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의 눈

조회 수 1247 추천 수 1 2020.03.10 09:05:44

문어의 눈

 

눈은 매우 복잡한 기관이다. 인간과 같은 척추동물의 눈은 여러 개의 분리된 부분들을 가지는데 이들 각각이 협력하여 작용한다. 우리의 눈은 렌즈를 가지고 있는데 카메라의 렌즈처럼 투명하며 볼록하다. 그런데 카메라 렌즈와는 달리 눈의 렌즈는 초점 거리를 가지는데 이 거리는 조그마한 근육들에 의해서 더 얇게 늘려지거나 더 두껍게 눌려진다. 만약 렌즈가 근육 없이 진화되었다고 한다면 초점 거리를 조정할 수 없는 무용지물이 되었을 것이다.

 

렌즈는 망막으로 빛을 집중시켜야 하는데 이 망막에서 광수용체들이 발견된다. 렌즈가 없이 진화된 망막은 쓸모가 없었을 것이며 렌즈를 가지고 있지만 망막이 없는 생물체에게는 어떠한 진화론적 유익함도 없었을 것이다. 망막에 조성된 형상들을 뇌로 보내주는 신경들이 없었다고 한다면 말씀드린 진화론적 특성은 아무 쓸모가 없게 된다. 눈이 진화론에게 주는 또 하나의 타격이 우리가 문어와 같은 다족류 동물들의 눈을 조사해 보면 나타난다. 이 연체동물들의 눈은 척추동물들의 눈과 거의 흡사하다. 그런데 이런 눈들이 서로 따로따로 진화하여서 동일한 디자인에 도달했다고 믿을 수 있는가? 다족류 동물들은 인간들보다 덜 진화되었다고 여겨진다. 그런데 이것들의 눈은 척추동물의 눈처럼 사각지대를 가지고 있지 않기에 오히려 더 진보된 것처럼 여겨지지 않는가?

 

우리가 성경의 말씀대로 하나님께서 이런 특성들을 디자인하셨음을 인식할 때만이 이런 문제들을 이해하는 것이 전혀 어렵지 않다.

 

Author: Paul F. Taylor

Ref: Encyclopedia Britannica, < https://www.britannica.com/science/photoreception/Central-processing-of-visual-information >, accessed 1/31/201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94 다양성의 순전한 기쁨을 위하여 김 계환 2008-11-29 978
1093 인종차별의 시작 김 계환 2009-10-12 974
1092 친구와 공생하는 개미들 김 계환 2009-01-03 974
1091 더 오래된 농사꾼들 김 계환 2008-03-07 973
1090 지상의 가장 작은 컴퓨터 김 계환 2008-12-05 972
1089 극락조 김 계환 2007-06-18 970
1088 단순한 생명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김 계환 2008-12-09 968
1087 문자 그대로 자신을 병나게 하는 것 [1] 김 계환 2008-10-29 965
1086 연구자들이 인터넷의 숨겨진 댓가를 발견했다 김 계환 2009-07-27 963
1085 인간의DNA가 얼마나 오래됬는가? 김 계환 2009-02-28 963
1084 맛내는 데이타 프로세싱 김 계환 2007-07-11 962
1083 당신은 새로운 뇌세포들을 키우십니까? [1] 김 계환 2009-10-16 960
1082 다윈은 전혀 지질학자가 아니었다 김 계환 2009-03-17 959
1081 우리는 한줌의 연기 속에서 살고있다 김 계환 2009-11-07 953
1080 다윈의 퍼즐 김 계환 2009-01-29 951
1079 도마뱀 언어 김 계환 2009-03-26 948
1078 산화 철의 증거 김 계환 2009-02-03 947
1077 선천적 장애가 하나님의 계획인가? 김 계환 2009-01-26 947
1076 세 눈박이porpoise 돌고래 김 계환 2012-04-11 946
1075 “악보가 너무 복잡하네” 김 계환 2009-04-12 94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