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 다이빙의 경이

조회 수 1422 추천 수 125 2007.05.27 20:38:14
다이버가 물 속으로 더 깊이 들어 갈 수록  주위의 수압이 점점 높아간다. 수압이 올라갈수록 그의 피는 더 많은 용존 산소를 붙잡을 수 있다. 그의 피는 또한 우리 주위 공기로 부터 질소를 흡수한다. 만약 다이버가 너무 빨리 수면위로 올라오면 질소가 혈액으로 부터 공기방울로 만들어져 근육, 장기들 및 심지어 뇌에로의 혈액공급을 차단해서 죽음에 이르게 한다. 이 고통스러운 상태를 잠수병(bends) 이라고 부른다.

과학자들은 물개들은 왜 잠수병에 걸리지 않는지 의아해해왔다. 웨델(Weddell) 물개는 최상의 장비로 다이브하는 사람에 비하여 훨씬 더 깊이 잠수한다. 이들이 잠수하는 깊이를 생각할때 이것들의 거의 모든 다이브는 치명적인 잠수병을 일으켜야 함이 마땅하다.

이에대한 해답을 얻기위해 과학자들은 물개에 과학 백팩을 달았다. 이것들이 물개들의 심박동수, 혈액샘플, 다이브 깊이등을 기록했다. 물개들이 깊이 들어갈수록 이들의 혈액에 더 많은 질소가 축적됬다. 그런데 이 질소가 위험한 농도에 이르기 바로 직전에 축적이 멈추었다. 과학자들이 말하기를 이때 폐에 있는 산소와 질소를 흡수하는 아주 작은 주머니들이 닫힌다. 그러면 물개의 심장과 간과 지방조직이  피로 부터 질소를 흡수하기 시작한다. 폐에 있는 공기교환 주머니는 물개가 수면으로 떠오르면 다시 활성화된다.

심해에서 물개가 살아남을 수 있게하는 이 놀라운 생물학은 틀림없이 우리의 창조주 하나님에 의해서만 고안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References: Why Seals Don't get the Bends. Discover, October. 1985. P. 1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007 Creation Moments • All Rights Reserved •


정순태

2007.05.28 00:47:01
*.95.73.2

짧은 번역문을 통한 은혜가 감미롭습니다.
올라오는 글마다 깊이 생각케 만드는 것 또한 은혜일 것입니다.
형제님의 수고하심에 감사드립니다!!! ^^ 샬롬!

김 계환

2007.05.28 22:22:05
*.131.10.2

격려해주시니 감사합니다. 저가 늘 격려를 필요로 한다는 것을 형제님이 아시는 군요. 우리가 하나님께 서경을 통해서 거듭거듭 돌아가야 하는 것도 우리가 늘 하나님의 격려를 필요로 하기때문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할렐루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4 Robot Bugs [1] 김 계환 2007-04-15 2001
33 왜 인간의 화석이 흔치 않은가? 김 계환 2007-05-25 2004
32 다리가 여러개 달린 것들의 화학전 [1] 김 계환 2007-04-17 2055
31 벌빵의 비밀 김 계환 2008-02-13 2186
30 농사짓는 쥐 [1] 김 계환 2007-04-18 2203
29 욥이 일기위성을 가지고 있었는가? [1] 김 계환 2007-04-22 2266
28 과학과 창조 [4] 김 계환 2007-04-13 2361
27 원숭이가 대학생만큼이나 지능적이라고? 김 계환 2013-11-22 2440
26 니앤더털은 누구였는가? 김 계환 2007-05-17 2557
25 로스 루나스 바위 master 2020-04-21 2817
24 날지 못하는 새들 [3] master 2020-02-15 2960
23 성경이 불필요하고 불가능한 자세한 사실들을 말하고 있는가? 김계환 2015-09-07 3044
22 딱따구리의 놀라운 혀 김 계환 2014-02-03 3088
21 까치가 자기 자신을 성찰한다 김계환 2016-05-19 3177
20 놀라운 몽구스 김 계환 2014-03-18 3923
19 우리가 우연의 화학이 아니라는 또 하나의 증거 김 계환 2015-01-08 4229
18 은하수가 진화론에 대하여 무어라고 말할까? master 2017-10-11 4456
17 빛의 우리 master 2016-12-23 4714
16 방사선 보호 장치를 갖고 있는 쥐 master 2017-08-07 4938
15 카멜레온 꽃 master 2017-08-06 5205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