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로부터의 생명(1)

조회 수 77 추천 수 1 2022.01.15 11:40:27

분자로부터의 생명(1)

 

진화 옹호론자에게 생명이 무생물로부터 어떻게 발생했는지 물어보면 진화론은 생물발생이라는 현상을 언급하지 않는다고 거만하게 대답하는 것은 보통이다.

 

하지만 ‘파퓰러 싸이언스’지의 최근 한 기사는 이 거북스런 질문에 대답하고자 했다. 그들의 대답은 유명한 밀러-유레이 실험에 매우 의존했기에 이번에는 이 실험에 대해 생각해보고 다음번에 그 기사의 주된 부분을 다루도록 하겠다.

 

그 실험은 물을 끓여 수증기로 만듦으로써 반응 회로를 시작했다. 여기에 메탄과 암모니아 가스를 첨가하여 지구의 초기 대기로 추측되는 상황을 재현시켰다. 이 가스 혼합에 전기 스파크를 통과시키고 그 결과물을 식히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혼합물은 아미노산-단백질의 기초 구성단위를 가지고 있었다.

 

창조론자들이 이 1952년 실험의 많은 오류들을 여러 번 지적했었다. 두 가지의 심각한 문제점은 그 혼합물이 자연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일부의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성체들의 잘못된 조합이라는 점이다. 사용된 가스 혼합물은 완전히 어림짐작으로 “바른-정해진” 결과를 내기 위해서 가장 가능성 있는 혼합물들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실험이 적절하게 진행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실험이 무생물로부터 생명이 발생했음을 증명하지는 못했다. 왜냐하면 마치 하나님께서 우리 신체의 모든 세포들을 세심하게 디자인하셨듯이 그 실험도 세심하게 미리 디자인되었기 때문이다.

 

Author: Paul F. Taylor

Ref: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 “Origin of life: Which came first? An experiment in recreating primordial proteins solves a long-standing riddle.” ScienceDaily, 22 June 2020.

<www.sciencedaily.com/releases/2020/06/200622095023.htm>. © 2021 Creation Moments.  All rights reserved.


날마다순종

2022.01.15 18:17:43
*.14.99.253

백번 양보해 생성된 아미노산까지 봐준다 하여도 그 이후로 장구한 세월(?)을 거쳐 지금 이세상의 모든 생물들로 진화해 왔다는 이야기는 인류 역사상 가장 허구맹랑한 소설이 아닌가 싶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200 오렌지색 코끼리? master 2020-07-18 77
199 행성의 탄생? [2] master 2020-10-30 77
» 분자로부터의 생명(1) [1] master 2022-01-15 77
197 누구나 좋아하는 판다 master 2023-03-08 77
196 아버지의 중요성 master 2024-02-27 77
195 나비 날개의 뛰어남 김계환 2015-06-22 76
194 유전학적 속임수 master 2016-11-01 76
193 혈구들아 서둘러! master 2016-12-06 76
192 앰피파드(amphipod)의 독특한 탈출 master 2017-10-16 76
191 반대입자(antimatter)는 어디에 있는가? [1] master 2020-11-25 76
190 갈릴레오 갈릴레이 master 2021-01-14 76
189 Deep Time 달 이론이 곤경에 처하다 master 2022-01-31 76
188 황제수염은 진화론에선 신비다. master 2022-02-15 76
187 공포 개구리를 만나보시라! master 2016-06-21 75
186 우리의 논리와 하나님의 논리는 같지 않다. master 2016-06-27 75
185 사랑이 많은 뱀들 master 2016-09-28 75
184 산호와 인간이 공유하는 것 master 2016-10-29 75
183 과학 잡지가 창조론자의 발견을 확인해주었다. master 2020-08-06 75
182 태양을 쫓아가는 신비한 꽃들 master 2021-05-07 75
181 입체적으로 생각하기 김계환 2016-04-10 74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