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가 어두움에서 볼 수 있을까?

조회 수 1034 추천 수 81 2008.04.25 19:36:12

일부 생물들은 인간에게는 보이지 않는 형태의 빛을 볼 수가 있다. 다른 생물들은 내장된 쌍안경을 가지고 있다. 방울뱀은 두 쌍의 눈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우리에게도 보이는 빛을 위한 것이고 다른 한 쌍은 적외선을 위한 것이다. 하지만 시력을 가지고 있는 모든 생물들에 한가지 공통점은 시력은 어떤 형태의 빛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고양이와 같은 일부 동물들은 어두움 속에서도 볼 수 있어야 하는데 실제로 아주 어두운 방에서는 인간들과 별차이가 없이 더 잘 볼 수가 없다. 그러나 고양이 및 다른 동물들은 인간의 눈들이 볼 수 없는 조도에서도 더욱 분명하게 볼 수가 있는데 이것은 이들의 눈은 빛을 감지하는 세포들 아래에 또다른 빛 반사층을 가지고 있기때문이다.  그래서 포톤(photon)이라고 불리는 광입자가 눈 안으로 들어올때 광 감지세포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더라도 이 빛 빛반사층에 의해서 다시한번 반사되어 볼 수 있는 두번째 기회를 갖는다. 밤에 고양이의 눈들이 빛을 발하는 이유가 바로 고양이 눈안의 이 반사세포층 때문이다.

여러 다른 동물들에서 우리가 발견할 수 있는 아주 다양한 시력들은 이들 동물들의 생활양식과 필요에 완벽하게 짝이 맞는다. 참으로 하나님께서 이들 각각의 생물들에게 완전하게 공급하셨다.

©2008 Creation Moments, Inc. All Rights Reserved.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1154 똑똑한 심장 김 계환 2008-11-15 1033
1153 몸안의 엔진들 김 계환 2008-11-17 927
1152 새로운 기술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김 계환 2008-11-20 1004
1151 그 종류대로 김 계환 2008-11-28 1030
1150 다양성의 순전한 기쁨을 위하여 김 계환 2008-11-29 978
1149 공룡은 거대한 미스테리인가? 김 계환 2008-12-05 990
1148 지상의 가장 작은 컴퓨터 김 계환 2008-12-05 972
1147 물과 물 사이에 김 계환 2008-12-07 1128
1146 단순한 생명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김 계환 2008-12-09 968
1145 도덕은 인간을 위한 것이다 김 계환 2008-12-16 917
1144 창조론과 복음 김 계환 2008-12-22 906
1143 정원을 가꾸는 개미들 김 계환 2008-12-23 1020
1142 청산가리 방어 김 계환 2008-12-27 1052
1141 진화가 단순히 변화인가? 김 계환 2009-01-02 901
1140 친구와 공생하는 개미들 김 계환 2009-01-03 974
1139 진화론자들이 눈에서 잘못된 설계를 찾아냈는가? 김 계환 2009-01-11 993
1138 눈안의 컴퓨터 김 계환 2009-01-12 1042
1137 달 표면에 먼지가 얼마나 깊이 쌓여있나? 김 계환 2009-01-23 946
1136 선천적 장애가 하나님의 계획인가? 김 계환 2009-01-26 947
1135 다윈의 퍼즐 김 계환 2009-01-29 951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