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하고 대담한 여행자

조회 수 421 추천 수 33 2011.01.26 04:47:35

일반적으로 생명체는 햇빛이 결코 다다르지 않은 곳에 살지라도 광합성을 통하여 자신의 영양분을 얻는다. 또한  생명체는 언제나 다른 생명체와 일종의 공동체를 이루고 산다.

이제 이 두가지의 일반 법칙을 깨는 한 종류의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 용감한 여행자”라고 불리는 이 미생물은  남아프리카의 금광내에 물이 찬 틈새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표면으로 부터 거의 2 마일 밑에서 살며 다른 어떤 다른 생물들과 자신의 생활공간을 공유하지 않는다. 이 깊은 곳에 다른 어떤 생명체가 없고 이것들이 지표면으로 부터 완전히 단절된 상태로 살아가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미생물들이 어떻게 생명을 지탱하는 에너지를 얻어내는지를 궁금해했다. 더 연구해보니 이것들은 광산이 파들어가는 광맥에서 발견되는 우래늄의 방사활성 붕괴물로 부터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것들은 또한 이산화 탄소로 부터 생명에 필수적인 탄소를 직접 뽑아낼 수 있었고 생명에 꼭 필요한 질소를 주위의 암석으로부터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이 미생물이 산소를 처리할 수 없음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다시한번 하나님의 무한한 창조성을 보여준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정상적인 방법”이라고 부르는 방식으로만 생명을 창조하심에 제한되시지 않는다는 사실에 우리는 기뻐한다.  

Notes:
New Scientist, 10/9/08, Catherine Brahic, "Goldmine bug DNA may be key to alien life," http://www.newscientist.com/article/dn14906-goldmine-bug-dna-may-be-key-to-alien-life.htm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21 아름다운 충성 master 2017-07-26 179
820 점점 더 꼬이는 진화론의 생명 나무 김계환 2015-10-22 180
819 공룡 날개! 김계환 2015-12-06 180
818 기막히게 짜여진 관계성 master 2021-01-22 180
817 개미가 전기 칼을 발명했나? 김계환 2015-10-06 181
816 납 원자 하나씩 계산하기 master 2018-02-07 181
815 진화론의 비과학적인 논리 master 2018-10-21 181
814 근육을 사용하는 조류 master 2020-08-04 181
813 “창조론이 과학적 사실이다” 김 계환 2015-03-23 182
812 초콜렛을 잊지마세요 master 2019-01-26 182
811 왜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지문을 주셨을까? 김계환 2015-07-19 183
810 이상한 베리(berry) 김 계환 2014-08-26 184
809 식물들은 진화론자들이 생각하는 것 보다 더 복잡하네 김 계환 2015-02-09 184
808 무엇이 옳은 답인가? 김계환 2015-12-06 184
807 죄없는 피 김계환 2016-03-20 184
806 세계관의 힘 master 2019-09-17 184
805 공룡 유전자 master 2019-09-10 184
804 어째서 당신은? 김 계환 2014-09-22 185
803 진공 청소기 허파 김 계환 2014-10-06 185
802 곤충에게 엔지니어링이 문제가 되지 않을때 김 계환 2014-08-15 186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