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된 새들의 비행

조회 수 47 추천 수 1 2023.12.29 15:58:53

디자인 된 새들의 비행

 

“매가 떠올라서 날개를 펼쳐 남쪽으로 향하는 것이 어찌 네 지혜로 말미암음이냐”(욥39:26)

 

 

많은 교과서가 오늘날의 젊은 이들에게 새들은 발전된 파충류라고 가르친다. 수백만 년 전에 어떤 파충류들의 비늘들이 가장자리에서부터 서로 비벼대었다고 가정한다. 시간이 지나자 그 비벼대던 비늘들이 날개로 변했고 새들이 태어났다고 한다.  

 

새 날개의 그 우아하고 아름다운 모습을 볼 때 이런 이야기는 정말 믿기 힘들다. 도마뱀의 삐져나온 비늘들이 공작의 화려한 날개를 만들 수 있겠는가? 새의 날개는 그 비행 체제의 극히 일부분일 뿐이다. 아무리 정교한 계획에 따라 새로 교정해도 도마뱀에게서 그런 비행체제는 도저히 생길 수 없다. 

 

새가 날기 위해선 엄청난 가슴 근육이 필요하다. 어떤 새들은 전체 체중의 30%가 가슴 근육이다. 그에 비해 인간은 겨우 체중의 약 1% 밖에 안 된다. 새는 또 나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그 근육들에게 보내기 위해 극도로 높은 대사 작용과 혈압이 필요하다. 새들은 다른 어떤 생물보다 많은 신진 대사를 한다. 또 그러기에 필요한 고혈압을 유지한다. 최종적으로는, 잘 알려진대로 가벼운 골격이 필수다. 군함새는 날개 폭이 7피트나 된다. 그러나 그 전체 골격의 무게는 겨우 2-3온스로 그 깃털들보다 가볍다.  

 

파충류를 최고로 영리하게 재건축해도 절대 새를 만들 수 없다. 사실 새들은 파충류와 공통점도 거의 없다. 새는 몸에서 머리까지 그 존재 전체가 날기 위해서 필요한 모든 것을 정확히 아시는 창조주가 날수 있도록 특별히 디자인 한 것이다. 

 

Notes: Vandeman, George. 1991. “The miracle of flight.” Signs of the Times, May. p. 25. Image: Dove -Pixabay.com © 2023 Creation Moments. All rights reserv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59 최면의 마력을 해체하다 김 계환 2007-08-16 1094
58 동물들의 지능전술 김 계환 2007-08-15 1786
57 홍해의 갈라짐 김 계환 2007-08-13 1452
56 원숭이 의학 김 계환 2007-08-08 1224
55 물, 하나님의 작품! 김 계환 2007-08-07 992
54 해삼의 빌려온 자기방어 [1] 김 계환 2007-08-01 1053
53 나무를 가꾸는 개미 김 계환 2007-07-28 947
52 똑똑한 심장 김 계환 2007-07-27 909
51 바닷가재 김 계환 2007-07-25 1087
50 우리 몸안의 엔진 김 계환 2007-07-23 1119
49 현대과학이 보고자 했다 김 계환 2007-07-20 1063
48 칠일 한주 김 계환 2007-07-19 1274
47 모든 확률에 반하여 김 계환 2007-07-17 990
46 기린의 항중력 옷 김 계환 2007-07-16 988
45 Wernher von Braun박사 김 계환 2007-07-13 1513
44 맛내는 데이타 프로세싱 김 계환 2007-07-11 963
43 천연의 상어 축출제 김 계환 2007-07-10 928
42 동물의 문화 김 계환 2007-07-06 1109
41 과학자들을 혼란시키는 동물 [1] 김 계환 2007-07-04 1438
40 사랑이 많은 독화살 개구리 김 계환 2007-06-28 111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