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우리가 단순히 동물들의 소리를 듣고서 그것이 적대적인지 아니면 우호적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의식해 본적이 있는가? 동물과 인간사이에 중요한 기본적인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하는 보편적인 특성들에 관하여 생각해 본적이 있는가?

개가 저음으로 으르렁거리며 이빨들을 드러내는 것이 우리를 위협하려는 것이라는 것을 누가 가르쳐줄  필요가  없다. 우리는 그 동일한 개가 자신의 주인이 집에 돌아오면 만들어내는  깽깽거리는 고음의 소리에 익숙하다. 한 연구보고가 고음과 저음으로 표현되는그 소리의 동기들이 대부분의 생물들 사이에 보편적으로 같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연구자들은 거의 대부분의 동물들이 짖거나(고음의 소리) 으르렁거린다(저음의 소리)고 말한다. 그런데 놀랍게도 동물들은 단순히 아무렇게나 이러한 소리들을 만들어내는 것이 아니었다. 각각의 소리는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심지어 더 높은 소리를 내는 새들까지도 짖는 모드를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그래프로 그려질 수 있고 그 녹음을 느리게 복제시키면 들을 수 있었다. 동물들은 공격적이 되었을때 더 낮고 거친 소리를 만들어 낸다. 이것이 으르렁거림이다. 이들이 우호적일때는 고음의 소리를 만든다. 이 짖는 소리는 위협적이지도 친절하지도 않고 단순히 호기심이 있음을 의미하기도 했다. 인간의 언어도 이러한 동일한 패턴을 따른다.
    

이러한 보편적인 의사소통의 특성들은 여러 많은 종류의 생물들이 서로 상생할 수 있도록 의도하신 하나님의 역사를 반영한다. 당신께서 우리에게 두려움, 공격성 및 기쁨등의 중요한 기본적인 메세지를 이해할 수 있는 보편적인 방법을 제공하셨다.  

Notes:
Bennett, Dawn D. 1985. "Making sense of animal sounds." Science News, v. 127, May 18. p. 31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881 아스피린 김 계환 2012-07-10 532
880 마음이 없는 논리? 김 계환 2012-07-12 406
879 태아가 엄마에게 말하는 것 [3] 김 계환 2012-07-27 666
878 맛 좋은 사실들 [1] 김 계환 2012-07-29 543
877 “깊음의 샘들”이 발견되다! [1] 김 계환 2012-07-30 579
876 기발한 탈출 김 계환 2012-08-07 495
875 순전한 고통 [1] 김 계환 2012-08-07 583
874 의사선생 개구리 [1] 김 계환 2012-08-10 491
873 당신의 휴대용 구급상자 [1] 김 계환 2012-08-14 519
872 재조명된 팬다곰의 엄지 [4] 운영자 2012-08-18 434
871 이기심이 폭삭 망하네 김 계환 2012-08-26 1838
870 딱따구리의 먹이 저장소 [1] 김 계환 2012-08-27 661
869 성의 절제를 가르치는 것이 효과가 있음을 과학이 증명한다! [1] 김 계환 2012-08-30 558
868 당신은 “여분의” 장기를 가지고 있는가? [1] 김 계환 2012-09-03 546
867 다리가 많이 달린 것들의 화학전 김 계환 2012-09-11 473
866 이상한 노래하는 물고기 이야기 김 계환 2012-09-17 549
865 매머드가 이 지상에 다시 걸어 다닐까? 김 계환 2012-09-22 584
864 세라믹의 기적 김 계환 2012-09-30 464
863 인간과 공룡이 같이 살았다는 증거 김 계환 2012-10-07 549
862 공기가 없이도 사는 동물 김 계환 2012-10-09 47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