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들의 다음 세대

조회 수 94 추천 수 0 2019.09.02 09:28:53

 

꽃들의 다음 세대

 

꽃을 피는 식물들의 재생 사이클은 이해하기 쉬우나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 생식 기전의 주요 과정은 꽃가루 전달이다.

 

꽃의 수컷 장기인 꽃 밥은 꽃가루 세포를 만든다. 이것들은 암컷 수술로 전달되어져야 하고 난소 세포를 지니고 있는 난소로 이내 도달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꽃가루는 자신의 꽃에 있는 난소로 수정되지 않는다. 그래서 그 식물은 한 꽃의 꽃가루를 동일 종 식물의 다른 꽃의 난소로 가져갈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이를 위해 그 식물은 꽃가루 전달자를 사용한다.

 

꽃잎들이 그리 아름다운 이유를 생각해 보았는가? 그것은 대 부분의 식물들이 꽃가루 전달자로 행동할 곤충들을 유인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그 곤충은 그 꽃이 제공하는 어떤 것을 필요로 해야만 한다. 그래서 많은 꽃들은 넥타, 즉 많은 곤충들 특히 벌들과 나비들이 좋아하는 달콤한 액체를 만들어 낸다. 방문하는 곤충들은 수술로 부터 꽃가루를 문질러 가져가고 그것들이 다른 꽃을 방문할 때 그 꽃가루를 그 꽃의 암술에게 전달한다. 그런데 어떻게 그 곤충들이 거기에 넥타가 있다는 사실을 알까? 바로 그 꽃이 만드는 밝은 색의 꽃잎에 의해서다!

 

이러한 특성들은 우연으로 진화되어질 수가 없다. 밝은 색의 꽃잎들은 식물들의 에너지를 고갈시킨다. 만약 꽃가루 전달자가 없다고 한다면 이것의 진화론적 유익이 무엇었이겠는가? 우리가 꽃가루 전달 방식에 대하여, 특별히 더 특이한 식물들의 전달 방식을 고려해볼 때, 우리는 이것이 하나님에 의해 디자인된 과정임을 깨닫게 된다.

 

Ref: Encyclopaedia Britannica, < https://www.britannica.com/science/pollination >, accessed 9/30/201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1076 비자연적 선택인가? 김 계환 2009-04-08 946
1075 달 표면에 먼지가 얼마나 깊이 쌓여있나? 김 계환 2009-01-23 946
1074 나무를 가꾸는 개미 김 계환 2007-07-28 946
1073 태아가 자신을 보호한다 김 계환 2009-08-31 936
1072 자기력 거북이 김 계환 2009-10-27 932
1071 새로운 형태의 눈이 발견되다! 김 계환 2015-03-19 931
1070 몸안의 엔진들 김 계환 2008-11-17 928
1069 천연의 상어 축출제 김 계환 2007-07-10 928
1068 나무가 바위와는 모순된 결과를 보인다 김 계환 2009-02-22 924
1067 의사들이GOD를 연구한다 김 계환 2009-04-22 923
1066 고약한 냄새를 풍기는 독을 가진 새 김 계환 2009-12-08 921
1065 진공청소기 허파 김 계환 2009-05-10 920
1064 캐나다 의 화석 숲 김 계환 2009-07-19 919
1063 도덕은 인간을 위한 것이다 김 계환 2008-12-16 917
1062 마법의 고속도로 master 2016-08-10 915
1061 우주에서 가장 복잡한 구조 김 계환 2009-05-11 909
1060 똑똑한 심장 김 계환 2007-07-27 907
1059 창조론과 복음 김 계환 2008-12-22 906
1058 새겨진 다윗 이름 김 계환 2009-02-13 904
1057 진화가 단순히 변화인가? 김 계환 2009-01-02 90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