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련의 불가능해 보이는 발견들로 인하여 과학자들이 의아해 하고 있다. 이들은 지표면 3마일 아래로 부터 지금까지 발견된 것중 가장 작은 생물체들이 화씨 338도에 이르는 고온하에서도 행복하게 살아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이 미생물은the Deep Subsurface Microbiology Program의 일환으로 발견되게 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지하에서 오염물을 먹고 살거나 분해시키는 아표면의 미생물들을 발견하려는 노력이었다. 길이가 20-150 나노미터인 이들은 너무 작아 살 수가 없을 것처럼 보인다. 나노미터는 일 미터의 10억분의 일이다. 우리의 머리털은 평균 일만 나노미터의 두께이며 원자들은 평균 3-5나노미터의 크기다. 이러므로 겨우 원자의 4-5배크기인 생물체가 도저히 살아남을 수 없어 보인다.  약간의DNA와 단 두개의 세포벽들을 가진 내노우브(Nanobes)라고 불리는 이 지구상에서 가장 작은 미생물은 너무 작아서 살아있는 생물체가 될 수 없어 보였다. 그리하여 과학자들은 이것들이 살아있을 수 없다고 결정했다. 그런데 연구결과 과학자들은 이들이 정말DNA를 가지고 있고 생명에 필요한 원소들 즉 탄소, 질소 및 산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발견했다. 이것들은 다른 생명체들 처럼 정말 자라고 있었다.

이 나노 미생물은 창조주의 전능하심과 무소부재하심을 보여주는 또하나의 증거가 된다. 하나님께서 자신의 독생자의 생명까지를 포함하여 어떠한 것도 아끼지 아니하시고 우리에게 구원의 기회를 주셨기에 이 사실은 우리에게 위로가 된다.

Notes:
Discover, 1/01. "It's a Small World After All." p. 5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340 세인트 헬렌 산기슭에서 master 2017-05-18 108
339 갤럭시란 무엇인가? master 2021-09-17 108
338 우주 년도에 관한 상충된 논쟁 [1] master 2022-03-14 108
337 생각이 너무 많은가요? 김 계환 2015-01-12 107
336 바위가 증언한다 김 계환 2015-01-20 107
335 혜성의 죽음 master 2017-06-20 107
334 많은 신들에 대항하는 유일신 master 2021-11-22 107
333 죽어가는 별들 master 2022-11-28 107
332 바위들이 잠겨진 금고 같은가 아니면 스폰지 같은가? 김 계환 2015-02-16 106
331 새들이 짓고 도마뱀이 으르렁거린다. master 2017-01-20 106
330 삼투현상 master 2018-10-21 106
329 진화가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가? master 2024-02-06 106
328 다윈주의는 변호사의 주장에 근거하고 있다 김계환 2016-02-27 105
327 고양이가 우유를 마시는 방법 master 2016-08-02 105
326 별님들이 죽으셨다 master 2018-02-12 105
325 감각과 후각 [1] master 2022-05-17 105
324 보이는 것보다 훨씬 더 다양한 나비 색깔 master 2017-04-03 104
323 노래하는 호수 master 2020-06-11 104
322 목성의 일기예보 [1] master 2021-01-07 104
321 파란 눈의 내 사촌들 [1] master 2021-08-11 10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