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님 이런 글이 있어서 올립니다

조회 수 829 추천 수 25 2010.12.24 06:50:35
박사모 회장인 정광용의 '예수는 없었다'라는 책이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고 뉴시스라는 인터넷 매체가 보도하였다.

정광용씨는 한술 더떠서 공개토론을 제안했다고 한다.



공개토론은 소수 의견을 가진 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전략이다.

30여년전 통일교회가 천주교회와 개신교회를 대상으로 공개토론을 제안하여 재미를 보았다.

통일교회에서는 달변인 이재석 목사를 내세웠고, 천주교회서는 백민관 신부가 개신교회에서는 이단 전문가인

박영관목사(정확한 기억은 아님) 나와서 몇개 도시에서 토론을 하였다.

결과 통일교회라는 존재를 알리는 데 큰 이득을 챙겼고, 가토릭과 개신교회는 둘러리만 선 격이 되었다.



정광용의 제안을 수락하여 어느 토론 주자가 나선다면 이들의 주장을 널리 선전하는 격이 된다.

응하지 않으면 정광용 측은 개신교회가 자신이 없어서 응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엉터리 책을 발간한 정광용은 밑질 것이 없는 윈윈 게임이고 바둑의 꽃놀이 패이 것이다.



책의 소개를 보면 정광용은 1947년부터 1956년 사이에 사해 바닷가의 동굴에서 발견된 문서에 대단한 극비 자료가 있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

또, 기독교가 무엇인가 내용을 숨기고 있고, 숨긴 내용이 기독교의 존립의 기반을 무너뜨릴 엄청난 X파일이나 되는 것처럼 말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사해 문서를 근거로 예수는 실존의 인물이 아니며 이미 쿰란문서를 만든 에세네 파에 예수의 원형이 되는 인물이 있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미 엉터리 자료로 판명이 났지만 안티기독들에게 줄기차게 애용되고 있는 '성혈과 성배', '예수에 대한 영국 재판설'

'다빈치 코드' 등은 성경의 전문가가 아닌 자들이 쓴 소설같은 이야기에 근거한 것이다.

예수가 프랑스에 망명하였고, 막달라 마리아와 결혼하여 자식을 낳았고 이것이 영국 법정에서 사실로 확인되었다는 이야기는 그 허위가 밝혀진 지금도 계속 안티기독들에게는 진리가 되고 있다.

또한 위의 재판설의 원자료가 된 성혈과 성배 역시 조작된 기사와 엉터리 자료에 의한 것임을 안티 스스로가 밝혔는 데도 계속 진리인 것처럼 인터넷 공간을 돌아다니고 있다.

예수의 불제자설이나 로마 병사가 강간하여 낳은 사생아라는 설 역시 안티들 조차 자신들에게 피해가 되니 더 이상 사용하지 말라는 자료들이다.

위의 자료 모두 예수가 실존하였지만 기독교가 주장하는 예수와 다른 모습의 예수를 보여 주고 있다.

목적은 기독교인들이 믿는 예수와 다른 예수를 보여 줌으로 신앙의 기반을 흔들려는 것이다.



그런데 정광용씨는 예수가 존재하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한다.

누구가 틀렸다고 주장하려면 틀림이 없는 참이 사실을 제시하여야 한다.

기독교가 허위이고 틀렸다면 맞는 것이 있어야 한다. 옳은 것이 없이 틀린 것이 있을 수가 없다.

안티들은 먼저 예수가 실존했는지 안했는지에 대해 명확히 해야 할 것이다.

한쪽에서는 있었다고 하고, 한쪽에서는 애초에 없었다고 하면 둘 중 하나의 주장은 틀림이 없이 허위인데 허위 사실을 가지고 기독교가 틀렸다고 안티할 수는 없는 것이다.

================================



정광용씨가 인용한 쿰란 문서는 1947년 사해연안에서 양을 유목하는 베두인 소년이 발견한 이래 1956년까지 11개의 동굴에서

발견된 에세네 파가 기로한 양피지 두루마리로 된 문서다.

약 1000개의 두루마리나 파편이 발견되었는 데 보존 상태가 좋은 것은 10여개에 불과하고 나머지는 훼손상태가 심한 것이 많아 부분적인 확인이 가능한 문서라고 한다. 어떤 것은 한두절의 문장만 확인할 수 있는 것도 있다고 한다.

내용은 약 200개가 구약성서이고 나머지는 구약성서의 주석, 외경과 위경, 에세네파의 규칙, 기도문 등이라고 한다.

여기에 대해서는 수십년간 연구가 축적되어 있고, 사용된 용어의 빈도에 관한 사전도 만들어졌고 그 내용은 공개되어 있다.

이사야서는 대부분이 잘 보존된 채로 발견되었는 데 지금의 성경과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쿰란 공동체는 기원전 100년경부터 기원후 68년까지 존재햇던 집단이다.

로마의 침공에 의해 궤멸되어 흩어졌으며 그 직전 동굴 속에 문서를 숨긴 것이 발견된 것이다.



이 문서에 대한 연구로 독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김창선 교수가 '쿰란 문서와 유대교'라는 책을 내었다.

여기에 사해 문서에 대한 소개가 있다.

그분의 주장에 의하면 '50년대 초기 사해 문서를 근거로 소설 같은 이야기들이 나왔다고 한다.

십자가에 매달려 죽었고 부활했다는 은 이야기도 있다고 하는 데 전혀 근거가 없는 이야기라고 김창선 교수는 주장한다.

'50년대에 소설같은 이야기가 출판되었는 데 이것이 안티들이 주장하는 근거가 된다.

쿰란문서 연구자인 김창선 교수는 책을 낸 저자가 정확한 검증도 없이 소설같은 책을 내었다고 한다.

심지어는 세례요한이 의의 교사요 이에 대립되는 인물이 예수라는 이야기

야고보가 의의 교사요 사도 바울이 배신자라는 이야기도 나왓지만 근거가 없다고 한다.

안티들은 아마 이 책을 근거로 예수의 실존을 부정하거나 다른 파의 지도자의 행적을 표절해 왔다고 주장한다.



사해 문서를 평생동안 연구한 스승들 밑에서 사해 문서로 학위를 받은 분의 자료는 아예 무시하고

학문적인 근거도 없는 소설같은 자료를 근거로 해서 엄청난 주장을 펼치는 안티는 용감하다고 해야 할까?

이런 자료가 축적되면 안티들의 허위성만 입증해주는 결과가 될 것이다.

==================================



http://n.breaknews.com/sub_read.html?uid=154658§ion=sc5



신간 '예수는 없었다' 출간에 종교계 '발칵'

[인터뷰]저자 정광용씨, "이의 있다면 공개토론으로 가리자"




운영자

2010.12.24 14:42:17
*.104.233.212

김광민 님
오랜만입니다. 주님 안에서 소망이 가득한 새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어느 시인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이런 비슷한 구절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누가 뭐라면 그냥 웃지요."
오강남 박사가 예수는 없다는 책을 낼 때만 해도
제가 의분(?)에 가득 차서 그 반박책을 조금 과장해서 표현하자면
앉은 자리에서 그냥 줄줄 다 썼을 정도였습니다.
그러나 이젠 하도 비슷한 책들이 많이 나오는데다
흘러간 유행가처럼 말도 안 되는 해묵은 이야기들을 계속 재탕을 해서
그야말로 저는 "그냥 웃지요" 가 되었습니다.

물론 제 의분이 다 사그러든 것은 전혀 아닙니다.
제가 그런 예수는 없다라는 책을 지을 때
솔직한 마음은 독자보다 오박사가 읽고 조금 생각을 달리 해보라는 뜻이 상당히 있었고
또 미국 NY에 있는 어떤 독자는 교회에서 몇 분이 모여서 그렇게 기도까지 했다고 했습니다.
그러나 그분은 또 다른 비슷한 류의 책(이젠 제목도 잊어 버렸음)을 내었습니다.
제가 그 때만 해도 너무 순진(?)했던 것입니다.
성령의 은혜가 아니고는 예수를 주라 시인할 수 없다는
성경 말씀이 너무나 절대적 진리였음을 새삼 확고하게 깨달았습니다.

공개토론으로 가리자는 것은 밑져야 손해볼 것 하나 없는 장사이거든요.
비유컨대 이번 연평도 포격 사건이 북한의 소행이 아니니
공개토론으로 가리자고 덤비는 꼴과 같다고나 할까요.
아무리 명명백백한 사실이라도 의심을 달기 시작하면 끝이 없으며
또 멀쩡하게 잘 믿던 사람도 괜히 혹시 만에 하나라는 의심의 꼬리가 생깁니다.
타블로처럼 증거가 다 나와도 안 믿겠다는 세태아닙니까?
예수님의 가르침과 그분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도 아니고
실존성까지 의심하여 공개토론하자는 자는 바로 타진요 카폐 개설자나 다름 없습니다.
그냥 그저 웃지요.
그 동안 이런 비슷한 책은 다 사봤는데 이젠 솔직히 책 값도 아까울 정도입니다.

저희 회원님들과 방문자님들도 십자가 복음의 진리 위에 굳건히 서셔서
이런 책이나 논의를 보면 그저 웃고 넘기시기 바랍니다.

김광민 집사님께서 이런 귀중한 정보 주셨음에도
제가 그저 무심하게 반응한 것은 아닙니다. 혹시라도 오해는 마십시오.
제가 저의 홈피인데도 댓글, 답글 잘 안다는 것으로 널리 악평이 나있는데
이만큼 긴 댓글을 단 것만 해도 너무나 감사하다는 뜻이지 않겠습니까? 샬롬!^0^

정순태

2010.12.25 01:57:28
*.216.63.190

목사님 말씀 그대로입니다. 웃을 수밖에 없는 일이지요.
오강남 박사를 비롯하여 그 누구도 자기 생각 안 바꿉니다.

"성경왜곡의 역사"를 썼던 바트 어만은 그보다 두 발 더 나간 "예수왜곡의 역사"라는 책을 더 썼습니다.
출판 즉시 절판되었던 티모시 프리크/피터 갠티 공저 "예수는 신화다" 인터넷 판도 읽었고(233페이지)
이상훈 이라는 사람이 짜깁기한 "X-Bible"이라는 인터넷 판도 읽어 봤습니다(248페이지).
김용옥 교수든 오강남 박사든 정광용이든 다 동일한 사상의 사람들일 뿐이지요. 말이 통할 수 없는...

어느 사이트에도 이 양반에 대한 소개가 게시되었는데
거기 감사하게도 목사님의 책 "그런 예수는 없다."를 소개하면서 "정말 좋은 책입니다."라는 댓글을 달았더군요.
저 또한 "정말 좋은 책입니다."라고 응답했습니다.
그리고 글 올리신 분에게는 이곳 주소를 쪽지로 보내 드렸습니다.
어려운 질문은 목사님께 드리라는 조언을 붙여서 말입니다(목사님 화 내실라...)

전혀 엉뚱한 사람의 엉뚱한 헛소리 때문에
바르게 성경을 해석하는 정말 좋은 책이 그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는 사실이 너무 감사했습니다.
비록 소수의 사람들에게일지언정...............

어차피 하나님의 은혜는 아주 작은 무리를 통해 이어지는 것으로 압니다.
한 명, 두 명 몇 명만이라도 하나님 뜻을 알게만 된다면 이것으로 충분하리라 믿습니다.

김광민 형제님께는 목사님과 동일한 위로의 말씀을 전하고 싶습니다.
"그냥 놔 두십시오. 제 풀에 꺽일 것입니다. 믿는 자가 해야 할 일은 공개토론이 아니라 우리의 행위를 통해 하나님께 돌려지는 칭찬"일 것입니다.
편하게 생각하십시요! 살롬!!!

하람맘

2010.12.27 09:32:02
*.163.11.242

이런 일들이 생길때 마다 "그런 예수는 없다"를 홍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겠네요 ~ 할렐루야 ~ 그런 곳만 찾아가서 계속 이런 책이 있다라고 소개하는 일을 하면 이보다 더 큰 홍보가 없을 것 같습니다. 지나간 책이 아닌 아직까지도 앞으로도 필요한 책이라 믿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다윗이 골리앗을 이긴 진짜 이유” 중국어번역본이 준비되었습니다. master 2023-09-20 1002
공지 신입 회원 환영 인사 [1] master 2020-10-06 1442
공지 (공지) 비영리법인을 설립했습니다. master 2020-05-15 2623
공지 E-book File 의 목록 [3] master 2019-08-23 1842
공지 크레딧카드로 정기소액후원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master 2019-07-04 5863
공지 소액정기후원회원을 모집합니다. [18] master 2019-02-19 1890
공지 글을 올리려면 로그인 해주십시요/복사 전재하실 때의 원칙 [14] 운영자 2004-09-29 5944
870 구약과 신약 [1] 명제완 2011-01-17 786
869 어떻게 구분하며 살아야할까요... [2] 김성옥 2011-01-13 719
868 L.A에서의 쌩얼 만남 보고 file [10] 이선우 2011-01-10 977
867 로얄패밀리로 등업되다 ^^ [5] 하람맘 2011-01-10 658
866 이름 없는 한 여자 성도님께 [1] 운영자 2011-01-04 652
865 [펌글] 자기 떠나면 어디가? [2] 정순태 2010-12-26 582
» 목사님 이런 글이 있어서 올립니다 [3] 김광민 2010-12-24 829
863 우리의 기도를 "두번" 들으시는 하나님 Steve 2010-12-23 636
862 크리스마스에 즈음하여 Steve 2010-12-23 579
861 2차 시험은 잘 패스했습니다. [6] 운영자 2010-12-22 881
860 희망은 한마리 새 [8] 홍성림 2010-12-08 714
859 술자리 등에서의 어려움 [7] Justice 2010-12-05 660
858 [운영자의 새 글]에 대하여 [2] Justice 2010-12-05 585
857 실명제는 아닙니다만.... [2] 운영자 2010-12-05 579
856 [퍼옴] 갓피플몰의 비구매자평 [8] 정순태 2010-12-04 682
855 선악과에 대하여 [3] 민제환 2010-12-01 577
854 근황과 함께 안부를 전합니다. [14] mskong 2010-12-01 756
853 책을 읽고나서....독후감은 아니고요~~ [3] 김성옥 2010-11-30 613
852 질문입니다. [1] Caleb Kim 2010-11-22 748
851 가을이네요, 가을.. [3] 김순희 2010-11-20 63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