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의 손가락들

조회 수 63 추천 수 1 2022.06.16 14:35:35

비행기의 손가락들

 

공기역학 즉, 비행과학은 매우 복잡한 과학이다. 이는 여러 가지 복잡한 힘들이 비행중인 어떤 물체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비행에 사용되는 힘, 날라 가는 물체에 의해 만들어지는 견인력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 각각의 힘들에 비행물체의 모양, 날개의 모양과 길이, 속도, 고도 등에 따른 다른 추가적인 힘들이 있다. 이런 까닭에 예컨대 고도비행 비행기들이 매우 긴 날개를 가져야 한다. 

 

최근에 연구대상이 되었던 한 중요한 힘은 날개 끝에서 만들어 지는 난기류이다. 날개가 짧을수록 날개 끝에서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시키는 난기류가 발생한다. 이 난기류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날개 디자인들이 시도되었다. 작은 날개들 디자인으로 엔지니어들이 어느 정도의 성공을 이루었다.

 

일부 비행기에서 날개 끝에 달린 이런 조그마한 수직 날개들을 본적이 있을 것이다.

 

스위스 연구자들은 독수리 날개는 길이가 비교적 짧지만 놀랍게도 효과적이기에 이 문제에 대한 더 나은 해결책을 찾고자 독수리들을 연구했다. 그들은 독수리의 날개 끝이 밖으로 퍼져나가는 구조를 가졌기 때문임을 발견했다. 그들은 날개 끝에 손가락 모양의 일련의 칼날모양 날개를 붙여 시험해 보았다. 이 새로운 날개는 오늘날 사용되고 있는 평균 날개 디자인 보다 네 배 이상으로 더 효과적이었다. 진화론의 자연 선택이 그런 대단한 공기역학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오히려 더 엄청난 믿음을 필요로 할 것이다. 분명하게도 독수리들은 우리 보다 공기역학을 훨씬 더 잘 아시는 지혜로우신 하나님에 의해서 디자인되었다.

 

Author: Paul A. Bartz

Ref:  “Wingfingers,” Flying/January 1999, p.108. © 2022 Creation Moments. All rights reserv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220 인간이 바퀴벌레로 부터 진화했나? 김 계환 2007-09-03 1172
1219 물고기 이야기 김 계환 2007-09-27 1171
1218 현대판 성경의 변호 김 계환 2008-08-13 1170
1217 화석화된 모자들 김 계환 2008-07-08 1170
1216 초기 인간의 기록된 언어 김 계환 2008-07-26 1157
1215 정글속의 곰팡이 치료제 [2] 김 계환 2007-09-19 1153
1214 다른 별에도 생명이 있는가? 김 계환 2008-11-10 1149
1213 얼어붙은 개구리들 김 계환 2007-06-08 1149
1212 식물 산술학 김 계환 2008-07-25 1145
1211 박테리아가 고래크기라고? 김 계환 2009-03-29 1142
1210 혼자 사는 벌들 김 계환 2008-08-16 1140
1209 어둠속의 광합성 김 계환 2008-06-13 1140
1208 인간 자석 김 계환 2007-10-20 1140
1207 물과 물 사이에 김 계환 2008-12-07 1139
1206 빅뱅이론이 부도가 났나? 김 계환 2008-08-31 1138
1205 자연 화재보험 김 계환 2008-05-22 1138
1204 알을 지키는 아비 개구리 김 계환 2007-08-26 1138
1203 인구와 지구의 연대 [1] 김 계환 2008-07-24 1136
1202 모든 확률에 반하여 김 계환 2008-04-15 1136
1201 개구리 동면 [1] 김 계환 2011-12-25 113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