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륙 이동과 대홍수

조회 수 362 추천 수 0 2018.09.18 06:00:50

대륙 이동과 대홍수

 

지각의 움직임에 대한 생각은 오늘날 매우 깊이 각인된 아이디어로 많은 사람들은 이 개념이 완전히 증명되었고 현재 지구의 지각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하고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많은 창조론자들은, 나를 포함한, 이 지각변동이론이 참으로 최상의 설명이라고 믿기는 하지만 진화론적 장구한 세월은 배척하며 지각 운동이 대홍수의 초기시기에 신속하고 파괴적으로 발생했다고 제안한다. 그러나 장구한 세월의 진화론적 지각변동이론은 1912년에 대륙 이동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책으로 쓴 알프레드 웨거너의 연구 덕분이지만 이 아이디어는 1950년까지 그리 크게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웨거너는 이 생각을 처음으로 해낸 사람이 아니었다. 이러한 개념이 처음 발표된 것은 프랑스 지질학자인 안토니오 스나이더-펠레그리니가 저술한 “창조와 그 비밀 밝혀지다”에서였다. 펠레그리니는 두 가지의 중요한 사실을 알아차렸다. 첫째, 지구의 지도를 검토하던 중 그는 지상의 대륙의 모습이 지그소 퍼즐과 유사하다는 점이였다. 대륙들을 옮길 때 서로 짝을 마출 수 있었다. 페레그리니는 대륙들이 원래는 서로 결합된 상태였는데 나중에 서로 갈라졌다고 가정하였다. 이 생각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그는 유럽과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되는 식물 석들의 유사성을 제시했다.

 

그의 이론이 즉각적으로 호응을 얻지 못한 것은 대륙이동에 대한 그의 생각 때문일 수도 있었다. 펠레그리니는 창세기에 기록된 전 세계적인 홍수로 인하여 대륙들이 강제적으로 갈라지게 되었다고 생각했다.

 

Ref: Snider-Pellegrini, A. (1858), La Création et ses mystères dévoilés, < https://archive.org/details/lacrationetsesm00pelgoog >, accessed 1/23/20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00 로터스(연꽃) 효과 김 계환 2010-03-12 713
999 점점 꼬여가는 생명의 나무 김 계환 2010-04-07 708
998 세상에서 가장 이상한 새 김 계환 2012-12-15 701
997 똑똑한 점액 김 계환 2010-02-24 701
996 창조론이 더 나은 과학이다 [1] 김 계환 2012-03-22 695
995 목성이 진화론적 설명에 도전한다 김 계환 2010-05-04 694
994 눈이 없지만 빛을 볼 수 있다 김 계환 2010-02-22 693
993 당신의 다목적 눈 김 계환 2010-02-04 686
992 새 똥 거미 김계환 2015-07-28 681
991 까치가 자신을 인식한다 [1] 김 계환 2010-03-26 680
990 안정보장 진드기 김 계환 2010-02-17 679
989 위대한 여행자들이 가지는 위대한 얘깃거리 김 계환 2010-03-02 678
988 태양계 구조가 과학자들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김 계환 2010-04-02 673
987 가짜 거미 김 계환 2011-06-13 672
986 태아가 엄마에게 말하는 것 [3] 김 계환 2012-07-27 666
985 딱따구리의 먹이 저장소 [1] 김 계환 2012-08-27 661
984 하나님께서 언제 천사들을 창조하셨나? master 2017-06-12 655
983 아메바 산파 김 계환 2010-10-25 655
982 진화론자들이 발견한 써프라이즈! 김 계환 2010-05-22 654
981 계속하여 남아있는 진화론의 신화 master 2017-08-26 6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