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나뭇잎

조회 수 64 추천 수 0 2019.05.14 04:12:42

똑똑한 나뭇잎

 

과학이 우주에 관하여 더 많이 알게 됨에 따라 일부 사람들은 자신들이 만물 속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수학적 법칙들을 보게 된다고 말한다. 한 과학자가 “셀룰러 오토매터”라고 부른 이 법칙이 천문학에서 동물학까지 만물의 뿌리에 있을지도 모른다.

 

식물의 나뭇잎들은 이산화탄소를 들여 마시는 구멍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구멍들이 너무 많이 혹은 너무 오랫동안 열려 있다고 한다면 그 식물은 너무 많은 물을 잃어버릴 수 있다. 뇌도 신경조직도 없는 나무들이 어떻게 이런 인자들 사이에 균형을 맞출까? 연구자들은 구멍들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고만 생각했었다. 그러나 자세히 연구해 보니 구멍의 일부들이 한꺼번에 열리고 닫혔다. 실제로, 구멍 일부들이 나뭇잎 위에서 패턴을 이루며 몇 분에 걸쳐 열리고 닫히면서 그 부위가 움직였다. 과학자들이 이 패턴들을 연구했을 때 그들은 자신들이 보고 있는 패턴이 “분배된, 긴급한 계산” 혹은 “셀룰러 오토메터”임을 깨달았다. 나뭇잎의 각각의 구멍은 서로 협력하여 일하며 복잡한 큰 규모의 계산들을 수행하고 있었다. 간단히 말해 나뭇잎의 세포들은 중심 프로세서가 없이도 하나의 컴퓨터로 협력하여 일하고 있었다.

 

진화론자들이 이것을 우연에 의한 내장된 지적능력이라고 설명하기를 원하지만 지적능력이 창조 속에 부여되었다는 사실을 회피하기는 어렵다. 그러한 지적능력은 지적능력의 근원이 되시는 우리의 창조자로 부터 온 것이다.

 

Ref: Science News, 2/21 2004, pp. 123-124, Erica Klarreich, “Computation’s New Lea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40 인간 스스로의 노력 master 2019-04-14 99
1039 다윈보다 600년 앞서 김계환 2015-07-01 99
1038 인류의 두 번째 세대 master 2019-05-21 99
1037 독수리 날개 master 2021-10-25 99
1036 속지 않도록 조심하라! master 2023-10-10 99
1035 화석 기록이 진화론을 지지하는가? master 2016-11-20 100
1034 빅뱅 이론의 난제 master 2021-05-17 100
1033 그 보혈의 권능 [1] master 2023-11-07 100
1032 귀여운 코알라 master 2019-08-26 101
1031 유령들과 화석들 master 2019-11-12 101
1030 젊은이들의 세상에 대한 변증적 준비 master 2022-01-24 101
1029 정글의 법칙: 협력 김 계환 2015-02-22 102
1028 바울의 아담 master 2019-04-29 102
1027 그런데 어디에 외계인들이 있나? master 2016-06-30 102
1026 기린의 경이로운 두뇌혈압 조절장치 master 2017-02-21 103
1025 청지기 임무 master 2018-12-27 103
1024 당신의 보이지 않는 눈 master 2020-04-13 103
1023 수백만 년 된 DNA? [1] master 2020-11-17 103
1022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한 나비 색깔 master 2017-04-03 104
1021 노래하는 호수 master 2020-06-11 10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