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대한 연들

조회 수 1048 추천 수 57 2007.09.10 02:34:27
우리가 과학과 연을 생각할때 우리는 자주 폭풍우 속에서 연을 날렸던 벤자민 프랭클린을 생각하곤 한다. 벤이 날씨를 연구하기 위하여 연을 사용한 첫번째 사람은 아니며 또 마지막 사람도 아니다. 미국 날씨위원회는 1893년의 박스연의 발명이후로 날씨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들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이후 30 년간 연들은 일기예보국의 중요한 도구가 되었다. 비행기구들이 향상됨에 따라 일기예보국의 연의 사용은 중단되었다.

1990년 기상학자들이 다시 연으로 돌아왔다. 현대의 하이텍 재료들이 비행기구로는 불가능한 연구들을 연으로는 가능할 것이라는 희망을 주었기  때문이다.  최신의 기상용 연은 수주동안 수마일 상공에 “주차”시킬 수가 있다. 두개의 소형차 크기의 연은 일 파운드 정도의 무게에 지나지 않으며 날개모양의 이 연의 앞쪽에 있는 공기구멍들이 이 연을 부풀려서 자신의 날개모양을 유지한다. 연에 장착된 기구들이 다양한 고도로 부터 일기기록들을 내려보낸다. 이러한 연으로 다다른 최고의 고도는 거의 12마일에 이른다.

하나님의 창조는 언제나 인간의 호기심과 경이를 불러일으킨다. 불행하게도 오늘날의 많은 과학자들은 그저 금방 하나님을 무시하곤 한다. 그러나 이 과학자들이 자신들의 연구의 기반으로 사용하는 것들의 대부분은 창조주를 믿고 경배했던 앞선 과학자들의 과학적 성취에 기초한다.  

References: Richard Monastersky. 1992. Astride the Wind. Science News, vol. 141, April 4. p. 216-21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2007 Creation Moments • All Rights Reserved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78 홍수처럼 많은 홍수 전설 master 2023-10-02 52
77 예수 그리스도 도마뱀 master 2023-11-24 52
76 궁극의 엔지니어 master 2024-05-06 52
75 자신을 스쿠버 다이버라고 생각하는 거미 김계환 2016-03-20 51
74 보안 진드기 김계환 2016-04-10 51
73 엔셀라두스에서 생명을 찾고 있네. master 2016-11-06 51
72 개구리로 가득 찬 사막? master 2021-12-21 51
71 아메바가 아는 것 master 2021-12-30 51
70 먼지투성이 별들 master 2022-07-04 51
69 내부 공간을 통한 여행 master 2024-04-29 51
68 매운 항진균제 김계환 2016-04-25 50
67 나무가 자동차보다 더 오염시킬 수 있다. master 2020-09-21 50
66 나무를 통한 다양한 축복들 master 2021-06-19 50
65 겍코 도마뱀은 손전등이 필요 없다. master 2022-07-12 50
64 기막히게 잘 짜여진 관계들 master 2016-06-30 49
63 로봇 우편배달부의 행진 master 2016-08-11 49
62 곤충 기생충 master 2020-09-28 49
61 비참한 진화론적 설명 master 2024-03-29 49
60 눈이 없지만 빛을 본다 김계환 2016-04-10 48
59 초기 지구 대기의 진화론적 모델이 시험에 실패하였다 김계환 2016-04-25 48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