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를 먹이는 박쥐들

조회 수 515 추천 수 49 2012.07.01 02:22:13
열대림의 살아있는 거대한 천개(canopy)의 50 내지 150 피트아래의 지표면은 어둡고 습하며 거대한 나무 트렁크로 채워진 세상이다. 이 트렁크들과  이 트렁크들로 부터 뻗어나온 거대한 구멍이 난 나뭇가지들 사이에 캐노피의 생명의 비밀들이 숨어있다.

열대림에는 보통 일년에 12피트 이상의 비가 내린다. 이 정도의 많은 양의 비는 식물들의 성장에 요구되는 질산염의 대부분을 토양으로 부터 씻어내려 버린다. 나무들이 필요로 하는 것은 계속하여 보충되는 풍부한 질산염의 근원이다. 바로 여기에 박쥐가 끼어든다.

특징적으로 이들 거대한 나무들은 나무안쪽이 텅 비어있다. 과일 박쥐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생물들이 여러 캐노피 입구들 통해 들어와 텅빈 나무속에 서식한다. 과일박쥐들은 텅빈 나무 트렁크로 부터 뻗어나온 거대한 나뭇가지 구멍안에서  낮시간의 이상적인  수면공간을 발견한다. 나무 안쪽에 축적된 박쥐들의 분비물은 가장 풍성한 질산염의 근원중의 하나이다. 그리하여 박쥐는 낮동안에 보호받는 집의 댓가로 나무에게 필요한 질산염을 제공한다!

매우 실제적인 의미에서 과일박쥐들은 수백만의 거주자들을 가진 열대림 캐노피의 생명을 가능케하는 원자재를 공급하는 수집, 전달시스템인 셈이다.  창조주께서는 많은 생물체들에게 필요한 것들을 공급할 기가막힌 방법을 만드신 것이다. 참으로 하나님께서는 만물에게 그들이 필요로 하는 바로 그 방법으로 먹을 것을 제공하신다!

Notes:
Perry, Donald. "Life in the treetops." 1978. Science Digest, Oct. p. 26. Photo: Livingstone's fruit bat.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1 당신의 태아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마시요 master 2017-10-09 134
920 행성 9번 master 2018-01-22 134
919 네안데르탈인은 다른 사람들을 보살폈다. master 2018-12-17 134
918 진화론이 나쁜 과학이라고 과학자들이 말한다 master 2021-06-11 134
917 다윈 의심자들은 벌을 받아야 한다! 김계환 2015-08-22 135
916 보라색 도둑 김계환 2015-04-28 135
915 유전학 속임수 master 2019-06-07 135
914 우주의 텅 빈 공간 [1] master 2020-12-02 135
913 인간이 진화한다? master 2022-03-23 135
912 창조론을 뒷밭침하는 분명한 사건 김계환 2015-06-21 136
911 하나님의 안전장치 master 2017-01-16 136
910 창세기 1장에 시간 간격이 있는가? master 2021-05-17 136
909 남극의 얼음 밑에서도 생명은 잘 자란다 김계환 2015-08-22 137
908 지상에서 가장 예민한 포유동물 김 계환 2014-11-30 138
907 자연의 변덕이냐 하나님의 디자인이냐? 김 계환 2014-12-18 138
906 두번째 혹은 세번째의 일거리를 가지는 것은 수지맞는 일이다 김 계환 2015-03-04 138
905 선글래스를 가진 펭귄 김계환 2015-05-10 138
904 단백석(Opal)이 어떻게 자라나? master 2016-10-27 138
903 현대의 골칫거리에 대한 달콤한 옛날 해결책 master 2018-04-17 138
902 최고 강력한 항생제 master 2021-11-29 13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