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디자인-정말 나쁜 주장!

조회 수 121 추천 수 0 2016.08.23 13:10:39

 

 

앞서 우리는 진화론자들이 자연에서 자신들이 생각하기에 나쁜 디자인이라고 여기는 것 - 특별히 조잡하게 디자인된 인체에서 나쁘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찾아내기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말했다. 물론 진화론을 비판하기 위하여 그러한 주장을 제기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하나님을 향하여 비난하는 손가락질을 하고 있는 것이다. 만약 하나님이 그렇게 현명하다면 어떻게 그리 많은 실수를 저지를 수 있는가 하고 조롱하는 것이다.

 

의사이자 창조과학회 대변인인 Randy Guliuzza 박사는 그의 저서 “창조론의 기본과 그 넘어”라는 책에서 정말 실수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다름 아닌 진화론자 자신들이라고 지적한다. 진화론자들은 자신들이 비판하고 있는 부분의 완전한 기능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으며 디자인을 결정하는 원리들을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어떤 부분이 나쁘게 디자인 되어 있다고 하는 주장은 데이터가 보여주는 사실들과 다르다고 말했다. 인체에 정통한 Guliuzza 박사는 진화론자들이 디자인의 관점에서 여러 가지의 서로 경쟁하는 이해관계를 조화시킬 필요성을 알지 못한다고 말한다. 그는 첨언하기를 디자인상으로 조정 된 것이 오히려 그 배후의 지적인 능력을 보여주는 더 나은 지표가 된다고 했다.

 

내가 생각하기에 "디자인이 나쁘다"는 주장이 오히려 나쁘며 순전히 어리석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하나 있다. 진화론자 생물학자인 고 George Williams 박사는 한때 두 눈을 가진 인간이 나쁜 디자인의 예라고 주장한 적이 있다. “두 눈을 가진 것이 어떤 기능적 유익이 있는가? 한 개 혹은 세 개 혹은 다른 숫자의 눈이 더 좋지 않은가?”라고 말이다. 그가 “깊은 인식”(depth perception)*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었는지 의심스럽다. 틀림없이 들어보지 못한 것 같다.

 

Notes: Randy Guliuzza, M.D., "The Mistakes in Evolutionary Arguments Against Life's Design," Creation Basics and Beyond, pp. 111-117 (Institute for Creation Research, 2013). Photo: Dr. Randy Guliuzza.

 

* 역자 주: 문맥상으로 인간신체의 모든 구조와 기능을 세밀히 살펴보면 두 눈이 한 개 혹은 세 개 혹은 더 많은 눈들 보다 훨씬 기능적으로도 좋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로 사용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60 시간을 말하는 독사 master 2020-12-28 120
959 과학이 하나님을 뒷바침한다 김계환 2016-02-19 121
» 나쁜 디자인-정말 나쁜 주장! master 2016-08-23 121
957 인종차별주의의 뿌리 master 2022-08-10 121
956 진화론의 난제 김 계환 2015-01-08 122
955 기아상태에 이르는 먹기 김계환 2015-10-22 122
954 단지 일분 master 2016-11-30 122
953 로빈의 일회용 기저귀 김계환 2015-05-16 123
952 당신이 볼 수 있는 가장 작은 것은? master 2016-11-28 123
951 유향(乳香) master 2018-02-16 123
950 서도록 디자인되었다 김계환 2015-08-06 124
949 깊음의 샘들 master 2017-04-18 124
948 모래시계로 부터의 교훈 master 2017-06-29 124
947 현대의학이 성경을 따라잡고 있다 master 2022-08-01 124
946 열대우림이었던 북극 master 2021-03-26 125
945 진화론의 완곡어법 master 2022-10-10 125
944 인간이 유전공학을 최초로 시작한 것이 아니다 김계환 2016-04-25 126
943 꼬마원숭이가 두드려 점심을 찾는 방법 master 2018-06-07 126
942 하늘에서 충돌 master 2018-07-30 126
941 건강 유익이 가득한 커피 김계환 2016-02-27 12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