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옴] 그리스도인에게 고난은 당연한 것

조회 수 2343 추천 수 284 2007.02.02 14:58:51
운영자 *.104.224.164
고난에 대한 필립 얀시의 고찰
“내 눈이 주의 영광을 보네”(좋은 씨앗사 간, 홍종락 옮김) 중에서 발췌함



나는 중국의 미등록 가정 교회를 찾아온 한 사람에게 그곳의 그리스도인들이 가혹한 정부정책의 완화를 위해 기도하느냐고 물었다. 잠시 생각한 후, 그는 중국 그리스도인들이 탄압의 완화를 위해 기도하는 것을 들은 적이 없다고 대답했다. “우리는 당연히 박해를 받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그가 말했다. “다른 것을 상상할 수 없습니다.”

그가 든 한 가지 실례로, 한 목사는 무허가 교회 모임을 열었다는 이유로 27년간 강제노역을 살았다. 감옥에서 나와 교회로 돌아온 그는 그동안 기도해준 교인들에게 감사를 전했다. “저의 안전을 위한 여러분의 기도에 하나님이 응답해주셨습니다.” (기도한 것은 목사의 안전이었지 핍박의 완화가 아니었다.-운영자주)

나는 종교 활동을 정책적으로 가혹하게 탄압하는 독재 국가 미얀마에서도 상황이 동일함을 알게 되었다. 나를 미얀마로 초청한 분이 이렇게 알려 주었다. “목회자들이 말씀을 하실 때, 그들이 대부분 신앙 때문에 감옥살이를 했다는 것을 유념하셔야 합니다.”

“그럼 고통이나 하나님에 대한 실망을 주제로 이야기해야 하나요?”라고 내가 물었다. “아, 아닙니다. 그건 이곳 사람들의 관심사가 아닙니다.” 그가 말했다. “우리는 신앙 때문에 으레 박해를 받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선생님께 은혜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우리는 서로 잘 지내기 위해 도움이 필요합니다.”

나는 바울 서신과 사도행전을 읽으면서 사도들에게는 보이지 않는 세계가 주위의 보이는 세계보다 더욱 분명한 현실이었다는 사실에 그만 압도되고 말았다. 예수님도 이 세상에서 환난을 당하셨다. 그러나 죽음에서 다시 살아나셨고 승리와 소망의 약속을 주셨다. 그들은 예수님께 미래를 맡겼다.

고통을 많이 겪으면 불평할 거리도 덩달아 많아질 듯하지만, 많은 고통을 겪은 저자일수록 책에서 불평을 찾아보기 어렵다. 현재 많은 박해가 진행되는 나라의 기독교인들에게서 동일한 상황을 볼 수 있다.

17세기 영국의 온갖 힘든 상황을 겪고 말년에 감옥까지 간 리처드 백스터는, 영원한 안식을 우리의 최종 목표로 정하게 되면 고난이 다르게 보인다고 말한다. 이어서 고난은 이생을 우리의 안식처로 착각하지 않도록 확실하게 막아준다고 말한다. 우리가 세상과 너무 깊이 사랑에 빠지면, 돌연 고난이 나타나 마법의 주문을 깨뜨린다는 것이다.

지상에서 고난을 겪지 않는 사람은 없다. 고난을 받아들이는 방식은 우리가 친숙한 이 세상을 초월하는 또 다른 현실을 믿는가에 달라진다. 성경은 고난이나 부당한 상황을 외면하지 않는다. 성경은 다만 모든 증거가 참작될 때까지 최종 판단을 미뤄두라고 권할 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52 [독후감]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을 읽고 정순태 2006-01-05 1821
51 [독후감] ‘썬다 싱’의 생애 「히말라야의 눈꽃」을 읽고 [1] 정순태 2006-10-23 1841
50 한국판 하늘에 속한 사람 [맨발의 천사 -김우현- ] 박정명 2005-06-06 1852
49 [책소개] 천주교인들이 저술한 마리아 연구서 소개 정순태 2006-04-18 1853
48 김우현의 "애통하는 자는 복이 있나니"(팔복2편)를 읽고 박정명 2006-01-12 1867
47 [퍼옴]믿음의 반대는 긍정과 목적이다. [1] 운영자 2006-02-17 1876
46 [독후감] 읽을수록 고통스러운 책 "교회가 없다"를 다시 읽고 정순태 2006-02-08 1882
45 나는 여기 서 있습니다. [1] 박정명 2006-08-01 1887
44 다빈치 코드 - 소고(小考) [3] 운영자 2005-08-08 1931
43 이랜드사장이 전하는 성공적인삶 국중후 2006-10-20 1959
42 “이제 말해 보렴, 너는 거듭났니?” 국중후 2006-11-16 1973
41 [퍼옴] 무의미가 이루는 의미 [1] 운영자 2008-06-16 2061
40 프란시스 쉐퍼에 심취하여 운영자 2005-05-28 2130
39 [독후감] 더글라스 웹스터 목사의 “낮아짐”을 읽고(규장).{이것이 참 진리!!!} [2] 정순태 2006-08-06 2164
38 목사에게 너무 실망한 한 평신도의 변(辨) [2] 운영자 2005-11-03 2170
37 [퍼옴] 토저의 서약 기도 [1] 운영자 2007-03-07 2245
36 하늘에 속한 사람을 읽고 김 계환 2005-04-27 2316
35 [독후감] 소강석 목사의 "신정주의 교회를 회복하라."를 읽고 [1] 정순태 2006-07-25 2316
34 [퍼옴] 긍정의 힘! 믿음의 힘! 운영자 2006-10-30 2329
» [퍼옴] 그리스도인에게 고난은 당연한 것 운영자 2007-02-02 234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