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한 연체동물

조회 수 1216 추천 수 101 2008.06.17 19:32:34


진화론적 사고에 의하면 지능은 여러가지 요인으로 부터 얻어지는 산물이다. 물론 이중 가장 중요한 조건은 그 생물이 진화론적 서열에서 높은 자리에 있어야 한다. 지능은 또한 생존기간과 연관되어 그 생물이 오래 살수록 더 좋은 지능을 갖으며 또한 이 생물들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사실과도 연관된다.

그런데 이러한 이론이 진화론적 서열에서 매우  낮은 자리에 위치하고 아주 짧은 생존기간을 가지며 보통 혼자서 지내는 생물체들에게는 적용될 수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여러가지 연구들이 아주 서열이 낮은 조개의 사촌인 낙지가 지구상에서 가장 지적인 생물 중의 하나에 속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과학자들은 낙지가 미로와 같은 문제를 푸는 방법을 배울 뿐아니라 자신들이 배운 것을 기억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 바다 실험실 수족관에서 일부 낙지들이 다른 탱크들에 있는 고기를 잡아먹기위해서 밤에 살짝 빠져나간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한데 더 두드러진 지능의 표현은 이들 낙지들이 개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이다. 예를 들어 각각의 낙지들은 하나의 익숙하지 않은 물체에 대해서 호기심으로, 두려움으로, 혹은 그것을 공격함으로 반응한다. 또다른 지능의 표현은 장난치는 것이다. 낙지들은 한 어린이가 욕조에 떠있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듯이 거의 동일한 방법으로 탱크에 떠있는 물건을 가지고 장난을 친다.

어떠한 전통적인 진화론적인 지능에 대한 설명도 이러한 낙지에 적용되어질 수가 없다. 사실은 이러한 설명의 어느것도 어느 생물체에게 적용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모든 생물들은 자신들의 지능을 창조주로 부터 받았기 때문이다.

References: Discover, 10/03, pp. 46-51, Eric Scigliano, “Through the Eye of an Octopus.”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234 당신의 20 와트 뇌 김 계환 2007-12-16 1328
1233 심해 전문가 김 계환 2007-12-17 1372
1232 개구리들의 창의적인 방송 해결책 김 계환 2007-12-23 1171
1231 애벌레의 음식 선택 김 계환 2007-12-24 1321
1230 그리 단단하지 않은 달표면 김 계환 2008-01-01 1455
1229 사실이 아니었던 사실들 김 계환 2008-01-03 1568
1228 온혈 호박벌 김 계환 2008-01-09 1313
1227 토마스 제퍼슨이 말한다 김 계환 2008-01-10 1359
1226 침펜지들이 새로운 항생제를 발견하다 김 계환 2008-01-14 1223
1225 뱀 진화로 부터 떨어져 나가 버린 다리들 김 계환 2008-01-19 1479
1224 금붕어 어항안에서의 총천연색 삶 [2] 김 계환 2008-01-22 1586
1223 사막에서 낙시하는 뱀 김 계환 2008-01-24 1511
1222 1988년의 노아의 방주 탐사 김 계환 2008-01-25 1660
1221 위험스러운 경이 김 계환 2008-01-29 1609
1220 암컷인가 수컷인가? 김 계환 2008-02-04 1472
1219 먹는 기계 김 계환 2008-02-06 1474
1218 기막히게 하는 치이타 김 계환 2008-02-07 1652
1217 벌빵의 비밀 김 계환 2008-02-13 2186
1216 노벨상 수상자가 영혼을 암시한다. 김 계환 2008-02-17 1556
1215 엄마들이 언제나 알고있던 것 김 계환 2008-02-22 153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