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간의 종은 오늘 새벽에도 울리는데

하나님의 집인 교회는 캄캄한 어둠이 가득하다.
밝은 불빛도
찬송소리도
예배도
서로 떠드는 교제도
먹고 나누는 식탁도 없다..

 

이스라엘이 성전을 빼앗기고
예배하지 못할 때..이랬을까..

성전 안에서 울어대는 짐승의 소리..
제의의 짐승잡는 피비린내..
제사장들의 분주한 발소리..
나팔소리..
여인네들의 시끄러운 소리..
이 모든 것들이 사라졌을 때..
얼마나 괴로웠을까..

 

거짓되고 이중적인 백성들의 삶과 제사에 
넌덜머리나신 하나님께서
너희가 태운 기름냄새가 역겹고 지겹다고 하시고
모든 제사를 폐하시듯,
우리의 가증스러운 삶과 예배를 지겨워 하셨나...

 

200년이 넘고
100년이 넘도록 단 한번도 어떠한 상황에서도 멈추지 않았던 모든 교회의 문이 닫히고 예배의 소리가 사라져버렸다..

멈춘 후에야 알았다.
우리의 예배가,
우리의 일상이,
얼마나 감사였던가..

 

모든 것이 멈춘 후에야
우리의 삶을 되돌아본다.

사업장에서는
더 많은 돈을 벌기위해 온갖 더러움의 거짓과 속임수로 가득하고
장삿꾼은 
먹을 수 없는 것들로 버무려진 것들을 사고팔고
직장에서는 상사의 눈속임으로
가득차고 
교만함과 높아지려하는 자들이 
강단에 서서 하나님의 말씀을 선포하고
시기와 미움과 탐욕으로 가득찬 성도들은 
자신과 상관 없듯이 듣는 말씀과 찬송의 고백을 해대며
드리는 헌금의 숫자에 으시대는 모습..
다스려야 할 자연을 나만의 편함과 이기주의로 
서슴없이 파괴해대는 자들이
경건한 척 드리는 예배에
나 라도 역겨울 것 같다..

 

주님..
우리의 교만함과 이기주의와 탐욕이 사라지고
삶이 없는 예배가 무슨 참 예배였겠는지요.
산제사가 되지 못하고
삶의 예배가 아닌데 
예배당에 모여 찬송부르고 헌금을 바치고 봉사함은 
주께서 토해내고 싶으셨을 구역질 나는 것들 뿐입니다.

 

성전의 문을 닫고 싶다하시더니..
그때도,
지금도,
기어코 닫으셨습니다.

더는 바라볼 수 없으셨기에..

부끄러운 저희가 이제야 회개합니다.
 

가증스러웠던, 
삶이 없는 예배를 용서하여 주시옵소서.

사랑하지 못했음을,
나누며 베풀지 못했음을,
감사하지 못했음을,
하나님 한분으로 즐거워하지 못했음을,
용서하여 주옵소서....

 

우리 인간이 얼마나 연약한 존재인지, 
한 줌의 먼지였음을 깨닫고,
보이지도 않는 존재로 
생명이 무너지는 존재임을 인식하며,

생명의 주인이시며
창조주이시며
존귀하신 하나님을 인정하며,

이 땅 위의 고난이 
회개의 운동이 일어나고
새롭게 되는 신앙으로 굳게 서는 계기가 되게 하옵소서.
주여.. 우리를 긍휼히 여겨 주옵소서....

 

제주도...어느 골방에서 드려진 기도..


master

2020.03.03 04:19:11
*.115.255.228

어떤 회원분이 온라인 상으로 돌고 있는 이 메시지를 저에게 보내주셨습니다. 현 사태에 대한 제 심정을 대변하는 것 같아서 함께 나누고자 올립니다. 샬롬!

구원

2020.03.03 05:44:45
*.76.19.170

1. 종교인 과세 

2. 비협조적인 교회 세무조사

3. 코로나 사태

대형, 중형교회  예배 중단 ㅡ 대 사회적 공조의 명분

ㅡ> 혹 교회 세무조사에 대한 두려움(?)

종교인 과세의 첫 단추가

결과적으로 정권에 비협조적일 때

세무조사라는 압박카드로 위협

그 결과가 예배 중단이란 

초유의 사태 발생

총칼 앞에서도 신앙을 지켰는데

코로나 앞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이유야 어떻던

앞으로 어떤 대 재앙이 생길지

그럴 때 마다 예배를 중단할 것인지?

 

이번 우한폐렴으로 인한 예배 중단 사태

과연 하나님께서 어떻게 보실지?

 

큰 교회는 큰 교회대로

중형 교회는 중형 교회대로

작은 교회는 작은 교회대로

나름 그럴 듯한 변명이 다양하다

 

평소 하나님 앞에

예배의 소중함을 그렇게 강조하던

나름 철저히 성경적 복음적인 교회도

대 사회적 책임 명분으로

예배를 중단하고 말았다.

 

도저히 상상도 못했던

그런 현실을 살아서 보게 되었다.

 

앞으로 어떤 어려움이 발생할지

그럴 때마다 예배를 중단해야 하는지?

 

예배는 사람들이 주인이 아니고

하나님이 주인이라고 그렇게 설교하고

또 그렇게 믿고 알고 있었는데

 

주인을 무시한 예배

주인이신 하나님께서 과연 기뻐하실까?

 

 

master

2020.03.03 05:54:42
*.115.255.228

추천
4
비추천
0

구원님 온라인으로 예배를 드리기에 예배가 중단되는 것이 아닙니다. 예배의 장소와 형식만 그것도 일시적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코로나 앞에 신앙을 버린 것이 아닙니다. 예배당에서 예배를 드려야만 예배의 주인이 하나님이 되시는 것도 아닙니다. 신자의 중심에 하나님이 계셔야 하고 오직 예수님의 십자가 복음이 온전히 전해지고 신자의 삶에 실현되는 것이 참 예배입니다. 

 

앞으로 염려하는 것 같은 정부의 핍박이 있거나, 이런저런 재앙이 계속 생기거나, 적그리스도가 당장 나타나는 등, 어떤 사태가 일어나든 참 믿음을 가진 순전한 신자들은, 초대교회가 핍박을 피해 무덤에서라도 예배드렸듯이, 숨어서라도 예배드리면 됩니다. 장중한 예배당에 모여서 아주 경건하게(?) 예배드릴 때에 기독교는 오히려 부패했고, 로마 지하동굴에 숨어서 제대로 격식도 갖추지 못하고 예배드릴 때에 기독교는 참된 영적 부흥이 일어났습니다. (덧붙이자면 교회와 종교인의 과세에 대해서도 더 진전된 시각을 가져야 합니다.) 샬롬!

rejoice

2020.03.07 06:37:01
*.171.236.7

추천
1
비추천
0

목사님의 올바른 신앙관에 감사할 따름입니다. 앞으로도 올곧게 잘 인도해 주시길 기도하고 기도합니다. 샬롬!♡

탐구자

2020.06.01 23:16:59
*.177.93.116

전적으로 동의합니다.

이스라엘 민족이 우상숭배를 하고 하나님이 노하여 벌한 것은 모세 시대의 이야기만은 아닙니다.

우리민족 또한 교회에서 예배를 드려야 된다는 이유만으로 교회가 앞장서 신사참배 곧 우상숭배를 하였습니다. 이는 계명을 어긴 것이니 그 죄의 엄중함을 생각할때 큰 벌은 당연하겠지요.

당시의 목회자들과 그 제자들은 해방후 선교에 더욱 힘썼고 이전보다 융성하게 되었으나

교회가 죄 위에 세워졌으니 한국교회의 원죄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수님이 제왕의 모습으로 역사하신 것이 아니듯이 교회는 더 낮은 위치에서 회개해여야 할 것입니다. 그리고 교회안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세상으로 나가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사명을 다할때 하나님 보시기에 좋을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92 [독후감] 이용규 선교사의 “내려놓음”(규장)을 읽고. [2] 정순태 2006-08-06 2744
91 나는 사탄이 번개처럼 떨어지는 것을 본다. 운영자 2005-04-24 2736
90 하나님이 받지 않으시는 경배(예배) [2] 국중후 2007-01-06 2628
89 [퍼옴] 사단의 평안 운영자 2008-06-26 2614
88 [퍼옴] 21세기를 위한 평신도 신학 운영자 2005-12-19 2602
87 [퍼옴] 아프칸 인질 사태에 대한 두 칼럼. 운영자 2007-07-24 2489
86 [퍼옴] Kenneth E. Hagin에 관해 [1] 운영자 2005-10-23 2389
85 [re] 사과와 변명(이용규 선교사님께 드린 글) [1] 정순태 2006-08-26 2385
84 [퍼옴] 돈 낭비는 일종의 신성모독(?) 운영자 2007-02-02 2382
83 [퍼옴]나의 가장 훌륭한 스승 운영자 2006-11-28 2359
82 [퍼옴] 목사도 아저씨다. [2] 운영자 2006-11-28 2356
81 [퍼옴] 상실의 은혜 운영자 2007-03-23 2345
80 [퍼옴] 그리스도인에게 고난은 당연한 것 운영자 2007-02-02 2340
79 [퍼옴] 긍정의 힘! 믿음의 힘! 운영자 2006-10-30 2327
78 [독후감] 소강석 목사의 "신정주의 교회를 회복하라."를 읽고 [1] 정순태 2006-07-25 2313
77 하늘에 속한 사람을 읽고 김 계환 2005-04-27 2311
76 [퍼옴] 토저의 서약 기도 [1] 운영자 2007-03-07 2244
75 목사에게 너무 실망한 한 평신도의 변(辨) [2] 운영자 2005-11-03 2168
74 [독후감] 더글라스 웹스터 목사의 “낮아짐”을 읽고(규장).{이것이 참 진리!!!} [2] 정순태 2006-08-06 2163
73 프란시스 쉐퍼에 심취하여 운영자 2005-05-28 2127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