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 개구리들이 자신들을 독살할 수 있을까?

 

독 개구리들이 왜 독성을 가질까? 개구리들의 독이 약탈자들에게 매우 유해한 것은 분명하다. 이러한 이유로 진화론자들은 독을 만들어 내는 개구리들이 자연 선택의 과정에서 더 유리하다고 가정한다.

 

“독을 가진다는 것은 자신들의 생존에 좋다-이것이 약탈자에 대항하기에 유리하다”고 텍사스 오스틴 대학의 연구 보고에서 한 과학자가 말한다. 이 연구자는 계속하기를 “왜 더 많은 동물들이 독성을 보이질 않는가? 우리의 연구는 이에 대한 큰 장애물이 그 생물체가 자신의 독에 저항성을 발전시킬 수 있느냐 마느냐에 달려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진화가 세 개의 서로 다른 군집의 개구리들에서 이러한 동일한 변화를 우연히 일으켰음을 발견했고 이는 대단히 아름다워 보인다.”고 했다.

 

문제는 간단하게 말해 이것이다: 독성을 가진 개구리가 자신을 쉽게 독살할 수 있었기에 새끼를 가지는 것이 거의 불가능했을 것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그 연구 보고서는 자신을 독살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전을 제안했다. 그러나 왜 그러한 기전이 진화했는지는 언급하지 않았다. 비독성의 개구리가 독성물질에 저항성을 만들어 내는 것이 어떤 진화론적 유익을 주겠는가? 또한 그 독물질의 생산 자체도 진화하지 않았겠는가?

 

물론 이 기사는 이러한 분명해 보이는 문제점을 완료(reification)라고 불리는 논리적 거짓-추상적인 개념의 인격화로 무시한다. 이 연구자는 “진화가 우연히 그 대답을 찾았다”고 말했지만, 진화는 추상적인 개념이기에 이것이 어떤 것을 우연히 찾았다고 말할 수 없다. 진화를 신봉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비인격적이며 우연하다는 점이다. 진화론자들이 하나님에 의한 동물들의 디자인의 분명한 증거들을 무시하고 그 디자인의 특성들을 진화 때문이라고 주장할 때 그들은 일관성을 잃는다.

 

Notes:

Ref: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017, September 21). Why poison frogs don't poison themselves. ScienceDaily. Retrieved October 2, 2017 from www.sciencedaily.com/releases/2017/09/170921141238.htm. Image: licens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Share-Alike 3.0 Unport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781 12 피트 지렁이가 발견되다! [1] 김 계환 2014-01-28 326
780 인류에 관한 또 다른 진화론적 신화 김 계환 2014-01-30 296
779 딱따구리의 놀라운 혀 김 계환 2014-02-03 3103
778 털복숭이 와스프 김 계환 2014-02-06 265
777 자신을 벌새라고 생각하는 나방 [1] 김 계환 2014-02-06 319
776 연장을 사용하는 새 [1] 김 계환 2014-02-14 307
775 지적인 인내 [1] 김 계환 2014-02-19 285
774 빛으로 유혹하기 김 계환 2014-02-20 354
773 지상에서 가장 큰 생물 김 계환 2014-02-25 293
772 새를 돕는 새 김 계환 2014-02-26 295
771 언제나 비행중인 새 김 계환 2014-02-27 310
770 식물의 자기방어 김 계환 2014-03-04 447
769 허점 투성이인 인간 김 계환 2014-03-04 314
768 당신이 물고기였어요? 김 계환 2014-03-06 305
767 매혹적인 플래절럼(FLAGELLUM) 김 계환 2014-03-10 314
766 회의론자들도 인정하는 것: 과학이 영혼을 부정할 수 없다. 김 계환 2014-03-13 316
765 놀라운 몽구스 김 계환 2014-03-18 3941
764 최고의 예술가 김 계환 2014-03-19 248
763 하나님의 순간 접착제 김 계환 2014-03-22 422
762 얼마나 많은 별들이 있나? [1] 김 계환 2014-03-23 33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