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히고 죽으실때까지의 고통의 과정과 
 
 순교자들이 죽기까지의 고통의 과정은
 
 고통의 정도의 측면에서 서로 어떤 점에서 다른가요 ???
 
 
 
 
 

master

2023.06.06 06:51:42
*.115.238.98

흥미로운 질문을 주셨네요. 육체적 고통과 정신적인 고통 둘로 구분해서 살펴봐야 합니다. 

 

첫째로, 육체적 고통은 순교자들이 더 크게 겪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산 채로 화형을 당하거나 맹수에게 잡아 먹혔고, 베드로만 해도 전승에 따르면 십자가에 거꾸로 달려(더 큰 고통을 겪음) 죽었다고 합니다. 바울의 경우는 더합니다. 고후11:23-27을 꼭 다시 찾아서 읽어보십시오. 대표적으로 예수님이 한 번만 맞은 40에 하나 감한 매를 다섯 번이나 맞았습니다.

 

반면에 예수님의 경우는, 절대로 그 육체적 고통이 약한 것은 아님, 매를 한 번만 맞았으며 십자가에 달린지 몇 시간만에 운명하셨습니다. 이미 밤새도록 시달려서 너무 피곤하고 연약해진 탓입니다. 십자가에 달리면 보통의 경우, 알기 쉽게 표현하면 오징어가 덕장에서 말라 비틀어지듯이 인간의 육신도 며칠 동안 그렇게 죽어 가는데 그 고통이 도무지 말로 표현하지 못한다고 합니다. 그렇게 숨이 붙어서 십자가에 달려 있는 동안에도 벌레들이 피부를 파먹으며 속으로 들어가고, 새들이 눈 코 귀들을 쪼아서 먹는다고 합니다. 예수님이 보통의 경우보다 훨씬 빨리 운명한 것은 독생하신 그리스도를 그렇게까지 비참한 모습으로 죽지 않게 하려는 하나님의 배려입니다. 

 

둘째로, 주님의 정신적 고통은 모든 인간의 죄 값을 짊어져야 할 뿐 아니라, 여전히 죄 중에 죽음의 형벌을 받아야 할 인간의 상태를 너무나 안타깝고도 불쌍하게 여겼기에 우리는 상상으로도 도무지 가늠하지 못합니다. 나사로의 무덤 앞에서 통분하며 우셨고, 겟세마네 동산에서 땀이 핏방울로 변하도록 간절히 기도했습니다. 십자가에서 성부 하나님과 완전한 단절을 겪을 일도 힘들어서 엘리 엘리 라마 사박다니라고 절규했습니다.

 

순교한 신자들도 주변 사람들이 여전히 사탄에 미혹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 괴로워 했을 것입니다. 바울도 그런 육체적 고통보다는(고후11:23-27) 바로 이어서 연약한 교회와 성도들이 더 크게 염려된다고 고백했습니다.(28,29절) 아무리 그래도 인류 전체의 죄의 짐을 지고 안타가워하신 예수님의 정신적 고통과는 비교할 수가 없습니다.  

CROSS

2023.06.06 07:02:16
*.223.30.102

 하나 더 질문이 있습니다

 

 모든 순교자들은 하나님으로부터 그 끔찍하고도 엄청난 고통을 능히 감당할수 있는 평강(평안)의 마음 혹은 그 고통을 능히 감당할수 있는 어떠한 은혜를 받았다고 봐야 할까요 ???

 

master

2023.06.06 07:50:00
*.115.238.98

우선 하나님은 아무 신자나 순교를 당하게 하지 않습니다. 순교를 감당할 만한 믿음이 굳건한 신자에게만, 반드시 순교라는 방법를 통해서 그리스도의 이름이 더 높아지게 하실 수 있는 특별한 경우에만 허락하십니다. 그리고 그 신자에게 이미 내주하고 계신 성령이 믿음을 끝까지 붙들도록 인도해주시고 순교의 고통을 이겨내고 오히려 평안을 가질 수 있도록 역사해주십니다. 최초의 순교자인 스데반의 경우를 보십시오. 

 

" 스데반이 성령 충만하여 하늘을 우러러 주목하여 하나님의 영광과 및 예수께서 하나님 우편에 서신 것을 보고 말하되 보라 하늘이 열리고 인자가 하나님 우편에 서신 것을 보노라 한대 그들이 큰 소리를 지르며 귀를 막고 일제히 그에게 달려들어 성 밖으로 내치고 돌로 칠새 증인들이 옷을 벗어 사울이라 하는 청년의 발 앞에 두니라 그들이 돌로 스데반을 치니 스데반이 부르짖어 이르되 주 예수여 내 영혼을 받으시옵소서 하고 무릎을 꿇고 크게 불러 이르되 주여 이 죄를 그들에게 돌리지 마옵소서 이 말을 하고 자니라."(행7:55-60)

 

순교 당한 스데반은 천국에 계신 예수님이 자기를 영접하는 모습을 보고 큰 기쁨과 평강 가운데 있었고 오히려 그를 죽이려는 유대인들이 더 큰 불안에 떨었습니다. 스데반은 나아가 그들의 죄를 사해달라는 기도까지 하는 여유가 있었습니다. 지금도 꼭 순교를 당해야만 하는 굳건한 믿음의 용사에겐 이와 동일한 은혜가 반드시 임할 것입니다. 

PeaceTiger

2023.06.07 07:39:17
*.94.131.106

예수님께서 감당하신 고통의 본질은 영적인 고통입니다. 육신적 고통도 크지만 그것은 그림자일뿐, 진정한 본체는 모든 인류의 죄를 실제적으로 짊어져야 하는 고통이었습니다. 생각해보십시오. 죄를 한톨도 허락하지 않는 거룩의 본체이신 하나님이 모든 죄를 자신 위에 덮어써야 했습니다. 삼위일체로서 아버지와 본질상 한분인 분이 아버지로부터의 버림뿐 아니라 무한한 진노와 저주를 짊어져야 했습니다. 요컨대 그 절망과 고통의 여섯시간은 온 인류가 영원토록 받을 지옥 형벌을 모두 제곱해 한 순간으로 압축해놓은 것과 같은 형벌이었습니다. 아울러 그분의 속죄의 값은 무한대이며 이론상 무한한 수의 인간이 최악의 죄악을 억만겁만큼 쌓더라도 그 죄의 형벌을 모두 흡수하고도 남을 양이었습니다. 불신자들이 불못에서 받을 형량조차 그 영적 형벌에 비하면 한없이 작은 값에 불과합니다. 하나님이신 예수님이기에 통과할수 있었던 시련이었습니다.

master

2023.06.07 10:57:40
*.115.238.98

PeaceTiger님이 매번 저보다 더 은혜로운 답글을 달아주시니 너무 감사하고, 때로 제가 부족하거나 간략하게 답을 해도 뒤가 든든해서 전혀 염려하지 않습니다. 염치없지만 앞으로도 계속해서 말씀 안에서 동역해주시길 간절히 소원합니다 ㅠㅠㅠ . ^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다윗이 골리앗을 이긴 진짜 이유” 중국어번역본이 준비되었습니다. master 2023-09-20 1002
공지 신입 회원 환영 인사 [1] master 2020-10-06 1438
공지 (공지) 비영리법인을 설립했습니다. master 2020-05-15 2622
공지 E-book File 의 목록 [3] master 2019-08-23 1841
공지 크레딧카드로 정기소액후원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master 2019-07-04 5863
공지 소액정기후원회원을 모집합니다. [18] master 2019-02-19 1889
공지 글을 올리려면 로그인 해주십시요/복사 전재하실 때의 원칙 [14] 운영자 2004-09-29 5942
3689 성경은 다 다른 것인가? 다 조금씩 틀리는 것인가? [6] 이준 2007-08-24 1567
3688 아~~알수없는 내인생[내 주 그리스도 예수를 아는 지식이 가장 고상함을 인함이라] 김문수 2007-08-27 866
3687 상한심령을 긍휼히 여기시는 지존자 [까불면 다친다] 김문수 2007-08-28 902
3686 [re] 참과 거짓의 판단 [성령] 이준 2007-08-29 1175
3685 인간적인 객관성[혹은 개인생각]은 언제든 변질될수있다.[나는 꼭두각시가 아니다] [1] 김문수 2007-08-30 904
3684 성령으로 믿음을 좇아,성령으로살면 또한 성령으로 행할찌니 [그리스도를 닮아가는길] 김문수 2007-09-02 882
3683 하나님의 성령으로 봉사하며 그리스도 예수로 자랑하고[바벨탑과 회개] 김문수 2007-09-03 1035
3682 신학을 하지 않은 장로가 신학교 총장이 되다. 이준 2007-09-05 982
3681 신학을 하지 않은 사람도 교회를 하는 방법이 있다! 이준 2007-09-05 1746
3680 서로 마음을 같이 하며 높은데 마음을 두지 말고 도리어 낮은데 처하며 스스로 지혜 있는체 말라 김문수 2007-09-05 1068
3679 너희가 서로 영광을 취하고 유일하신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영광은 구하지 아니하니 어찌 나를 믿을 수 있느냐 김문수 2007-09-06 1044
3678 예수 그리스도의 죽은 자 가운데서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 김문수 2007-09-08 1345
3677 믿음의 결국 곧 영혼의 구원을 받음이라 김문수 2007-09-11 1142
3676 그리스도의 장성한 분량이 충만한데까지 이르리니[신의 성품에 참예] 김문수 2007-09-16 1228
3675 하나님을 만나는 길 강종수 2007-09-16 3874
3674 [퍼온 글] 세상의 절망과 함께 하는 기독교 [2] 정순태 2007-09-19 1267
3673 조상숭배와 우상제물 강종수 2007-09-23 1482
3672 진리를 알찌니 진리가 너희를 자유케 하리라 [오직 예수] 김문수 2007-09-25 1067
3671 안식일의 정확한 해석을 알고 싶습니다 [1] 백운산 2007-09-26 1114
3670 가능성이냐, 기적이냐? 강종수 2007-09-30 103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