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벌

조회 수 529 추천 수 31 2013.02.10 06:14:07
한 세기에 걸쳐 그것은 전설의 벌이였다. 인도네시아 섬의 원주민들은 그것을 왕벌이라고 불렀다. 1800년대에 처음으로 이 왕벌이 과학자에 의해서 기록되었다. 그런데 100여년에 걸친 탐사에도 불구하고 이 가장 큰 벌들은 세상에서 볼 수가 없었는데 1980년대에 다시 발견되었다.

이 왕벌은 벌새의 크기이다. 과학자들은 이 왕벌이 날때 마치 벌새처럼 소리가 난다고 말한다. 크기 뿐만이 아니라 암컷 왕벌은 커다란 아래 턱으로 인해 쉽게 분별되어질 수 있다. 이것들은 자신의 숲속 집에 있는 나무들로 부터 생겨나는 나무진을 수집하기 위하여 그 아래턱을 사용한다. 나무진을 모아서 아래턱으로 공 모양으로 만든다음 아래턱에 넣어 자신의 집으로 나른다.  수컷 왕벌은 더 몸집이 작고 그 아래턱은 몸과 더 좋은 비율의 크기이다.

왕벌의 집은 약 농구공의 크기이다. 이것들은 나무에 사는 개미집 안에 지어진다. 이 벌은 나무 진을 사용하여 집을 짓는데 이는 개미들에게 이 나무 진이 전혀 영양적 흥미를 제공하지 않기때문이다. 이 벌들을 연구한 한 과학자는 이 왕벌의 쏘임은 꿀벌의 쏘임만큼이나 통증을 주지않으며 일반적으로 그리 공격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이 거대한 왕벌은 심지어 개미들 가운데에서도 자신들의 집을 안전하게 만들 수 있도록 조심스럽게 디자인되어졌다. 이 놀라운 생물의 지적인 능력은 우리의 창조주을  증언한다.

Notes:
J. A. Miller. 1984. “Jungle Jaws: Giant Bee Rediscovered on Indonesian Islands.” Science News, May 12, p. 293. Photo: Indonesian Megachile pluto. Courtesy of Stavenn. Licens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 Alike 3.0 Unported licens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54 보호하고 가르치는 아버지 김 계환 2012-10-16 407
853 다른 인종들, 한 피 김 계환 2012-10-21 1037
852 빨리 움직이는 바위들 김 계환 2012-10-31 410
851 얼은 개구리들 [1] 김 계환 2012-11-02 470
850 생물학적 균형 김 계환 2012-11-06 436
849 당신 뇌안의 채소구역 [1] 김 계환 2012-11-09 450
848 한 잘못된 년도측정 김 계환 2012-11-19 462
847 왜 세균들이 존재할까? [1] 김 계환 2012-11-29 560
846 동물 문화 김 계환 2012-11-29 485
845 당신이 왜 녹슬지 않을까? [1] 김 계환 2012-12-10 559
844 세상에서 가장 이상한 새 김 계환 2012-12-15 700
843 “액체 공기”는 창조주의 시스템을 모방하고 있다 [1] 김 계환 2013-01-07 476
842 파리가 두꺼비를 잡아 먹는다! [2] 김 계환 2013-01-12 572
841 일어나 빛을 발하라! [1] 김 계환 2013-01-16 413
840 당신의 여섯번째 감각 김 계환 2013-01-26 624
839 인간이 바퀴벌레로 부터 진화 했는가? 김 계환 2013-01-28 7061
838 갈라파고스 섬에서 진화는 없다 김 계환 2013-01-30 479
837 삶과 죽음의 문제 [1] 김 계환 2013-02-01 445
836 똑똑한 박테리아 김 계환 2013-02-09 369
» 왕벌 김 계환 2013-02-10 529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