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력에 관한 또 하나의 기적

조회 수 357 추천 수 38 2013.04.18 21:26:55
눈은 화학적이며 기술적인 놀라움이다. 눈이 없는 생물이 시력을 가지기위해서는 수 천번의 조심스럽게 올바른 방향으로 진행된 돌연변이를 거쳐야 할 것이다.  그리고 부분적으로 발달된 눈은 시력을 가질 수 없기에 이들 수 천번의 돌연변이들은 그 생물에게 아무런 이익이 되지 못했을 것이다.

물론 돌연변이는 이러한 식으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이 사실이다. 우리가 아는 모든 참된 돌연변이들은 그 생물체를 도우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를 끼친다. 이러한 사실은 수천번의 도움이 되는 돌연변이들이 일어날 가능성은 합리적인 과학적인 고려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을 말해준다.  더욱이 살아있는 생물들이나 알려진 어떠한 화석들도 눈의 점진적인 발달의 증거를 보여주지 못한다. 그러므로 가장 합리적인 결론은 눈을 디자인하시고 창조하신 창조주가 계시다는 것이다.

눈의 렌즈는 화학적인 경이로움이다. 눈 렌즈는 약간의 물로 채워진 세포들의 내부에 고농도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다. 과학자들이 이것을 발견하고서는 매우 놀라워했다. 물에 녹은 단백질은 렌즈처럼 투명하지 않기때문이다. 더 연구해본 결과 그들은 하나님의 비밀을 알아냈다. 눈의 렌즈 속의 단백질의 높은 농도는  이 단백질들이 마치 창문 유리의 분자들 처럼 서로 포개지게 되도록 만들었다. 결과로 정상적으로는 불투명할 렌즈속의 단백질이 투명하게 된다.

다른 어떤 생물체의 특성 보다 눈은 하나님을 배제시키는 생명의 근원에 관한 아이디어에 대하여 더 많은 손상을 가한다. 왜냐하면 눈이 우리 주위에 있는 창조주의 지문들을(문자그대로) 볼 수있도록 허락하기 때문이다.

Notes:
I. Peterson. 1983. “Why the Eye Lens is Transparent.” Science News, April 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34 먼저된 자가 나중되네 김 계환 2013-02-18 364
833 천재의 문제 [1] 김 계환 2013-02-24 368
832 스스로 교정하는 유전학 [1] 김 계환 2013-02-25 428
831 아삭 아삭한 약 김 계환 2013-03-07 385
830 역동적인 열대림 김 계환 2013-03-15 536
829 사람속에 있는 자석들 김 계환 2013-03-19 6875
828 어둠 속에서 식물 키우기 김 계환 2013-03-24 5234
827 화석이 얼마나 오래됐을까? 김 계환 2013-03-25 429
826 볼라 거미의 속임수 김 계환 2013-03-28 340
825 혼수 치료? 김 계환 2013-04-11 1824
824 무장되고 위험한 곰팡이 김 계환 2013-04-14 365
» 시력에 관한 또 하나의 기적 김 계환 2013-04-18 357
822 우주로 부터의 멸망? 김 계환 2013-04-22 354
821 별들이 너무 빠르게 죽어간다 김 계환 2013-04-28 321
820 금방 만들어지는 석탄 김 계환 2013-05-09 306
819 바쁜 단백질 김 계환 2013-05-12 285
818 새우가 화학자를 채간다! 김 계환 2013-05-17 298
817 식물이 빛을 한곳으로 모은다 김 계환 2013-05-22 339
816 사실이 아닌 사실들 김 계환 2013-06-12 308
815 뱀 진화에서 떨어져나간 다리들 김 계환 2013-06-17 48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