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화학에 숙련된 식물들

조회 수 44 추천 수 1 2022.05.02 10:28:48

동물 화학에 숙련된 식물들

 

과학자들이 해로운 곤충들이 호르몬을 통해 억제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기 시작한 것이 겨우 30  여 년 전부터였다. 예를 들어 파괴적인 곤충이 성숙하지 못하게 하는 호르몬을 농작물에 첨가하면 그 곤충은 생명 주기에 방해받아 농작물에 손상을 입히지 못 할 것이다. 안전한 천연 물질 호르몬을 사용해서 말이다.

 

그런데, 과학자들은 그러한 호르몬을 합성하는 것이 생각보다 훨씬 더 어렵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수년간의 연구 후 일본 과학자들이 어떤 식물들은 이미 자기 방어를 위해 그러한 호르몬을 만들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실 많은 식물들이 “슈퍼 호르몬”이라고 불리는 것들을 만들고 있었다. “슈퍼 호르몬”은 곤충 자신들이 만들어 내는 소년 호르몬보다 훨씬 더 낮은 농도에서 효과를 나타내는 호르몬을 말한다. 이 소년 호르몬은 곤충이 성충에, 보통 가장 파괴적인 상태에 이르지 못하게 한다. 소년 호르몬을 만드는 식물로 양치류와 몇몇 상록수들이 있다.

 

이 연구의 한 결과는 모기의 소년 호르몬의 개발이었다. 이 호르몬은 습지에서 연탄 모양 격자에 넣어 서서히 방출시킴으로 모기 애벌레들이 날며 무는 성충의 단계로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 다시 지혜로우신 창조주에 의해서만 설계 가능한 놀라운 디자인과 균형이 창조물에서 발견된다. 식물들이 동물 화학에 관한 그러한 기술을 어떻게 달리 습득할 수 있겠는가?

 

Author: Paul A. Bartz

Ref.: Science Digest, March, 1979, page 67.

© 2022 Creation Moments. All rights reserv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274 특이한 미생물 Bdellas 김 계환 2007-08-24 1359
1273 알을 지키는 아비 개구리 김 계환 2007-08-26 1130
1272 목적 ? 하나님을 영화롭게하는 것 김 계환 2007-08-27 1055
1271 당신의 육감 김 계환 2007-08-29 1020
1270 인간이 바퀴벌레로 부터 진화했나? 김 계환 2007-09-03 1155
1269 바람을 타고 나는 곤충 김 계환 2007-09-06 1010
1268 삶과 죽음 김 계환 2007-09-06 1100
1267 거대한 연들 김 계환 2007-09-10 1048
1266 똑똑한 박테리아 김 계환 2007-09-14 1200
1265 지적인 예술가들 김 계환 2007-09-16 1040
1264 말하는 나방 김 계환 2007-09-17 1044
1263 정글속의 곰팡이 치료제 [2] 김 계환 2007-09-19 1146
1262 만능 이식재료? 김 계환 2007-09-23 1119
1261 물고기 이야기 김 계환 2007-09-27 1169
1260 천재의 문제 김 계환 2007-09-28 1203
1259 인간을 향한 거대한 한 발자국 김 계환 2007-10-01 1637
1258 감자 딱정벌레에 대한 침공격작전 김 계환 2007-10-05 1282
1257 기적의 박테리아 김 계환 2007-10-08 1006
1256 청각의 기적 김 계환 2007-10-11 991
1255 눈을 가지고 있는 식물들 김 계환 2007-10-13 100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