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내는 데이타 프로세싱

조회 수 962 추천 수 72 2007.07.11 17:39:08
컴퓨터 엔지니어들은 단지 한개의 프로세서 대신 여러개를 사용함으로써 컴퓨터를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이들은 또한 컴퓨터들이 일부의 결과를 또다른 더 큰 프로세서로 보내 더 복잡한 프로세싱을 수행하는 식으로 다자인하여 훨씬더 복잡한 문제들을 풀어내는데 도움을 준다는 것을 배웠다.

그러나  이들 과학자들은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는 것이 자신들이 처음이 아님을 인정한다. 이 시스템들이 인간의 뇌보다 훨씬 더 간단하지만 이것들은 뇌의 기본구조를 베낀것이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모든 창조물을 생물학적 PREPROCESSORS로 가득채워놓으셨다. 과학자들이 이제 우리의 혀가 뇌가 여러가지의 향을 느낄 수 있도록 도우는 전프로세서가 있다는 것을 안다.

혀의 맛세포들이 짠맛,신맛,쓴맛 및 단맛만을 느낄 수 있다는 과거의 이론이 더 완전한 이해로 대치되었다. 각각의 TASTE BUD들은 약 40개의 맛감지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들이 다양한 조합으로 네가지의 향들을 감지할 수 있다. 이들 세포들은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뇌에 어떠한 시그날을 전달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그러면 뇌는 이 신호들은 더 프로세스하여 비로서 우리가 먹고있는 초코릿 아이스크림이 얼마나 맛있는지를 인식한다.

컴퓨터 과학자들은 현재처럼 잘 디자인된 컴퓨터에 이르기위해 수십년동안 자신들의 최상의 지식들을 사용해왔다. 이러한 노력들은 우리의 창조자가 심지어 우리의 혀를 어떻게 디자인해서 우리가 미각의 축복을 누릴 수 있도록 하신것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References: Weiss, Rick. 1989. Taste buds engage in cross talk. Science News, Nov. 11, p. 31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007 Creation Moments • All Rights Reserved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338 해와 달과 별들 김 계환 2014-04-24 189833
1337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금속 김계환 2016-03-05 63358
1336 어네머니(anemone)들이 듣는 소리 김 계환 2013-12-03 49321
1335 땅 늑대(aardwolf) 김 계환 2014-04-09 31772
1334 우리 몸의 엔진 김 계환 2014-04-10 28010
1333 공룡이 멸종했다고? 김 계환 2014-03-27 25245
1332 항생제 내성 이제 끝 김 계환 2010-03-07 13701
1331 음악의 가치? master 2017-09-25 7924
1330 인간이 바퀴벌레로 부터 진화 했는가? 김 계환 2013-01-28 7065
1329 하나님의 사랑하시는 소유권 master 2017-08-15 6893
1328 사람속에 있는 자석들 김 계환 2013-03-19 6881
1327 바닐라가 진화론자들을 당혹스럽게 한다 김계환 2015-04-23 6689
1326 식물 수학 김 계환 2014-01-07 6094
1325 어둠 속에서 식물 키우기 김 계환 2013-03-24 5237
1324 카멜레온 꽃 master 2017-08-06 5205
1323 방사선 보호 장치를 갖고 있는 쥐 master 2017-08-07 4938
1322 빛의 우리 master 2016-12-23 4714
1321 은하수가 진화론에 대하여 무어라고 말할까? master 2017-10-11 4457
1320 우리가 우연의 화학이 아니라는 또 하나의 증거 김 계환 2015-01-08 4230
1319 놀라운 몽구스 김 계환 2014-03-18 392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