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자가가 우상인가요?

조회 수 655 추천 수 2 2021.02.22 04:38:45

십자가가 우상인가요?

 

[질문]

 

교회에서 예배실 벽에 십자가를 걸어놓거나 그 십자가를 보며 기도하는 것이 우상숭배인가요? 또 십자가 목걸이나 팔찌를 통해 주님을 계속 떠올리는 것이 우상숭배인가요?

 

[답변]

 

우상이란 단순히 조각한 형상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자기 삶을 주관하여서 자신에게 기쁨과 만족을 줄 수 있다고 믿음으로써 하나님을 대신하는 존재를 말합니다. 조금 더 확장하면 하나님보다 인생에서 더 기뻐하는 대상도 포함됩니다. 그래서 그런 존재나 대상에 의해서 자신의 일상적인 삶이 종속 지배 좌우될 때에 우상을 숭배하는 죄가 됩니다.

 

현대에서 가장 대표적인 우상은 돈입니다. 돈이 자기 삶을 지배하고 기쁨과 만족을 줄 수 있다고 믿고 오직 돈을 위해서 또 돈에 의해서 살고 죽기 때문입니다. 일부 신자들이 믿음 생활하고 기도하는 목적이 현실에서의 형통뿐이면 아무리 교회활동을 성실히 열심히 해도 돈이라는 우상을 숭배하고 있는 것입니다. 또 확장된 의미의 대표적인 것은 자식이 우상이 될 수 있습니다. 자식이 출세 형통하는 것이 삶의 유일한 목표이므로 삶의 모든 측면이 그에 따라 좌우되고 또 그것만을 위해서 기도하면 자식이 우상입니다.

 

교회의 예배실에 달린 십자가나 목걸이 십자가의 경우는 우상이 아닙니다. 교회의 십자가는 예수님의 대속구원의 은혜를 상징하므로 신자들이 예배를 볼 때나 기도할 때에 그 의미를 회상시키는 역할만 하기 때문입니다. 목걸이는 자신이 그리스도 은혜 안에 항상 거하고 있으며 그분을 따라가는 삶을 살겠다는 뜻을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그들의 믿음의 조상인 아브라함과 여호와가 맺은 언약에 동참한다는 표시로 할례를 행해서 몸에 지닌 것처럼 말입니다.(창17:9-14)

 

그러나 자칫 십자가가 우상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드라큐라 영화에서처럼 십자가를 손에 들고 사탄아 물러가라는 식이 되면 조각한 십자가 자체가 마치 큰 능력이 있는 것처럼 믿는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십자가를 만지면서 기도하면 응답이 잘 되거나 좋은 일이 생긴다는 식으로 여기면 우상이 됩니다. 사탄을 물리치거나 신자의 인생을 주관하는 것은 조각한 십자가 형상이 아니라 골고다 십자가에 실현된 하나님의 사랑과 권능입니다.

 

요컨대 동일한 대상이라도 단순히 어떤 의미를 상징하는 기념품으로 그치면 우상이 아니지만, 그것 자체에 능력이 있어서 하나님을 대신하거나 인생의 목표가 되어서 자기 삶을 좌우하면 우상이 됩니다.

 

우상숭배는 여호와 하나님이 모세에게 수여하신 십계명의 두 번째 계명에서 강력히 금지하고 있습니다.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또 위로 하늘에 있는 것이나 아래로 땅에 있는 것이나 땅 아래 물 속에 있는 것의 어떤 형상도 만들지 말며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출20:4,5a)

 

형상을 만드는 데에 초점이 있지 않고 하나님이 강조하는 사항은 둘입니다. 첫째는 너를 위하여 우상을 만들지 말라는 것인데 인간이 자기 위로를 위해서 스스로 하나님을 대체하는 존재를 고안하지 말라는 것입니다. 둘째는 그래서 그것들에 경배하거나 섬기지 말라는 것입니다. 쉽게 말해서 첫째 계명인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출20:3)를 위반하면 우상숭배입니다.

 

(2/22/2021)


파란아해

2021.02.23 18:37:37
*.158.91.72

하나님보다 더 사랑한다면 그것이 우상이라는 것을 적용하면 앞으로 무엇이 우상인지 잘 구분할 수 있을 것 같네요^^ 항상 정성들여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구원의 확신이 없는 청년들에게 master 2023-04-30 2167
공지 질문하시기 전에 이 차례부터 보십시오. master 2019-04-23 6027
공지 예수 믿은 후에 짓는 죄와 구원의 관계 [8] 운영자 2015-01-28 29932
647 동방교회 필리오케 논쟁에 관해? [3] master 2021-02-24 435
646 복음서 간 부활 기사의 조화에 관해? [3] master 2024-04-19 436
645 초대교회 신앙은 어떻게 계승되었는가요? master 2020-01-01 440
644 집 근처 교회에 다녀야 할 성경적 근거가 궁금합니다. master 2022-11-28 440
643 출애굽기 20장 6절에 관한 의문 master 2016-10-17 442
642 교회에서 주기도문을 암송하면 잘못인가요? master 2021-04-11 442
641 차별금지법 문제를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요? master 2022-06-21 443
640 창세기 3장의 뱀에 대한 추가 질문 master 2017-02-23 446
639 에덴동산의 과학적 변증이 필요한가? [2] master 2021-03-19 446
638 동료와 화평하기 위해 술을 함께 마셔야 하나요? [3] master 2023-01-17 447
637 성경을 제대로 읽고 싶습니다. master 2023-06-27 448
636 귀신과 무당에 관한 질문 master 2023-05-24 450
635 앎이 먼저인가? 믿음이 먼저인가? [1] master 2022-11-18 454
634 예수님의 성령 잉태에 관해? master 2020-09-12 456
633 하나님의 절대적 또는 조건적 언약? [3] master 2021-05-31 459
632 엘리와 데마는 구원이 취소된 것인가요? [2] master 2021-10-24 459
631 성전 건축이 백성을 착취한 것이 아닌지요? [2] master 2023-11-21 467
630 부활절이 이단에서 유래했나요? master 2019-05-17 469
629 갈라디아서 4:24-26의 해석이 어렵습니다. master 2022-01-24 475
628 베드로전서 3:18은 무슨 뜻인가요? [5] master 2019-06-25 47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