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테리아의 집단생활

조회 수 485 추천 수 35 2010.09.13 02:05:52

창세기의 노아홍수로 부터 약 300여년이 지난후 모든 사람들이 한 언어를 말할때 그들은 위대한 도시를 짓기위해 서로 협력하기로 결정했다. 이 공통의 목표를 위해 서로 협력하는 것을 “사회적 지능”이라고 부른다. 동물들도 이러한 사회적 지능을 가지고 있는가? 물론이다. 벌들,개미들 및 비버들이여기에 속한데 심지어 박테리아-모든 생물중 가장 비천한-까지도 또한 사회적 지능을 보여준다!

여러 종류의 흔히 볼 수 있는 박테리아들로부터 사회적 지능의 증거를 발견할 수 있다. 때때로 우리들이 기대하는 것과는 상반되게 이러한 협력이 유전적으로 관련된 것들을 희생시키면서도 서로 연관이 없는 것들 사이에서 일어나기도 한다. 상호협력이 진행되는 박테리아 군집에서는 언제나 공짜로 기생하는 것들이 있게 마련이다. 박테리아 군집들은 종종 이런 기생하는 것들을 쫓아내거나 심지어는 죽이는 방법들을 찾아낸다. 상호협력하는 박테리아 공동체중의 하나는 흔한 토양박테리아이다. 이것들이 먹이를 찾으면 먹이 주위로 한 무리의 늑대처럼 이 먹이 주위로 몰려든다. 여러종류의 박테리아들은 이들이  공동체를 이룰 정도의 많은 수라고 인식할때까지는 비교적 홀로 남아 지낸다. 그러다가 때가 되면 이들은 다른 것들이 인식할 수 있는 화학물질들을 분비하여 서로 교통하면서 끈적끈적한 일정한 형태의 군집, 즉 바이오 필름을 형성한다.

상호협력과 사회적 지능은 좋은 결과 혹은 나쁜 결과를 낳는데 사용될 수가 있다. 그러나 이것들이 상상되어진 진화론적 나무에서 어디에 속하는 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많은 창조물들에게 생존을 위한 서로돕는 수단으로 사회적 능력은 부여하신 것이다.

Notes:
Science News, 11/20: 2004, pp. 330-332, Bruce Bower, "One-Celled Socialite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21 약이 되는 마늘 김 계환 2011-07-04 780
1020 멍청한 새 머리라니? 김 계환 2009-05-21 780
1019 지구가 움직이나? master 2019-06-17 778
1018 정확한 혈액 김 계환 2009-05-17 776
1017 당신이 들어본적이 없는 가장 흥미로운 소리 [3] 김 계환 2010-09-09 773
1016 박쥐들의 진화설이 이상하게 꼬인다. 김 계환 2010-01-02 766
1015 개미가 자연선택에 도전을 준다 김 계환 2010-01-30 763
1014 가장 지독한 냄새를 풍기는 꽃 김 계환 2014-04-04 753
1013 아프리카에 사는 이스라엘 제사장 부족 김 계환 2010-04-20 753
1012 저 너머에 외계인들이 있는가? [1] master 2019-09-10 746
1011 지상에서 가장 치명적인 동물 김 계환 2010-04-06 739
1010 살아있는 화석들, 진화론의 실수 [3] 김 계환 2010-08-09 738
1009 진화론적 년도계산의 속임수 김 계환 2010-05-07 737
1008 시끄러운 개미들 김 계환 2010-01-16 735
1007 화석화된 담장이 진화론년도측정에 방해가 되네 김 계환 2010-01-25 731
1006 ​꿀벌들이 뜨거운 방어선을 가지고 있다 master 2018-10-12 726
1005 쥐 피라미드의 신비 김 계환 2010-04-12 724
1004 성경 회의론에 대한 도전 김 계환 2010-02-09 722
1003 참으로 “하나님께서 당신을 축복하십니다” 김 계환 2010-03-15 720
1002 나방이 박쥐를 속이네 김 계환 2010-03-21 71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