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나뭇잎

조회 수 64 추천 수 0 2019.05.14 04:12:42

똑똑한 나뭇잎

 

과학이 우주에 관하여 더 많이 알게 됨에 따라 일부 사람들은 자신들이 만물 속에 존재하는 기본적인 수학적 법칙들을 보게 된다고 말한다. 한 과학자가 “셀룰러 오토매터”라고 부른 이 법칙이 천문학에서 동물학까지 만물의 뿌리에 있을지도 모른다.

 

식물의 나뭇잎들은 이산화탄소를 들여 마시는 구멍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구멍들이 너무 많이 혹은 너무 오랫동안 열려 있다고 한다면 그 식물은 너무 많은 물을 잃어버릴 수 있다. 뇌도 신경조직도 없는 나무들이 어떻게 이런 인자들 사이에 균형을 맞출까? 연구자들은 구멍들이 독립적으로 작동한다고만 생각했었다. 그러나 자세히 연구해 보니 구멍의 일부들이 한꺼번에 열리고 닫혔다. 실제로, 구멍 일부들이 나뭇잎 위에서 패턴을 이루며 몇 분에 걸쳐 열리고 닫히면서 그 부위가 움직였다. 과학자들이 이 패턴들을 연구했을 때 그들은 자신들이 보고 있는 패턴이 “분배된, 긴급한 계산” 혹은 “셀룰러 오토메터”임을 깨달았다. 나뭇잎의 각각의 구멍은 서로 협력하여 일하며 복잡한 큰 규모의 계산들을 수행하고 있었다. 간단히 말해 나뭇잎의 세포들은 중심 프로세서가 없이도 하나의 컴퓨터로 협력하여 일하고 있었다.

 

진화론자들이 이것을 우연에 의한 내장된 지적능력이라고 설명하기를 원하지만 지적능력이 창조 속에 부여되었다는 사실을 회피하기는 어렵다. 그러한 지적능력은 지적능력의 근원이 되시는 우리의 창조자로 부터 온 것이다.

 

Ref: Science News, 2/21 2004, pp. 123-124, Erica Klarreich, “Computation’s New Leaf.”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040 목성이 진화론적 설명에 도전한다 김 계환 2010-05-04 694
1039 진화론적 년도계산의 속임수 김 계환 2010-05-07 737
1038 리마 콩의 자기방어 김 계환 2010-05-19 625
1037 진화론자들이 발견한 써프라이즈! 김 계환 2010-05-22 654
1036 끈적끈적한 현대의 문제에 대한 달콤한 고대의 햇법 김 계환 2010-05-24 610
1035 니엔더털DNA에 관한 진실 김 계환 2010-05-31 600
1034 공룡이 온혈동물이었나? 김 계환 2010-06-07 628
1033 생강은 효과 좋은 약이다 김 계환 2010-06-12 570
1032 우리의 피가 진화를 증명한다고? 김 계환 2010-06-15 608
1031 다윈의 핀치새들 김 계환 2010-06-18 621
1030 원자들의 구조 [1] 김 계환 2010-06-27 602
1029 아기들이 진화설을 당혹스럽게 만든다 [1] 김 계환 2010-06-27 597
1028 견과류를 한 줌 드십시요 [1] 김 계환 2010-07-04 616
1027 집없는 행성들 김 계환 2010-07-09 543
1026 기록된 역사속의 공룡들 김 계환 2010-07-11 615
1025 가능성 있는 말라리아 치료법 [10] 김 계환 2010-07-22 647
1024 생명기원에 관한 진화론적 이론이 죽어가고 있다 [1] 김 계환 2010-08-03 585
1023 쑷나미와 동물들 [2] 김 계환 2010-08-06 607
1022 살아있는 화석들, 진화론의 실수 [3] 김 계환 2010-08-09 738
1021 박테리아가 얼마동안 수면할 수 있을까? 김 계환 2010-08-14 53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