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이 탄생된다

조회 수 36 추천 수 0 2019.01.21 01:22:48

별이 탄생된다.

 

빅뱅 이론의 문제점을 제시하자면 우리가 때때로 듣게 되는 별이 생성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장구한 세월을 주장하는 천체 물리학자들은 종종 자신들의 주장을 위해 소위 별 보육실을 제시한다. 이 보육실은 시퍼스(Cepheus)라 불리는 별자리에서 볼 수 있다. 진화론적 천체 물리학자들은 허블 망원경을 통하여 관찰되는 그 별자리 안에 있는 분자적 구름을 지적한다. 이 구름 내부에서 전구체 별(protostar)이라고 불리는 많은 별들을 볼 수 있다. 자신들의 이론 모델에 따르면, 이 구름은 중력적 함몰에 의하여 붕괴되고 있고, 이때 생겨난 에너지는 분산되어져야 하며, 그 결과 전구체 별의 발화를 야기시킨다. 이 이론에 따르면, 우리가 관찰하는 것은 별 생성의 스냅사진인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정말 별 생성임을 보여주려면 완전한 별로 발전되어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런데 그 이론은 이 과정이 수 백만년의 세월이 걸린다고 제안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시퍼스 별 구름에서 별의 탄생의 과정을 보는 것이 아님을 지적해야 한다. 대신에 우리는 분명히 그곳에 존재하는 흥미로운 이미지를 관찰하지만 그것이 진화론적 모델을 받아들이는 과학자들에 의해 별의 생성과정이라고 해석되고 있는 것이다. 별 진화의 증거로 이 스냅사진을 제시하는 것은 그들의 별 진화모델을 앞서 인정할 것을 요구한다. 이것은 하나의 순환 논리로 논리적 오류인 것이다. 창세기 1장에 하나님 자신께서 우리에게 제시하신 증인적 설명을 받아들이는 것이 더 논리적인 말이다.


Ref: Encyclopaedia Britannica, < https://www.britannica.com/science/molecular-cloud#ref282024 >, accessed 4/30/20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36 진정한 평생의 짝지워짐 김 계환 2009-05-04 856
1035 화석이 만들어지는데 얼마나 걸리나? 김 계환 2009-11-20 848
1034 금쪽같은 시간 분 김 계환 2009-08-25 848
1033 두번째 쌍의 눈들 김 계환 2009-07-06 845
1032 진화론적 예견이 실패하고 있다. 김 계환 2009-04-17 845
1031 “쥐박사”가 곰팡이에서 지혜를 발견했다 김 계환 2009-06-04 838
1030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아니면 복잡한 것에서 단순한 것으로? 김 계환 2009-11-25 829
1029 다윗 왕이 샤핑 몰에 갔었나? 김 계환 2009-03-23 829
1028 1582년 10월 5일이 달력에 없는 이유 김 계환 2010-01-01 828
1027 정글의 법칙: 협력 김 계환 2009-12-16 825
1026 두번째 혹 세번째 직업을 갖는 것은 수지 맞는 일이다 김 계환 2010-01-02 821
1025 당황하게 만드는 진화론 김 계환 2009-08-08 819
1024 노아의 방주를 찾아낸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김 계환 2009-06-24 815
1023 생명의 기원 이론들에 대한 새로운 문제점 김 계환 2010-01-08 813
1022 과학자들이 우리가 “마춤”지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김 계환 2010-01-26 812
1021 기아를 유발시키는 식사 김 계환 2010-04-04 798
1020 한 세포가 얼마나 복잡한지 아시는가? 김 계환 2010-02-08 791
1019 과학자들이 지능에 관하여 더 많이 알아가고 있다. 김 계환 2009-07-10 791
1018 내장된 오류 교정장치 김 계환 2009-05-28 790
1017 하나님께서 쥐에게 한 비밀을 주셨다 김 계환 2009-06-07 783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