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하고 대담한 여행자

조회 수 421 추천 수 33 2011.01.26 04:47:35

일반적으로 생명체는 햇빛이 결코 다다르지 않은 곳에 살지라도 광합성을 통하여 자신의 영양분을 얻는다. 또한  생명체는 언제나 다른 생명체와 일종의 공동체를 이루고 산다.

이제 이 두가지의 일반 법칙을 깨는 한 종류의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 용감한 여행자”라고 불리는 이 미생물은  남아프리카의 금광내에 물이 찬 틈새에서 발견되었다. 이것은 지표면으로 부터 거의 2 마일 밑에서 살며 다른 어떤 다른 생물들과 자신의 생활공간을 공유하지 않는다. 이 깊은 곳에 다른 어떤 생명체가 없고 이것들이 지표면으로 부터 완전히 단절된 상태로 살아가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 미생물들이 어떻게 생명을 지탱하는 에너지를 얻어내는지를 궁금해했다. 더 연구해보니 이것들은 광산이 파들어가는 광맥에서 발견되는 우래늄의 방사활성 붕괴물로 부터 직접적으로 에너지를 얻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것들은 또한 이산화 탄소로 부터 생명에 필수적인 탄소를 직접 뽑아낼 수 있었고 생명에 꼭 필요한 질소를 주위의 암석으로부터 추출하여 저장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이 미생물이 산소를 처리할 수 없음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다시한번 하나님의 무한한 창조성을 보여준다. 하나님께서는 우리가 “정상적인 방법”이라고 부르는 방식으로만 생명을 창조하심에 제한되시지 않는다는 사실에 우리는 기뻐한다.  

Notes:
New Scientist, 10/9/08, Catherine Brahic, "Goldmine bug DNA may be key to alien life," http://www.newscientist.com/article/dn14906-goldmine-bug-dna-may-be-key-to-alien-life.html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820 재조명된 팬다곰의 엄지 [4] 운영자 2012-08-18 434
819 하나님의 마음은 우리의 마음보다 크시다 김 계환 2011-07-01 434
818 의약품으로 가득한 들과 숲 김 계환 2011-04-03 434
817 다윈과 그의 추종자들이 잘못된 결론을 내린다 김 계환 2011-02-16 434
816 나무들이 자동차들보다 공기를 더 오염시키는지도 모른다 김 계환 2011-01-04 433
815 스스로 교정하는 유전학 [1] 김 계환 2013-02-25 432
814 “이브”? 김 계환 2011-08-25 432
813 바닷가제가 우리의 생각에 영항을 줄 수가 있다 [1] 김 계환 2011-01-24 432
812 인간은 물질이상의 것이다 김 계환 2012-02-01 431
811 화석이 얼마나 오래됐을까? 김 계환 2013-03-25 429
810 새알 진화 김 계환 2015-01-21 428
809 난초의 기이한 행동들 [1] 김 계환 2011-10-03 428
808 산호초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빨리 자란다 김 계환 2011-05-29 428
807 속닥거리는 식물들 김 계환 2011-03-04 428
806 눈 깜짝할 사이에 김 계환 2011-01-28 427
805 식물들이 더 많은 온실개스를 만들어 낸다 김 계환 2012-03-11 426
804 기적같은 냄새맡기 김 계환 2011-03-13 426
803 항생제의 원조 [1] 김 계환 2012-01-08 423
802 하나님의 순간 접착제 김 계환 2014-03-22 422
801 자연이 최고의 화학자이다 [1] 김 계환 2013-12-15 42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