 2008-01-09 1324
1239 토마스 제퍼슨이 말한다 김 계환 2008-01-10 1363
1238 침펜지들이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다 김 계환 2008-01-14 1229
1237 뱀 진화로 부터 떨어져 나가 버린 다리들 김 계환 2008-01-19 1484
1236 금붕어 어항안에서의 총천연색 삶 [2] 김 계환 2008-01-22 1594
1235 사막에서 낙시하는 뱀 김 계환 2008-01-24 1519
1234 1988년의 노아의 방주 탐사 김 계환 2008-01-25 1664
1233 위험스러운 경이 김 계환 2008-01-29 1617
1232 암컷인가 수컷인가? 김 계환 2008-02-04 1478
1231 먹는 기계 김 계환 2008-02-06 1482
1230 기막히게 하는 치이타 김 계환 2008-02-07 1657
1229 벌빵의 비밀 김 계환 2008-02-13 2189
1228 노벨상 수상자가 영혼을 암시한다. 김 계환 2008-02-17 1558
1227 엄마들이 언제나 알고있던 것 김 계환 2008-02-22 153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