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론 > 위대한 사람들 >  
아모스 대 아마샤  
| 現代文보기 | 原文보기 |     성서조선 第 95 號 (1936年 12月)  
  
드고아에서 양이나 치던 아모스가 벧엘에 나타나서 예언을 하니 그의 말에 가장 관심을 가지며, 가장 놀랐으며, 가장 불안을 느낀 사람은 당시 이스라엘의 직업 종교가의 대표자인 제사장 아마샤 그 사람이었다.   짐작컨대 아마샤는 본능적으로 자기의 권위를 확보하고 지위를 안전하게 지킬 계책이 필요함을 느꼈을 것이다.

그리하여 시작한 첫 번째 공작은 정치적 활동이었다.   즉 왕에게 고발했던 것이다.

“벧엘의 사제 아마샤가 이스라엘 왕 여로보암에게 사람을 보내 보고하였다. ‘아모스라는 자가 우리 이스라엘 한가운데 들어와 임금님께 반란을 일으키려고 합니다. 그자는 이 나라를 망칠 소리만 하고 있습니다.   임금님께서는 칼에 맞아 돌아가시겠고, 이스라엘 백성은 사로잡혀 포로의 신세가 되어 이 땅을 떠나리라고 떠들어댑니다.’ ” (아모스 7:10~11)

예나 지금이나 직업 종교가의 가장 현실적 신앙 대상은 하나님보다는 인간적 세력이다.   그러니 하나님께 기도하기보다는 세력을 가진 자에게 고소하는 것을 더 빠른 해결책으로 알았다.   수많은 예언자들이 이 모양으로 괴로움을 당하였거니와 가장 큰 고난을 당하신분은 주 예수 그리스도이시다.   진리나 생명으로 당당히 서지 못하고, 아무 실질도 소유하지 못한 자들이 그 체면과 그 지위를 지켜보려는 상용수단은  예전부터 있던 일이다.  

두 번째로 한 공작은 아모스와 직접 담판한 것이었다.

“그리고 나서 아마지야는 아모스에게 말하였다. ‘이 선견자야, 당장 여기를 떠나 유다 나라로 사라져라. 거기 가서나 예언자 노릇을 하며 밥을 벌어 먹어라.   다시는 하나님을 팔아 벧엘에서 입을 열지 마라. 여기는 왕의 성소요 왕의 궁궐이다.’ ” (아모스 7:12~13)

선견자가 아닌 줄 알면서도 선견자라고 부르는 것이나, 참 선견자인 줄 알면서도 추방하려는 일은 모두 다 모순이다.   요컨대 아마샤의 관심사는 ‘거기나 가서 밥을 벌어 먹어라’ 하는 데에 있다.   벧엘의 밥은 자기 것이니 다른 데로 가라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왕의 성소요 왕의 궁이라’는 데다 이유를 붙이려는 데에 신학적 소양의 효과가 나타났다.

이 흉측한 마귀에 대한 아모스의 대답은 다음과 같다.

“나는 본시 선지자가 아니다.   선지자의 아들도 아니다.   나는 본래 목자요 뽕나무를 가꾸는 농부다.   내가 양떼를 칠 때에 여호와께서 나를 데려다가 타이르시기를 ‘갈지어다.   내 백성 이스라엘에게 예언하라’ 하셨다.   그래서 예언할 뿐이다.”

이와 같이 아모스는 자기가 예언하는 이유를 분명히 밝혔다.   그러고는 곧바로 아마샤와 그 아내와 자식들을 대놓고 저주하였다.

여기에서 아모스가 “선지자도 선지자의 아들도 아니다”라고 한 것은 당시의 선지자라는 특수 계급에 대한 맹렬한 반감이 포함된 것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선지자의 아들이나 선지자로 특별 교육(옛날 유대에는 선지자 양성기관, 즉 오늘의 신학교 같은 것이 있었다) 받은 자만이라야 하나님에 관한 발언권이 있는 줄 아는 자는 설령 다른 모든 것을 다 알았다고 하더라도 목자 아모스를 끄집어낸 능동적 하나님, 산 하나님은 알지 못하는 자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다윗이 골리앗을 이긴 진짜 이유” 중국어번역본이 준비되었습니다. master 2023-09-20 545
공지 신입 회원 환영 인사 [1] master 2020-10-06 991
공지 (공지) 비영리법인을 설립했습니다. master 2020-05-15 2205
공지 E-book File 의 목록 [3] master 2019-08-23 1429
공지 크레딧카드로 정기소액후원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master 2019-07-04 5462
공지 소액정기후원회원을 모집합니다. [18] master 2019-02-19 1495
공지 글을 올리려면 로그인 해주십시요/복사 전재하실 때의 원칙 [14] 운영자 2004-09-29 5515
595 사도행전 2장 전과 후의 제자들의 상태에 대한 질문 [2] CROSS 2023-04-15 95
594 고난 시 하나님에게 맡기는 것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7] 임연수어 2023-04-15 146
593 회개의 세례란게 뭔가요 ?? [1] CROSS 2023-04-15 99
592 금식기도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 토마토 2023-04-18 169
591 섭리적 당위성에 대한 이해? [2] 구원 2023-04-19 110
590 질문드립니다. (죄 지은 자와 교제) [1] 꼬기 2023-04-24 50
589 사람의 실수로 하나님의 계획이 수정될 수 있나요? [1] lovelysg77 2023-04-24 118
588 개신교 철학자 좀 최대한 많이 아시는 분만 알려주세요 [1] CROSS 2023-04-25 70
587 철학에 대한 질문 [1] CROSS 2023-04-25 57
586 너무 우울합니다.. [2] CROSS 2023-04-25 118
585 질문있어요 (하나님의 택하심) [2] 꼬기 2023-04-25 87
584 엘리야의 엘리사, 하사엘, 예후에 대한 기름부음 [4] 구원 2023-04-26 374
583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임연수어 2023-04-27 78
582 삼위일체 설명 질문합니다. [2] 아나이스 2023-04-28 67
581 성경 말씀이 거짓되게 믿어지는 경우가 있을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 [1] CROSS 2023-04-29 46
580 기도할 때 가져야할 덕목은 뭐가 있을까요 ??? [1] CROSS 2023-04-29 34
579 신앙적으로 겸손해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2] CROSS 2023-04-29 45
578 성경적으로 겸손함은 어떻게 정의 되나요 ??? [1] CROSS 2023-04-29 61
577 영접과 믿음에 대한 질문 [3] CROSS 2023-04-30 59
576 열왕기하 22장14절의 '그'는 누구인가요? [1] 구원 2023-04-30 4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