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옴] 하나님이 악을 만드셨는가?-아인슈타인의 명답

조회 수 4197 추천 수 23 2014.03.05 14:36:57
운영자 *.119.139.57
내게 이런 질문을 한다면 나의 대답은...? !

한 대학 교수가 학생들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하나님이 존재하는 모든 것을 창조 하였는가?"
한 학생이 용감히 대답하였다.
"예, 그렇습니다!"

교수가 다시 물었다.
"하나님이 모든 것을 창조 하셨는가?"
학생이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교수님."

교수가 말했다.
"만약 하나님이 모든 것을 창조 하셨다면
악(evil, 惡)도 존재 하므로 하나님은 악도 창조 하셨네.
그리고 우리의 성과(work)가 우리가 누군지를 규정 짓는다는 원리에 근거 한다면,
하나님은 악(惡)이다."
학생은 이 말에 조용해졌다.
교수는 스스로에게 대단히 만족해 하며
학생들에게 하나님을 믿는 신앙은 미신 임을 다시 한 번 증명 했다며 으쓱해 했다.

다른 학생이 손을 들고 말했다.
"교수님, 질문을 해도 되겠습니까?"
"물론이지"
교수가 말했다.

학생이 일어서서 물었다.
"교수님, 추위가 존재합니까?"
"무슨 질문이 그런가?
당연히 추위가 존재하지.
자넨 추운 적 없는가? "
교수가 말했다.
학생들은 젊은이의 질문에 킬킬거렸다.

젊은이가 말했다.
"사실은, 교수님, 추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물리학 법칙에 의하면,
우리가 추위 라고 간주하는 것은 실상은 열의 부재입니다.
누구나, 그리고 무엇이든 에너지를 전달 할 때 연구가능한 것 입니다.
절대 0도 (섭씨 -2730도)는 열의 완전한 부재입니다.
그 온도에서는 모든 것이 반응 할 수 없거나 쓸모없어 집니다.
추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 단어는 열이 없을 때 우리가 어떻게 느끼는지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창조한 것 입니다."

학생은 계속했다.
"교수님, 어두움이 존재합니까?"
교수가 대답했다.
"물론 존재하지."

학생이 대답했다.
"다시 한 번 교수님이 틀렸습니다.
어두움 역시 존재하지 않습니다.
어두움은, 사실상, 빛의 부재입니다.
우리는 빛을 연구 할 수 있지만 어두움은 그렇지 못합니다.
사실, 뉴튼의 프리즘을 이용하여 흰 불빛을 여러 색으로 나누고
각 빛깔의 다양한 파장을 연구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두움을 측정할 수는 없습니다.
간단한 한줄기 빛으로도 어두움을 깨고 빛을 발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장소가 얼마나 어두운지 어떻게 알 수 있습니까?
빛의 양을 측정합니다.
이것이 옳지 않습니까?
어두움은 빛의 부재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사용하는 용어입니다."

마침내 젊은이는 교수에게 물었다.
"교수님, 악(惡)이 존재합니까?"
이제 교수는 확신하지 못한 채 대답했다.
"물론이지. 이미 말한 대로야.
우리는 매일 보지 않는가.
매일 일상에서 보는 인간의 잔인함에 존재하며
세상 곳곳의 각종 범죄와 폭력에도 존재하네.
이러한 현상들을 악(惡)
이외에 무엇이라 하겠는가"

이에 학생이 대답했다.
"교수님, 악(惡)은 존재하지 않거나
적어도 스스로 존재하진 않습니다.
악은 단순히 하나님의 부재 입니다.
마치 어두움과 추위와 같이 하나님의 부재를 묘사하기 위해
인간이 만들어낸 단어일 뿐 입니다.

하나님은 악(惡)을 창조하지 않으셨습니다.
빛, 열과 같은 믿음, 사랑과 악은 다릅니다.
악은 인간의 마음에 하나님의 사랑이 없을 때 벌어지는 결과입니다.
이것은 마치 열이 없을 때 추위가 오고 빛이 없을 때
어두움이 오는 것과 같습니다."

교수는 주저 앉았다.
이 젊은이의 이름은 앨버트 아인 슈타인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12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떨어지는 것을 본다. 운영자 2005-04-24 2736
111 하늘에 속한 사람을 읽고 김 계환 2005-04-27 2306
110 프란시스 쉐퍼에 심취하여 운영자 2005-05-28 2120
109 한국판 하늘에 속한 사람 [맨발의 천사 -김우현- ] 박정명 2005-06-06 1848
108 [퍼옴] 믿음의 힘으로 지옥을 이겼다 운영자 2005-07-17 1598
107 [퍼옴] 스티브 잡스의 스탠포드대학 졸업식 축사 [1] 운영자 2005-07-19 3080
106 [퍼옴] 그림자 인생 [1] 운영자 2005-08-04 1702
105 다빈치 코드 - 소고(小考) [3] 운영자 2005-08-08 1923
104 [퍼옴] 창세기의 갭이론에 관해 박정명 2005-08-10 4707
103 [퍼옴] 조엘 오스틴(Joel Osteen)의 실체 [2] 운영자 2005-10-14 2778
102 [퍼옴] 베니힌 목사의 실체에 관해 [4] 운영자 2005-10-14 3678
101 [퍼옴] Kenneth E. Hagin에 관해 [1] 운영자 2005-10-23 2388
100 목사에게 너무 실망한 한 평신도의 변(辨) [2] 운영자 2005-11-03 2167
99 [퍼옴] Kenneth Hagin에 관해(2) 운영자 2005-11-04 1731
98 신앙의 눈으로 본 역사 [1] 운영자 2005-11-17 3178
97 [퍼옴]인생을 바꾼 7가지 지적 경험 운영자 2005-11-19 3437
96 [독후감] 토마스 주남의 "천국은 확실히 있다"를 읽고 정순태 2005-11-24 2934
95 [퍼옴]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운영자 2005-12-19 2602
94 [퍼옴] 크리스챤 청년들을 향한 50가지 충고 운영자 2005-12-27 5424
93 오늘은 선물입니다. 운영자 2006-01-03 47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