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의 소리

조회 수 77 추천 수 0 2020.01.15 06:21:38

음악의 소리

 

물리학과 음악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성이 있다. 보통 소리를 이해할 수 있는 최상의 방법은 악기들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관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현악기들이 어떻게 진동을 통해 음악을 만들어 내는지를 생각해 보라.

 

기타는 여섯 개의 같은 길이의 줄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인자들이 기타 소리에 영향을 미친다. 소리의 높이는 여러 가지 방식으로 달라진다. 줄 머리를 더 돌려서 기타 줄에 더 많은 긴장을 주면 소리 높이는 올라간다. 기타 줄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있다. 만약 여섯 줄 모두에 동일한 긴장을 주면 가장 두꺼운 줄이 가장 낮은 소리를 만든다.

 

소리 높이는 또한 줄 진동의 빈도의 측면에서 정의될 수도 있다. 빈도란 일초에 그 줄이 몇 번이나 진동하느냐를 의미한다. 빈도가 클수록 그 소리높이는 더 높다. 소리가 얼마나 크냐하는 것은 진폭이라고 불리는 소리 파장의 높이에 연관된다. 진폭이 클수록 그 소리는 더 크다. 이렇게 음악의 연구에는 많은 수학과 물리학이 필요하다. 그러나 아무리 많은 과학적 연구도, 예를 들어 왜 베토벤이 9번 교향곡 같은 작품을 썼을 때 그 다양한 음들과 음 높이 및 음색을 사용하기로 했는지는 설명할 수가 없다. 그 창조성은 오직 인간들이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졌기에 가능했던 것이며 우리가 우리의 창조성을 발휘할 때에 우리는 하나님의 창조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Author: Paul F. Taylor

Ref: Salters Horners Advanced Physics (London: Heinemann: 2000), pp. 119-1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079 새로운 연구가 “적자생존”에 도전을 준다 김 계환 2009-11-14 869
1078 화석이 만들어지는데 얼마나 걸리나? 김 계환 2009-11-20 848
1077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아니면 복잡한 것에서 단순한 것으로? 김 계환 2009-11-25 830
1076 식물들이 진화론자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복잡하다 김 계환 2009-12-02 866
1075 암석이 빈틈없는 금고같은가 아니면 구멍이 숭숭한 스펀지같은가? 김 계환 2009-12-03 888
1074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독을 가진 새 김 계환 2009-12-08 921
1073 하나님의 치유 김 계환 2009-12-09 888
1072 정글의 법칙: 협력 김 계환 2009-12-16 827
1071 1582년 10월 5일이 달력에 없는 이유 김 계환 2010-01-01 828
1070 박쥐들의 진화설이 이상하게 꼬인다. 김 계환 2010-01-02 762
1069 두번째 혹 세번째 직업을 갖는 것은 수지 맞는 일이다 김 계환 2010-01-02 823
1068 그리스 피라미드 김 계환 2010-01-05 1075
1067 생명의 기원 이론들에 대한 새로운 문제점 김 계환 2010-01-08 814
1066 시끄러운 개미들 김 계환 2010-01-16 734
1065 탄소년도측정이 노아의 홍수를 지지한다 김 계환 2010-01-19 859
1064 화석화된 담장이 진화론년도측정에 방해가 되네 김 계환 2010-01-25 730
1063 과학자들이 우리가 “마춤”지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김 계환 2010-01-26 812
1062 개미가 자연선택에 도전을 준다 김 계환 2010-01-30 760
1061 당신의 다목적 눈 김 계환 2010-02-04 684
1060 한 세포가 얼마나 복잡한지 아시는가? 김 계환 2010-02-08 79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