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라 거미의 속임수

조회 수 340 추천 수 21 2013.03.28 22:00:05
볼라 거미는 스스로 놀라운 능력을 진화시켰다고 말해진다. 그런데 어째서 거미에 불과한 것이 인간보다 더 똑똑하고 더 큰 능력을 지니게 됬을까?

볼라 거미의 가장 좋아하는 먹이는 나방인데 이 거미는 거미줄도 치지 않는다. 볼라 거미는 암컷 나방이 만들어 내는 동일한 냄새를 만들어 낸다. 수컷 나방은 이 냄새에 유인되고 이 거미는 그 수컷 나방의 불가피한 출현을 기다리고 있다.

수컷 나방이 가까이 오면 이 볼라 거미는 날개로 부터의 진동을 감지한다. 바로 정확한 순간에 그 거미는 자신의 볼라를 던진다. 이 볼라는 끝에 끈적끈적한 뭉치가 달린 특수 거미줄인데 이 거미의 이름이 이를 따서 지어진 것이다. 이 아교 뭉치를 연구한 과학자들에 의하면 현대 화학은 이 뭉치에 필적하는 것을 만들어 낼 수 없다고 한다. 이 명주실 같은 거미줄은 매우 탄력적이여서 원래 길이의 여섯 배까지 늘어난다. 이로 인해 이 거미는 나방이 저항하는 동안에 자신의 에너지를 보존할 수가 있다. 일단 먹이를 끌어당긴후 거미는 자신이 배고픔을 느낄때까지 저장하기 위하여 그 나방을 거미줄로 뚤뚤 말아 놓는다. 볼라 거미의 이 방법은 매우 효과적이어서 한 밤에 나방을 여덟 마리까지도 잡는 것은 흔한 일이다.  

정상적으로 한 종은 다른 종의 짝짓기 냄새를 탐지하지 못한다. 그런데 어떻게 이 볼라 거미는 자신의 계획을 생각해냈겠는가? 일단 그 계획을 생각한 후, 어떻게 이 거미가 암컷 나방의 냄새를 복제할 수 있는 화학을 배웠겠는가? 어떻게 이 볼라 거미가 인간보다 더 똑똑하게 되었겠는가?  물론 이들 질문에 대한 유일한 해답은 볼라 거미는 하나님에 의해서 디자인되고 창조되었다는 사실이다. 누가 화학을 최초로 만들어냈는가?

Notes:
D. Franklin. 1983. “Prey Caught with a Smell and a Stinker.” Science News, Dec. 17, p. 389.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14 별들이 너무 빠르게 죽어간다 김 계환 2013-04-28 321
513 우주로 부터의 멸망? 김 계환 2013-04-22 354
512 시력에 관한 또 하나의 기적 김 계환 2013-04-18 357
511 무장되고 위험한 곰팡이 김 계환 2013-04-14 365
510 혼수 치료? 김 계환 2013-04-11 1824
» 볼라 거미의 속임수 김 계환 2013-03-28 340
508 화석이 얼마나 오래됐을까? 김 계환 2013-03-25 429
507 어둠 속에서 식물 키우기 김 계환 2013-03-24 5234
506 사람속에 있는 자석들 김 계환 2013-03-19 6875
505 역동적인 열대림 김 계환 2013-03-15 536
504 아삭 아삭한 약 김 계환 2013-03-07 385
503 스스로 교정하는 유전학 [1] 김 계환 2013-02-25 428
502 천재의 문제 [1] 김 계환 2013-02-24 368
501 먼저된 자가 나중되네 김 계환 2013-02-18 364
500 왕벌 김 계환 2013-02-10 529
499 똑똑한 박테리아 김 계환 2013-02-09 369
498 삶과 죽음의 문제 [1] 김 계환 2013-02-01 445
497 갈라파고스 섬에서 진화는 없다 김 계환 2013-01-30 479
496 인간이 바퀴벌레로 부터 진화 했는가? 김 계환 2013-01-28 7061
495 당신의 여섯번째 감각 김 계환 2013-01-26 62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