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은 여러 자연물을 영적 메타포로 사용합니다.

 

부정적인 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있고  긍정적인 식으로 사용하는 것도 있습니다.

 

 

(대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사용한 메타포 : 빛, 양(lamb), 강물, 나무(포도나무, 무화과, 올리브), 땅, 등등

 

(대체적으로) 부정적으로 사용한 메타포 : 어둠, 뱀, 공룡(용), 개, 돼지, 표범, 곰, 염소, 가시/찔레/엉겅퀴, 바다(폭주의 상징), 등등

 

(둘 다 쓰였던 것) : 사자, 모닝스타 등등

 

중립적인 의미 : 뿔(권능) 일곱(완전한 세트) 등등

 

 

 

여기서 질문은 우리가 메타포를 대할 때 성경이 주로 지지하는 경향성을 본받아야 하냐는 것입니다.

 

즉, 예를들어 우리도 (물리적인)새끼양에게 다른 동물보다 더 애착을 느껴야하며 

반대로 개, 돼지, 표범, 뱀 등에게는 (미움까지는 아니더라도) 부정적인 시선을 가져야 하는 걸까요.

 

메타포의 대상이 된 그 동물 자체를 말하는 겁니다.

 

 

왜 이런 엉뚱한 질문이 들었느냐면, 오늘날 세태가 불신 세상으로 가속화되서 그런 것인지는 모르겠으나

 

성경의 메타포 시선과는 반대의 시선을 갖는 경향성이 강해진 것 같아서입니다.

 

동물만 봐도 (성경에서 멸시의 대상이었던) 개는 이제 귀여움, 대형견 속성 등 좋은 이미지로만 사용되고

개는 반려동물이니 그렇다고 쳐도 (성경에서 적그리스도의 외양이었던) 표범은

이제는 흔히 날렵하고 잘생기고 매끈한 매력적인 남성적 매력을 비유하는 표현으로 많이 쓰입니다.

 

심지어 대다수의 환상 소설들이 빛의 속성보다는 어둠의 속성을 매력적으로 묘사합니다

(대체로 그런 류의 매체들은 무익한 경우가 많지만, 일단 일반적으로는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저 물리적인 빛/어둠, 동물, 자연물은 그 자체로는 중립적인 존재이니 평등하게 사랑하면 될까요.

 

아니면 그런 동물들에 대한 개개인의 마음속의 이미지가 성경적으로 바로잡힐 필요가 있는걸까요.


master

2020.10.20 03:43:48
*.115.239.75

"메타포를 대할 때 성경이 주로 지지하는 경향성을 본받아야 하느냐"라고 질문했습니다. 

 

- 질문자님도 메타포에 세 가지의 의미가 있다고 지적했듯이 성경이 주로 지지하는 한 가지 경향성이라는 것 자체가 없는데 조금 불합리한 질문인 것 같습니다.  

- 모든 메타포는 앞뒤 문맥에서 말하는 뜻대로만 이해 적용해야 합니다. 

- 메타포는 어디까지나 메타포로 따로 강조하는 주제를 더 잘 설명해주려는 보조 역할에 그칩니다. . 

- 메타포가 가르치는 본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서 해석하면 됩니다. 

- 동물에 대한 사람들이 갖는 일반적인 경향성은 단순히 각 개인별 취향, 선호도, 개념일 뿐이지 그것을 성경의 진리와 연결시키는 것은 무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성경의 동물 메타포가 각 케이스마다 일일이 다르며, 한 동물에도 에컨대 뱀처럼 부정적 긍정적 의미 둘 다 적용되었는데 일반화시켜서 동일하게 적용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모든 동식물은 하나님이 창조하여 인간더러 당신의 뜻에 맞게 다스리라고 맡겨주셨을 뿐입니다. 샬롬!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다윗이 골리앗을 이긴 진짜 이유” 중국어번역본이 준비되었습니다. master 2023-09-20 1002
공지 신입 회원 환영 인사 [1] master 2020-10-06 1443
공지 (공지) 비영리법인을 설립했습니다. master 2020-05-15 2623
공지 E-book File 의 목록 [3] master 2019-08-23 1842
공지 크레딧카드로 정기소액후원하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file master 2019-07-04 5863
공지 소액정기후원회원을 모집합니다. [18] master 2019-02-19 1890
공지 글을 올리려면 로그인 해주십시요/복사 전재하실 때의 원칙 [14] 운영자 2004-09-29 5945
1932 구원예정론에 대한 개인적인 뇌피셜 [3] 날마다순종 2020-01-29 137
1931 사도행전 내에 바울의 다메섹 사건 세부 묘사 불일치 [1] 낭여 2020-01-29 60
1930 바벨론 왕 고레스? [1] 구원 2020-01-28 172
1929 복음이란 무엇일까요? [4] 공금 2020-01-27 165
1928 인사드립니다. [1] 이성하 2020-01-27 59
1927 은 금를 여호와께 드리다? [1] 구원 2020-01-25 60
1926 거짓말하는 영? [10] 구원 2020-01-24 448
1925 샬롬~ 목사님 평안하신지요? [1] 아가페 2020-01-21 89
1924 질문이요~ [2] 샌디 2020-01-21 70
1923 알기쉬운 예정에서 [1] 구원 2020-01-19 93
1922 1.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의 시작(막1:1) 배승형 2020-01-19 55
1921 “작은 후원”님을 찾습니다. master 2020-01-19 148
1920 요한계시록 3장 10절 이해가 전혀 안갑니다. [1] 본본 2020-01-17 896
1919 하나님의 이름 혹은 신의 이름? [2] 구원 2020-01-15 88
1918 열왕기상 13장에 늙은 선지자에 대한 의문? [7] 구원 2020-01-15 2124
1917 2. 조물주와 피조물과의 운명적인 관계(창1:3) 배승형 2020-01-12 76
1916 이 말들이 어떤 근거가 있는 말인가요? 기복적인 신앙인가요? 제가 정말 부족해서 모르고 있는건가요... [8] 민스 2020-01-06 231
1915 1. 왜 고통과 아픔을 통해 하나님 나라 완성을 이루시려는가?(창1:1~5) [9] 배승형 2020-01-05 576
1914 오직 예수 file [1] 날마다순종 2020-01-01 130
1913 믿음의 continuation amazing_grace 2019-12-29 70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