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약성경이 오늘날 기독교에 적용되지 않는 8가지 이유(퍼옴)

 

 

저명한 신학자이자 설교자인 존 파이퍼(John Piper) 목사가 최근 "구약성경이 현대 기독교에 적용되지 않는 동시에, 구약성경의 약속은 대부분 교회에 적용된다"고 믿는 8가지 이유를 언급했다.  

 

미국 크리스천포스트(CP)에 따르면, 팟캐스트 "존 목사에게 물어보세요" 최근 에피소드에서 모린(Maureen)이라는 이름의 한 청취자는 "나와 같은 오늘날의 그리스도인을 위한 구약성경 구절은 무엇인지 궁금하다"고 했다. 

 

그녀는 "오전에 성경을 읽다가 가끔 내게 의미 있는 구절을 고른다. 그런데 나중에 곰곰이 생각해 보면, 그 구절을 문맥에서 떼어와 내게 잘못 적용한 것 같은 느낌이 든다. 구약의 어떤 약속이 날 위한 것인지 어떻게 알 수 있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파이퍼 목사는 "모든 구약성경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이들을 위한 것이라고 믿는다"면서 "(그러나) 오늘날 하나님의 백성인 교회와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인 이스라엘 사이에는 여전히 차이가 있다"고 말문을 열었다.

 

그는 그 구체적인 차이점들에 대해 첫째로 "구약의 이스라엘은 '이 땅의 정치적 민족 국가'였으나, 현대 교회는 '하늘에 시민권을 두고 이 땅의 온 나라에 흩어져 있는 나그네들'"이라고 했다. 

 

두 번째 차이점은 이스라엘은 우상 숭배를 비롯한 다양한 죄를 지어 하나님의 율법을 어긴 자들에게 사형 등 형벌을 집행하는 신권 국가였다는 것이다. 그는 그러나 "교회는 시민 정부가 아니며, 또한 교회로서 하나님의 형벌을 집행할 권한도 없다. 교회 권징이 사법 절차를 통한 처형을 대체한다"고 설명했다.

 

세 번째는 이스라엘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민족인 반면, 교회는 모든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파이퍼 목사는 "이스라엘을 주변 민족 및 부족들로부터 구분하기 위해 고안된 관행은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요구 사항으로 폐기됐다"고 했다.

 

네 번째는 이스라엘은 지리적 경계와 종교 중심지로 정의되지만, 교회에는 지리적 경계나 종교 중심지가 없다는 것이다.

 

다섯 번째는 이스라엘인들은 고대 이스라엘에서 태어난 반면, 오늘날 그리스도인들은 교회 안에서 다시 태어난다는 것이다. 파이퍼 목사는 "새 언약은 하나님께서 믿음을 통해 (우리의) 죄를 용서하시고 마음에 율법을 새겨주신 기적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여섯 번째는 이스라엘에는 '대위임', 특히 신약의 신자들과 같이 복음을 전하라는 부르심이 없지만 신약의 신자들은 복음을 전하라는 부르심을 받았다는 것이다. 파이퍼 목사는 "구약의 종교는 주로 '와서 보라'는 종교인 반면, 신약은 주로 '가서 전하는' 종교"라고 했다.

 

일곱 번째는 고대 이스라엘에는 희생 제도가 있었지만, 신약에서는 예수께서 마지막 희생 제물이자 대제사장으로서 제사를 드리셨을 때 희생 제도 자체가 폐지되었다는 것이다.

 

파이퍼 목사는 마지막으로 성령을 언급했다. 그는 "구약의 하나님의 백성은 하나님의 영의 역사를 경험했지만, 내주하시는 성령,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영을 경험하거나 알지 못했다"고 했다.

 

이어 "오늘날 우리는 성령을 그리스도의 영으로 알고 있다. 그러므로 그분은 구약과는 다른 방식으로 당신의 교회에서 일하신다. 왜냐하면 교회는 그분의 몸, 부활하신 그리스도의 몸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주요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파이퍼 목사는 "우리는 구약의 어떤 구절이라도 그리스도 안에서 성취된 것으로 여기고, 필요한 변경 사항을 적용함으로써 그것을 우리의 것으로 만들 수 있다"고 조언했다. 

 

************

10/13/2023 미주기독일보 강혜진 기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2 [퍼옴] 상실의 은혜 운영자 2007-03-23 2344
31 [퍼옴] 목사도 아저씨다. [2] 운영자 2006-11-28 2355
30 [퍼옴]나의 가장 훌륭한 스승 운영자 2006-11-28 2356
29 [퍼옴] 돈 낭비는 일종의 신성모독(?) 운영자 2007-02-02 2381
28 [re] 사과와 변명(이용규 선교사님께 드린 글) [1] 정순태 2006-08-26 2382
27 [퍼옴] Kenneth E. Hagin에 관해 [1] 운영자 2005-10-23 2388
26 [퍼옴] 아프칸 인질 사태에 대한 두 칼럼. 운영자 2007-07-24 2485
25 [퍼옴]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운영자 2005-12-19 2602
24 [퍼옴] 사단의 평안 운영자 2008-06-26 2612
23 하나님이 받지 않으시는 경배(예배) [2] 국중후 2007-01-06 2625
22 [독후감] 이용규 선교사의 “내려놓음”(규장)을 읽고. [2] 정순태 2006-08-06 2734
21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떨어지는 것을 본다. 운영자 2005-04-24 2736
20 [퍼옴] 조엘 오스틴(Joel Osteen)의 실체 [2] 운영자 2005-10-14 2778
19 믿음의 선배 {진정한 그리스도인} [1] 김문수 2006-12-03 2808
18 조선의 사도바울[김교신]과 바나바[손양원]의 숨겨진 오해 [3] 김문수 2007-01-17 2876
17 [독후감] 토마스 주남의 "천국은 확실히 있다"를 읽고 정순태 2005-11-24 2934
16 [독후감] 프랭크 비올라의 “1세기 관계적 교회”를 읽고 [7] 정순태 2007-03-19 3041
15 [퍼옴] 스티브 잡스의 스탠포드대학 졸업식 축사 [1] 운영자 2005-07-19 3080
14 [독후감] 박종신 목사의 "떠남"을 읽고 [1] 정순태 2007-01-14 3082
13 신앙의 눈으로 본 역사 [1] 운영자 2005-11-17 317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