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쥐의 특별한 레이다 디자인

조회 수 40 추천 수 0 2017.02.15 14:30:53

 

박쥐의 특별한 레이다 디자인

 

깜깜할 때 당신이 잠에서 깨어 일어나려고 하면 불을 켜는 것이 얼마나 괴로운 일인지 알고 있다. 처음에 당신의 눈에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이런 경험이 있다고 한다면 당신은 레이다가 개발되어질 때 풀어야 했던 문제점 중의 하나를 당신이 이해할 수도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레이다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송신기는 강력한 레이다 파장의 광선을 내보낸다. 그러나 레이다 시스템의 나머지 한 부분은 그 밖으로 내보내는 강력한 신호를 견딜 수 없는 매우 민감한 수신기이다. 현재의 레이다를 개발함에 있어서 극복해야 했던 중요한 기술적 문제점 중의 하나는 그 민감한 수신기를 압도해 버림이 없이 강력한 신호를 내보내는 것이었다. 과학자들이 마침내 개발했던 것은 레이다 파동이 내보내어질 때마다 그 민감한 수신기를 꺼버리는 신속한 스위치였다.

 

박쥐들은 처음부터 이 문제점이 해결된 그들 자신의 음파 레이다를 가지고 있다. 박쥐는 반향 하는 소리를 수신하는 귀에 근육을 가지고 있다. 이 근육들은 박쥐가 음조가 높은 신호음을 내보낼 때 순간적으로 귀를 닫는다.

 

이러한 장치가 없었다면 박쥐의 방향 찾기 장치는 무용했을 것이다. 어떻게 박쥐가 자신이 이러한 능력을 필요로 하며 그래서 근육들과 관련된 조직들을 만들어 그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고 알아차렸겠는가? 창조주 대신에 이 동물들이 스스로 이를 만들었다고 말한다면 매우 우스운 결론에 도달한 것 아닌가?

 

Notes: Henson, O.W. 1971. Journal of Physiology, v. 180. p. 87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4 Robot Bugs [1] 김 계환 2007-04-15 2001
33 왜 인간의 화석이 흔치 않은가? 김 계환 2007-05-25 2004
32 다리가 여러개 달린 것들의 화학전 [1] 김 계환 2007-04-17 2055
31 벌빵의 비밀 김 계환 2008-02-13 2186
30 농사짓는 쥐 [1] 김 계환 2007-04-18 2203
29 욥이 일기위성을 가지고 있었는가? [1] 김 계환 2007-04-22 2266
28 과학과 창조 [4] 김 계환 2007-04-13 2361
27 원숭이가 대학생만큼이나 지능적이라고? 김 계환 2013-11-22 2441
26 니앤더털은 누구였는가? 김 계환 2007-05-17 2557
25 로스 루나스 바위 master 2020-04-21 2817
24 날지 못하는 새들 [3] master 2020-02-15 2960
23 성경이 불필요하고 불가능한 자세한 사실들을 말하고 있는가? 김계환 2015-09-07 3044
22 딱따구리의 놀라운 혀 김 계환 2014-02-03 3088
21 까치가 자기 자신을 성찰한다 김계환 2016-05-19 3177
20 놀라운 몽구스 김 계환 2014-03-18 3923
19 우리가 우연의 화학이 아니라는 또 하나의 증거 김 계환 2015-01-08 4229
18 은하수가 진화론에 대하여 무어라고 말할까? master 2017-10-11 4456
17 빛의 우리 master 2016-12-23 4714
16 방사선 보호 장치를 갖고 있는 쥐 master 2017-08-07 4938
15 카멜레온 꽃 master 2017-08-06 52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