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을 벌새라고 생각하는 나방

조회 수 318 추천 수 40 2014.02.06 22:34:17

창조에서의 다양함과 디자인의 지혜는 끝이 없어 보인다. 가장 흥미로운 것은 중요한 특성을 공유하지만 서로는 아주 다른 그러한 생물체들이다. 고래도 그 한 예인데 물고기 같지만 실제로 이것은 포유동물이다.

스핑스 나방은 또 다른 이런 종류의 생물이다. 분명하게 나방이지만 이것은 마치 벌새처럼 모든 방식에서 행동하며, 담배꽃의 넥타를 먹고 산다. 보통의 나방이라면 스핑스 나방이  목이 긴 이 꽃들안에 있는 넥타를 결코 먹를 수는 없겠지만, 이 나방은 벌새처럼 특별한 혀를 가지고 있다. 이 긴 혀를 꽃 속으로 집어넣는 동안 이 나방은 그 꽃위에 날면서 머물러 있는다. 이 혀는 자신의 몸 보다 더 긴데  홈이 패인  두개의 반쪽으로 되어있다. 이 두 반쪽이 서로 포개져서 긴 빨대를 만들어 넥타를 들여마신다. 만약 이 두 반쪽들이 완전하게 서로 포개지지 않는다면 이 나방은 굶어 죽을 것이다.

최초의 스핑스 나방의 혀는 완전하게 형성되었던 것이 분명하다. 이 나방이 꽃위를 맴돌때 초당 25회 내지 45회의 날개짓으로 벌새의 초당 50번의 날개짓에 거의 맞먹는다.

경이롭게도 다양한 창조에서의 패턴들은 수 백만년의 진화에 의해서 강요된 상호관계를 말해주지 않는다. 오히려, 이것들은 전지하신 창조주에 의해서 조심스럽게 디자인 된 창조적 상호관계를 말해준다.

Notes:
Treat Davidson. “Like Hummingbirds.” National Geographic, Vol. 127, No. 6. Photo: The hummingbird hawk moth or the white-lined sphinx hovers in midair while it feeds on nectar from flowers. Courtesy of IronChris. Licensed under the GNU Free Documentation License, Version 1.2.

사라의 웃음

2014.02.09 23:28:25
*.109.85.156

제목을 보고 허~~걱!! 놀랍니다.
저도 여러부분 여러모양으로 나방같은 착각을 자주하거든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74 12 피트 지렁이가 발견되다! [1] 김 계환 2014-01-28 326
773 인류에 관한 또 다른 진화론적 신화 김 계환 2014-01-30 293
772 딱따구리의 놀라운 혀 김 계환 2014-02-03 3088
771 털복숭이 와스프 김 계환 2014-02-06 260
» 자신을 벌새라고 생각하는 나방 [1] 김 계환 2014-02-06 318
769 연장을 사용하는 새 [1] 김 계환 2014-02-14 303
768 지적인 인내 [1] 김 계환 2014-02-19 285
767 빛으로 유혹하기 김 계환 2014-02-20 351
766 지상에서 가장 큰 생물 김 계환 2014-02-25 291
765 새를 돕는 새 김 계환 2014-02-26 292
764 언제나 비행중인 새 김 계환 2014-02-27 310
763 식물의 자기방어 김 계환 2014-03-04 441
762 허점 투성이인 인간 김 계환 2014-03-04 313
761 당신이 물고기였어요? 김 계환 2014-03-06 304
760 매혹적인 플래절럼(FLAGELLUM) 김 계환 2014-03-10 310
759 회의론자들도 인정하는 것: 과학이 영혼을 부정할 수 없다. 김 계환 2014-03-13 315
758 놀라운 몽구스 김 계환 2014-03-18 3923
757 최고의 예술가 김 계환 2014-03-19 247
756 하나님의 순간 접착제 김 계환 2014-03-22 421
755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나? [1] 김 계환 2014-03-23 33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