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암살벌레

조회 수 1208 추천 수 79 2008.05.08 20:50:18
자연에서 창조의 증거를 본다고 주장하는 크리스챤들은 참 순진하다고 종종 놀림을 받는다. 그러나 진화를 믿는 사람들도 때때로 우리가 자연을 연구함으로써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음을 인정한다.

코넬대의 토마스 아이스너 박사는 화학의 모든 새로운 아이디어는 화학자의 마음으로 부터가 아니라 자연으로 부터 왔다고 지적했다. 다시말해 심지어 현대의 위대한 화학자도 자신의 학문을 배우기 위해서 창조물을 연구한다.

예를들어 암컷 암살벌레를 예를 들어보자. 이 암컷은 장뇌식물(camphor plant)에 자신의 배를 문질러 그 식물의 수지(resin)를 충분히 저장한다. 그런다음 자신이 알을 낳을때 조심스럽게 자신의 알들을 이 수지로 코팅한다. 화학자들이 이것을 이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렸는데 이는 나방볼이 나방을 보호하듯 동일한 방법으로 이러한 코팅은 알들이 개미들에게 먹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은 화학자들에게 새로운 개미 리펠런트를 발견하게 하였다.

하나님의 손이 창조물에 이렇게 분명한 이유는 그분께서는 어느 곳에 사는 어느 누구도 당신이 개인적이며 지적인 존재임을 알기를 원하시기 때문이다. 이제 이러한 지식이 사람들의 마음에 설정되면 그분은 당신의 독생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당신 자신과 개인적인 관계로 이끄시기를 원하신다.

References: Jane E. Brody. Bug Lover Explores Nature's Subtle Chemistry. The New York Times, Jan. 10, 1989. P. C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234 당신의 20 와트 뇌 김 계환 2007-12-16 1328
1233 심해 전문가 김 계환 2007-12-17 1372
1232 개구리들의 창의적인 방송 해결책 김 계환 2007-12-23 1171
1231 애벌레의 음식 선택 김 계환 2007-12-24 1321
1230 그리 단단하지 않은 달표면 김 계환 2008-01-01 1455
1229 사실이 아니었던 사실들 김 계환 2008-01-03 1568
1228 온혈 호박벌 김 계환 2008-01-09 1313
1227 토마스 제퍼슨이 말한다 김 계환 2008-01-10 1359
1226 침펜지들이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다 김 계환 2008-01-14 1223
1225 뱀 진화로 부터 떨어져 나가 버린 다리들 김 계환 2008-01-19 1479
1224 금붕어 어항안에서의 총천연색 삶 [2] 김 계환 2008-01-22 1586
1223 사막에서 낙시하는 뱀 김 계환 2008-01-24 1511
1222 1988년의 노아의 방주 탐사 김 계환 2008-01-25 1660
1221 위험스러운 경이 김 계환 2008-01-29 1609
1220 암컷인가 수컷인가? 김 계환 2008-02-04 1472
1219 먹는 기계 김 계환 2008-02-06 1474
1218 기막히게 하는 치이타 김 계환 2008-02-07 1652
1217 벌빵의 비밀 김 계환 2008-02-13 2186
1216 노벨상 수상자가 영혼을 암시한다. 김 계환 2008-02-17 1556
1215 엄마들이 언제나 알고있던 것 김 계환 2008-02-22 153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